Based on “Why is corporate virtue in the eye of the beholder? The case of ESG ratings” (2022) by Dane Christensen, George Serafeim and Anywhere Sikochi in The Accounting Review, https://doi.org/10.2308/TAR-2019-0506.
무엇을, 왜 연구했나?
최근 금융시장의 가장 큰 변화를 꼽으라면 투자 의사결정에 기업의 환경(E), 사회(S) 및 거버넌스(G) 정보를 통합하려는 움직임을 들 수 있다.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 1 1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Alliance
닫기의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투자 분석과 포트폴리오 선택에 ESG 기준을 적용하는 지속가능 투자의 운용 자산 규모가 35조3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처럼 ESG 데이터의 수집, 해석, 집계 및 배포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ESG 평가기관은 자본시장에서 중요한 정보중개자가 됐다. 실제로 시장참여자들이 ESG 평가 결과를 구매하기 위해 ESG 평가기관에 지출하는 규모는 2014년의 2억 달러에서 2018년 5억 달러로 크게 증가했다.
ESG 평가기관은 기업의 ESG와 관련된 노력과 결과를 다양한 측정 기준을 사용해 평가한다. 이들이 제공하는 ESG 등급은 투자자가 ESG 요소를 의사결정에 통합하고 위험과 기회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선별하는 데 이용된다. 지난 20년 동안 수많은 ESG 평가기관이 등장했지만 가장 대표적인 3대 평가기관은 모건스탠리인터내셔널캐피털(MSCI), 서스테이널리틱스(Sustainalytics) 및 톰슨로이터(Tomson Reuters)다.
그런데 ESG 평가등급을 사용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기관에 따라 개별 기업을 평가하는 방식과 결과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 파이낸셜타임스는 “평가기관이 선택한 방법론이 실제로 무엇을, 왜 측정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알려져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ESG 점수 뒤에 무엇이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투자자들에게 잘못된 자신감을 심어줄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22Allen, K. 2018. Lies, damned lies and ESG rating methodologies. Financial Times. Dec. 6.
닫기 평가기관 사이에 왜 불일치가 발생하는지 이해해야 이런 불일치가 초래하는 폐해를 알고 해결책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오리건대와 하버드대 공동 연구팀은 ESG 평가기관 간 결과 불일치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기업의 ESG 공시 수준에 주목했다. 경제학 이론에 따르면 의견 불일치는 서로 다른 정보를 가지고 있거나 정보에 대해 다른 해석을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더 많은 정보가 공개될수록 정보 비대칭이 줄어들기 때문에 평가기관들의 의견 불일치 정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연구팀은 ESG 정보에 대한 평가의 경우 그 반대의 논리가 성립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즉 기업의 ESG 공시가 증가할수록 ESG 평가등급 불일치가 오히려 높아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 이유로 ESG 정보의 주관적인 특성을 꼽았다. 재무 정보에 대한 공시에 관해서는 레버리지 및 수익성 등과 같은 재무 변수의 의미와 평가 방법에 대해 광범위한 컨센서스가 존재한다. 반면 ESG 공시의 경우 기업의 ESG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지표를 평가해야 하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공통된 이해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관적인 특성을 가진 ESG 정보에 대한 공시가 증가할수록 오히려 다양한 해석의 기회가 늘어난다는 주장이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김진욱jinkim@konkuk.ac.kr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
필자는 건국대와 오하이오주립대에서 경영학과 회계학을 전공하고 코넬대에서 통계학 석사, 오리건대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럿거스대 경영대 교수, 금융감독원 회계제도실 자문교수 및 기획재정부 공기업 평가위원을 역임했으며 2013년부터 건국대 경영대학에서 회계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건국대 경영전문대학원 부원장, 한국회계학회 부회장, 한국거래소 기술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자본시장, 회계감사 및 인수합병(M&A)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