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Thinking - 대우일렉트로닉스 ‘미니’ 이혁진 책임연구원 인터뷰
편집자주
※이 기사의 제작에는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인턴연구원 윤경미(숙명여대 영어영문학과 4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Small is beautiful.”
경제학자 슈마허가 주창한 이 문장은 경제 아닌 다른 영역에서도 진리로 통한다. 모든 작은 것은 아름답다. 그리고 힘이 세다. 아기는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종일 울기만 해도 단지 작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생존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닌다.
액자나 시계 정도를 걸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던 벽에 세탁기가 걸렸다. 벽에 걸리기 위해 필연적으로 작아져야 했다. 줄였더니 예뻐졌다. 벽에 걸린 세탁기를 본 사람들은 십중팔구 자신도 모르게 감탄사를 뱉는다. 아름다움은 효율성으로 이어졌다. 베란다 혹은 부엌 한 구석을 상당한 덩치로 차지하고 있던 세탁기가 벽에 걸리면서 새로운 공간이 생겼다. 세탁기 한번 돌리기 위해 몇 주간 빨래를 모아야 했던 수고로움이 사라졌다. 대우일렉트로닉스가 세계 최초로 선보인 벽걸이 세탁기 ‘미니(mini)’ 얘기다. ‘더 크게, 더 화려하게’라는 트렌드에 반하는 파격적인 크기에 세탁기를 벽에 건다는 획기적인 발상이 만나 엄청난 반향을 불렀다. 미니는 출시 3개월 만에 1만 대 넘게 팔려나갔다. 미니를 디자인한 이혁진 책임연구원을 만나 벽걸이 세탁기의 탄생 과정을 들었다.
세탁기를 벽에 건다는 발상이 매우 신선하다.
어떻게 얻은 아이디어인가.
가전을 벽에 건다는 개념 자체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공모전이나 콘셉트 전시회 등에는 종종 벽에 걸린 가전이 등장한다. 문제는 양산이다. 가전을 벽에 건다고 했을 때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도 처음에는 아이디어 차원에서 출발했다. 연구소에서 다 같이 모여 브레인스토밍을 하다가 세탁기가 있어서 불편한 점이 뭔지, 필수 가전인데도 불구하고 없어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할 때가 언제인지에 대한 난상토론이 벌어졌다. 모인 연구원들 사이에서 여러 가지 의견이 나왔다. ‘덩치가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한번 돌리려면 빨래가 산더미처럼 쌓일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세탁물을 넣고 뺄 때마다 몸을 굽혀야 해서 허리가 아프다’ 등등. 그러다가 누군가 농담처럼 ‘공중에 매달아 버리면 어때?’라고 말했다. 다들 깔깔 웃다가 ‘그래, 그럼 한번 매달아 보자’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 목표를 세우니 차츰 개념이 잡히기 시작했다. 공중에 띄워놓기는 어려우니까 벽에 매달아보자는 쪽으로 얘기가 진행됐다. 벽에 매달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기존 세탁기보다 작고 가벼워져야 했다. 세탁기 본연의 기능을 잃지 않으면서도 가장 작게 줄일 수 있는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부터 연구해야 했다. 진동과 소음도 해결해야 할 숙제였다. 세탁기가 벽에 붙으면 벽을 타고 더 크게 울리고 흔들려 진동과 소음이 커질 수 있었다. 벽을 뚫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세탁기를 걸려면 어떤 형태로든 지지대가 필요했다. 지지대를 설치하려면 벽을 뚫어야 했다. 전세 사는 사람들이 민감할 수 있는 요소였다. 옆집과 논쟁이 벌어질 수도 있었다. 과연 현실화할 수 있을지 내부적으로도 반신반의했다.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았는데 개발팀과 협업이 잘된 케이스였다. 디자인팀에서 이런 아이디어를 시도해보면 어떻겠냐고 제안했을 때 개발팀에서 흔쾌히 오케이해줬다. 개발팀에서 적극 나서주면서 작업에 힘이 붙었다. 벽걸이 세탁기는 곧 전사적인 목표로 자리 잡았다. 예전에는 디자인팀은 여의도에, 개발팀은 부평에 떨어져 있었다. 2009년 말, 디자인팀이 부평으로 옮겨가면서 한 건물의 1, 2층을 나눠 쓰게 됐다. 그러다 보니 하루에도 몇 번씩 만나고 제작 과정에서 의논해야 할 일이 있으면 언제든 찾아가서 얼굴 보며 대화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디자인과 제작이 같은 목표를 가지고 밀접하게 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미니를 제작하면서 난관이 많았을 것 같다. 어떻게 극복했나.
벽에 걸기에도 부담이 없고 어느 정도의 세탁물도 소화할 수 있는 현재의 형태(550x600x292㎜, 3㎏)를 찾아내는 데만 1년 반 이상 걸렸다. 아무래도 벽에 걸기에는 작으면 작을수록 유리하다. 제일 처음 생각했던 크기는 지금보다 훨씬 작았다. 초기 모형을 만들어 주부단의 평가를 거쳤다. 이 정도로는 빨래를 너무 자주 해야 할 것 같다는 의견이 많아 크기를 키웠다. 더 키워서 또 물어보고, 좀 더 키워서 다시 평가를 받았다. 크다는 의견이 많으면 다시 줄였다. 벽에 걸었을 때 지탱되는지를 보면서 소비자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려고 애썼다. 그러면서 적정 무게와 크기를 찾았다.
또 하나 심혈을 기울였던 것은 세탁기의 핵심인 모터다. 소음과 진동의 대부분이 모터에서 발생한다. 소음과 진동을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미니에 들어갈 수 있게끔 크기가 매우 작은 모터를 만들어야 했다. 미니에서 모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은 상하좌우의 라운드 사각 끝부분뿐이다. 작은 공간에 최적화된 모터 개발이 필요했다. 그러면서도 3㎏의 세탁기를 돌릴 수 있을 만큼의 출력은 나와야 했다. 다양한 크기의 모터를 만들고 번갈아 돌려가며 출력량과 소음을 측정했다. 모터가 크면 힘은 좋지만 소음이 커지고, 모터가 작으면 소음은 줄지만 힘이 약해진다. 모터의 크기를 조절해가며 수백 번, 수천 번 실험을 반복했다. 초저음 초소형 인버터 모터를 개발하는 데 1년 넘게 걸렸다. 또 세탁조와 몸체(캐비닛)가 돌면서 서로 부딪혀 내는 소음을 잡기 위해 세탁조-캐비닛 일체형 구조로 설계했다.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