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달콤한 인생’‘놈놈놈’ 연출한 김지운 감독

“비전 제시하니 최고 연기 나와”

DBR | 24호 (2009년 1월 Issue 1)
조한상 KT 미래사회연구센터 선임연구원, 문권모 기자 mikemoon@donga.com
 
배우 이병헌의 뒷모습이 인상적인 영화 ‘달콤한 인생’의 첫 장면은 다음과 같은 불교 경구로 시작한다.
 
어느 맑은 봄 날, 바람에 이리저리 휘날리는 나뭇가지를 바라보며 제자가 물었다. “스승님, 저것은 나뭇가지가 움직이는 겁니까, 바람이 움직이는 겁니까?” 스승은 제자가 가리키는 곳은 보지도 않은 채 웃으며 말했다. “무릇 움직이는 것은 나뭇가지도 아니고 바람도 아니며 네 마음이다.”
 
이 말의 의미는 진리란 그대로 있는데 나뭇가지보다 더 가벼운 사람의 마음이 이리저리 흔들려 진리를 혼란스럽게 만든다는 것이다. 최근 세계적 경기 침체로 인해 경영 환경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기업들은 불안한 마음에 많은 돈을 들여 이런저런 조사를 한다. 그러나 아무리 그렇다 해도 바람이 답인지 나뭇가지가 답인지 확인할 길이 없어 답답해 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런 경우 정답을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기 조직 안이나 구성원들의 마음속, 나아가 고수들의 깊은 통찰력에 기대는 것이다. 이런 생각에서 우리 시대 각 분야의 뛰어난 고수들을 만나 그들의 인사이트를 들어보는 ‘New Wave Spotter’는 4번째 인터뷰의 주인공으로 영화 ‘달콤한 인생’과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이하 놈놈놈)’의 연출자이자 시나리오 작가인 영화감독 김지운을 선택했다.
 
김지운. 그는 한국영화 점유율이 2001년 이후 최악의 상황을 맞은 2008년에 유일하게 관객 688만 명을 동원한 ‘놈놈놈’을 연출한 감독이다. 뿐만 아니라 청룡영화상 감독상, 영화감독들이 뽑은 ‘디렉터스 컷 어워드’ 감독상, 시체스 국제영화제 최우수 감독상, 하와이국제영화제 매버릭상 등을 수상하며 남들과 다르게(?) 행복한 한 해를 보냈다.
 
서울예대 연극과를 자퇴한 후, 자신의 표현에 따르면 10년 가까이 백수 생활을 보낸 그는 라면집 아주머니가 쟁반 대신 깔아준 ‘시네21 시나리오 공모전’ 기사를 보고 1주일 만에 시나리오 한 편을 써내 당선됐다. 그 시나리오가 바로 코믹과 공포를 결합한 ‘조용한 가족’이었다. 이렇게 드라마틱하게 영화판에 입성한 김 감독은 ‘조용한 가족’(1998) ‘반칙왕’(2000) ‘장화, 홍련’(2003) ‘달콤한 인생’(2005) ‘놈놈놈’(2008) 등 블랙코미디부터 공포, 누아르, 웨스턴에 이르는 다양한 장르의 장편영화를 모두 성공시켰다. 그는 또 평균을 뛰어넘는 흥행 성적으로 충무로 제작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감독 가운데 한 명이다.
 
감독은 전문가 도움 받아 판타지 전달
그는 2006년에 펴낸 에세이 ‘숏컷’에서 영화감독이 되기 전에는 캠코더를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고 고백했다. 2008년 12월17 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사무실에서 이 이야기를 꺼내자 “저는 사실 카메라를 어떻게 켜고 끄는지도 잘 모르는 ‘기계치’에 가깝습니다”라고 말했다. ‘기능적인 것을 몰라도 좋은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이냐’ 는 질문에 꽤 철학적인 대답이 돌아왔다.
 
일단 영화는 미학이 기술보다 우선하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감독에게 중요한 것은 ‘판타지’고, 기술은 판타지를 구현하기 위한 도구이지요. 저는 감독은 전문가 도움을 받아 영화의 핵심인 판타지를 전달하는 사람이라고 봅니다. 감독은 미학적인 면을 맡고 기술적인 부분은 전문가들이 실행하는 것이 옳다는 것이지요.
 
이런 맥락에서 영화는 교과서적인 지식이 아니라 삶의 고민과 문화적 체험을 바탕으로 만드는 것이란 점을 말하고 싶습니다. 영화는 사람들의 삶을 반영하고 정서적 위안과 즐거움을 주는 매체니까요.”
 
전문가에게 권한을 이양 하신다는 것은 비즈니스 분야에도 시사점을 주는 것 같습니다. 기업의 리더나 최고경영자(CEO)도 재무, 마케팅, 인사, 홍보 분야를 완벽하게 아우르는 지식을 가지기가 어렵거든요. 이런 점에서 리더의 역량과 바람직한 리더십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시는지요
 
영화감독은 지금까지도 가장 독단적이고 독재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직업 가운데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그러나 저는 리더가 전문가들의 자율성과 유연성을 보장하고, 그들을 솔직하게 대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온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그들의 영역을 넘거나, 간섭하거나, 아는 체 하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제가 캠코더도 다룰 줄 몰랐다고 말씀드렸지요? (웃음)
 
정말 중요한 것은 제가 무엇을 표현하고 싶은지를 그들에게 전달해 성과를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저는 ‘나는 잘 모르겠는데, 이렇게 하고 싶다’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유연하고 자유로운 상태에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많은 아이디어를 제공합니다. 그들의 창작 의욕도 증폭 및 고취시킬 수 있지요.
 
기업의 CEO나 리더라면 ‘우리가 이런 기업이 되었으면 한다’거나 ‘이런 상품을 만들고 싶다’고 얘기하고 구체적인 방법은 전문가에게 결정하도록 할 수 있겠지요. 저는 리더가 아는 것이 많아 얘기를 많이 할 수 있어도 좋지만 각 담당자가 자발적으로 신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들이 신나게 일하지 못하면 결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