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R3. ‘문훅 싱킹(Moonhook thinking)’과 마케팅 전략

달에 안 가도 돼. 달을 끌어오면 되잖아!
혁신은 문샷 아닌 문훅에 있을 수도

이동진 | 284호 (2019년 11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달 착륙 50년을 기념하는 2019년 현재, 몇몇 선도 기업이 민간 차원에서의 ‘문샷 싱킹’을 통해 실제 우주로의 진출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아무리 비용이 싸지고 기술이 발전했다고 해도 모든 기업이 우주 산업에 뛰어들 수는 없다. 그런데 달과 우주의 이미지를 가져오는 ‘문훅 싱킹’을 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실제 달 착륙에 함께했던 시계 브랜드 오메가는 물론 무관해 보이는 맥주 브랜드 버드와이저와 만년필 몽블랑도 ‘문훅 싱킹’을 했다. 이들의 방식은 달을 가리켰는데 달이 아닌 손가락을 보면서 뭔가를 해보려는 발상의 전환이라 할 만하다. 혁신적 마케팅과 스토리텔링은 이런 간단한 반전으로 가능할 수도 있다.

편집자주
이 기사의 제작에는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인턴연구원 조수경(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3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다음의 우주 개발 경쟁(The next space race)’

인간의 달 착륙 50주년을 기념해 2019년 7월29일에 발행한 미국 주간지 타임(Time)의 타이틀이다. 표지에는 달을 향해 다가가는 4명의 우주인이 묘사돼 있다. 각각의 우주인을 살펴보면 2명은 미국 국기와 중국 국기 완장을 차고 있고, 나머지 2명은 ‘스페이스X’, ‘블루오리진(Blue Origin)’ 로고가 적힌 배낭을 메고 있다. 이 표지 디자인(그림 1)은 50여 년 전에 발행한 ‘달을 향한 경쟁(Race for the moon)’ 표지를 모티브로 했는데 그때와 차이가 있다면 미국의 경쟁 상대가 중국으로 바뀐 것과 국가 간 경쟁에 민간 기업들이 가세했다는 점이다.



[그림 1]의 타임지 표지가 상징적으로 보여주듯 정부 주도가 아니면 불가능할 것만 같았던 우주 개발 경쟁에 민간 기업들이 뛰어들었다. 우주 산업 영역에 발을 걸치며 모양새만 내는 정도가 아니다. 우주 산업의 70% 이상을 민간 기업이 담당할 정도로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우주 시대를 앞당기는 주체가 정부에서 민간으로 넘어간 셈이다. 이 중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은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가 만든 ‘블루오리진’, 버진그룹의 리처드 브랜슨이 구상한 ‘버진갤럭틱’이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