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亞 네티즌이 보여주는 디지털 트렌드

이훈행 | 35호 (2009년 6월 Issue 2)
아시아는 이제 인터넷과 디지털 세계로 가는 ‘첫걸음’을 떼고 있다.

첫걸음’이라는 단어는 초고속 인터넷과 수많은 디지털 제품의 홍수 속에 사는 우리에게는 너무나 이상하게 들린다. 하지만 한국과 호주, 싱가포르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아시아 국가의 인터넷 보급률은 아직 한 자리 숫자에 불과하다. 아시아 전체의 인터넷 보급률은 겨우 15% 정도다. 유럽(48%)과 미국(74%)에 비하면 이제야 출발점에 서 있는 상황이다.
 
다행히도 아시아의 인터넷 보급 속도는 상상을 초월할 만큼 빠르다. 2000년 1억 명에 불과했던 아시아의 네티즌은 2008년 6억 명(전 세계 네티즌은 15억 명)으로 늘어났다. 중국에서는 같은 기간 동안 네티즌의 숫자가 한 달에 200만 명씩 증가했다.

글로벌 소비자 조사 회사인 리서치인터내셔널(Research International)은 2008년 9
10월 인터넷 세상의 차세대 주역인 아시아 네티즌을 심층 조사했다. 조사에는 한국, 호주, 중국, 싱가포르, 인도, 말레이시아 등 6개국 네티즌 6000명(국가별 1000명)이 참가했다. 리서치인터내셔널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특징적 트렌드 6가지를 밝혀냈다.

1단계의 분리(1 degree of separation)
오프라인 시대에도 세상은 그다지 넓지 않았다. 1967년 스탠리 밀그램 하버드대 심리학과 교수의 실험으로, 전혀 모르는 두 사람 사이를 연결하려면 평균 5.5명을 거치면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여기서 ‘(5.5를 반올림한) 6단계의 분리(6 degree of separation)’라는 말이 나왔다.
 
그런데 세상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더 좁아졌다. 더욱이 5.5명의 연결고리는 이제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누구하고나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지구상의 네티즌이 15억 명이므로, 1명의 네티즌이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사람은 산술적으로 15억 명에 이른다. 리서치인터내셔널은 이를 ‘1단계의 분리’라고 이름 붙였다.
 
아시아 네티즌들 역시 온라인상에서의 ‘관계’를 열심히 추구하고 있다. 리서치인터내셔널 조사에 따르면, 아시아 네티즌의 85%는 최소 1개 이상의 소셜 네트워킹에 참여하고 있었다. 그들의 메신저 목록에는 평균 75명의 지인이 등록돼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이런 온라인 네트워킹이 기존의 오프라인 관계를 단지 온라인으로 옮겨온 수준이 아니라는 점이다. 조사 대상 네티즌 중 3분의 1은 전혀 모르는 타인과도 온라인상에서 친구가 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네티즌들이 온라인에서 지인의 폭을 넓혀가는 트렌드를 보여준다.
 
한편 한국의 네티즌들은 1주일에 6시간을 소셜 네트워킹에 사용하며, 자신의 블로그 작성에 3.6시간, 타인의 블로그 방문에 4.6시간을 쓰는 것으로 드러났다.(그림1)

<클릭하시면 상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프로슈머리즘(prosumerism)
인터넷 도입 초기, 네티즌들은 온라인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단순히 소비하는 소비자에 지나지 않았다. 그들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모으는 것만으로도 만족했다. 그러나 웹 2.0 시대의 네티즌들은 정보를 소비할 뿐만 아니라, 개방된 환경 속에서 새로운 정보를 생산·재생산하고 공유하며 확대해 나가는 경향을 갖는다. 네티즌들은 이제 더 이상 조용한 소비자(consumer)가 아니라, 제품·서비스를 평가하고 개선을 요구하거나 직접 만드는 프로슈머(prosumer=producer 또는 professional+consumer)로 자신의 역할을 바꿔 나가고 있다.
 
프로슈머리즘의 트렌드는 특히 아시아 네티즌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난다. 아시아 네티즌 중 58%가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활발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 그 증거다. 리서치인터내셔널의 전문가들은 다른 대륙에서는 네티즌의 응집도나 프로슈머적인 성격이 아시아보다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보고 있다.

그렇지만 강한 프로슈머리즘은 기업이나 정부 입장에서는 ‘위험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기업과 정부는 자신들이 원하는 메시지를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지만, 프로슈머들은 그런 메시지와는 무관하게 자신들의 견해와 감정을 형성하고 함께 공유한다. 따라서 앞으로 기업의 브랜드 관리자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것이며, 정부 당국자들은 정책 입안 이전부터 국민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하는 상황에 부딪히게 될 것이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