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Case Study: 부동산 정보 앱 1위 ‘호갱노노’의 성장 전략

실제 거주자 이야기… 은행 대출 계산…
아파트 사고파는 모두가 디테일에 만족 2

김성모 | 304호 (2020년 9월 Issue 1)
<이 기사는 부동산 정보 앱 1위 '호갱노노'의 성장 전략 1화에서 이어진 기사입니다.>
1화 바로가기 클릭 ☞



복잡하고 보기 불편한 실거래가를 한눈에,

‘호갱노노’

심 대표는 호갱노노 앱을 만들고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오픈돼 있는 실거래가를 보기 쉽게 구현했다. 그는 부동산 중 타깃이 많고 사람들의 수요가 높은 아파트 정보에 집중하기로 했다. 앱을 켜면 지도부터 나오게 하고, 지도에 매물로 나온 아파트들의 평수와 최근 실거래가를 ‘말풍선’처럼 한눈에 볼 수 있게 구현했다. 각 매물을 누르면 최근 실거래가들의 평균가와 전·월세 가격 등을 수치로 나타냈다. 이를 그래프로도 구현했다. 이와 함께 예상 거래가와 세금, 중개보수 정보 등도 제공했다.

이때 이미 여러 부동산 관련 서비스들이 사업을 확장하고 있었다. 직방(2012년 창업)과 다방(2013년 창업), 네이버 부동산 등이다. 2015년 말 직방은 골드만삭스PIA로부터 380억 원을 유치했다. 연예인을 광고 모델로 쓰면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이용자가 급속도로 늘어났다. 이 해에 직방 매출액은 100억 원을 넘겼다. 네이버 부동산은 네이버라는 든든한 플랫폼이 있었다. 사실상 호갱노노는 한참 후발주자였던 셈이었다.

심 대표는 그럼에도 비전이 있다고 생각했다. 해당 서비스들이 부동산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하긴 했지만 집을 사는 데 필요한 정보는 아직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서비스들은 대부분 집 내부 사진이나 호가 등에 정보가 집중돼 있었다. 중개업소를 찾아가 이것저것 설명을 들은 뒤 집을 구매하는 과거의 패턴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무엇보다 집을 살 때 가장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는 ‘실거래가’를 제대로 쓰는 곳이 없었다. “자동차도 시승하고 한 달 고민해보고 사는데 집은 생각보다 쉽게 구매를 결정하는 것 같았다. ‘정보 비대칭’ 때문이었다. 특히 실제 거래된 가격인 실거래가가 공공 데이터로 공개돼 있었는데 사람들이 잘 모르고 있더라. 이 부분을 공략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심 대표)

실거래가 정보는 국토교통부 사이트에서 모두 볼 수 있는 공개된 정보가 아닌가. 이것만으로 사업이 될 수 있을까. 데이터가 오픈돼 있었지만 이용하기에 굉장히 불편한 게 문제였다. 해당 사이트에서 서울시를 선택하고, ‘구’와 ‘동’, 아파트를 순차적으로 고른 다음, 분기별로 기간을 설정하면 3달 치 실거래가가 표로 나왔다. 옆 아파트의 실거래가를 보려면 같은 과정을 반복해야 했는데, 그렇게 되면 시세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확인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이렇게 실거래가는 호갱노노의 비즈니스 기반이 됐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