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21세기 돈과 문화의 중심 메가시티를 주목하라

나준호 | 1호 (2008년 1월)

현대 문명은 곧 도시 문명이다. 현대의 정치, 경제, 산업, 문화는 도시를 중심으로 발전해 간다. 자동차, 고층 빌딩, 대형 백화점 등 현대인의 삶 역시 도시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도시의 발전과 진화 방향은 현대 문명과 삶의 양태를 결정짓는 중요한 배경이다.
 
특히 20세기 후반 도시화와 도시로의 인구 집중 현상은 가파르게 진행됐다. UN의 인구 통계에 따르면 1950년만 해도 전 세계의 도시 인구는 7억30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9%에 불과했다. 그러나 2005년 도시 인구는 31억5000만 명으로 4배 가까이 늘었다. 2007년에는 마침내 도시 거주민이 64억 세계 인구의 절반을 넘어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국의 도시화는 더욱 빠르다. 한국의 도시 인구 비중은 1950년 21.4%에서 2005년 80.8%로 완전히 역전되었다.
 
21세기에도 도시화 추세 더욱 강화
많은 사람들이 21세기에는 도시 기능의 분산, 공장의 도시 외곽 이전, 전원 주택 붐으로 도시탈출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21세기에도 도시화 추세는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UN에 따르면 세계의 도시 인구는 2010년 34억7000만 명, 2030년 49억1000만 명으로 그 비중이 60%까지 커질 전망이다. 신흥국의 급격한 산업화와 선진국의 지식사회화, 서비스 사회화 경향 때문이다.
 
특히 신흥국의 산업화는 도시로의 인구 집중을 더욱 강화할 것이다.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멕시코 등 신흥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공업화, 상업화로 인해 일자리와 사업 기회를 찾아 젊은이들이 도시로 몰려들고 있다. 중국의 도시 인구는 1950년 7000억 명에서 2005년에는 5억3000만 명으로 7.4배나 늘었다. 특히 최근 10년간 도시 인구는 연평균 1500만 명씩 크게 증가했다. 매년 도시 인구가 서울 (1040만 명), 부산 (350만 명), 대전 (150만 명)을 합친 것만큼 늘어난 셈이다.
 
선진국에서도 도시 인구는 줄지 않고 완만히 증가할 것이다. 또 일부 지역에서는 정보지식화, 서비스 사회화로 인해 도심 회귀 현상도 나타날 것이다. 산업화 시대의 공장들은 땅값이 싼 도시 외곽으로의 이전이 유리했다. 그러나 지식 기반 오피스는 도심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면적이 작아 임대료 부담이 크지 않고 인적 만남을 통한 정보 교류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현대에서 삶의 질은 자연과 가까이 있는 것보다 병원, 금융, 영화관 등 다양한 서비스 시설에 쉽게 갈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 도쿄 중심 지역의 인구도 1996년 800만 명 이하로 감소했다가 2005년에는 850만 명 까지 다시 늘어났다. 도심 직장의 증가로 젊은 직장인들의 도심 거주가 늘어나고, 부유한 노령층들이 병원이나 편의시설이 많은 도심으로 회귀했기 때문이다.
 
메가시티의 부상
21세기 도시화의 가장 대표적 특징은 메가시티의 부상이다. 메가시티는 인구 1000만 명이 넘는 초대형 도시를 말한다. 1950년 메가 시티는 뉴욕, 도쿄 2개에 불과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급증해 2005년에는 총 20개로 늘어났다. 신흥국 인구의 도시 집중으로 인해 멕시코 시티, 상 파울로, 뭄바이, 상하이 등 신흥 메가 시티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나이지리아의 라고스도 메가시티 대열에 합류했다. 2015년 경이면 터키의 이스탄불과 중국의 광저우가 추가되면서 23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도시 집중 경향이 심화될 경우 2020년 에는 30개에 달할 가능성도 있다.
 
서울도 만만치 않은 메가시티이다. UN 집계에 따르면 2006년 서울특별시의 인구는 1040만 명으로 자체 인구 만으로는 세계 10위권 밖이다. 그러나 광역 생활권 차원에서 인구를 집계한 지멘스의 ‘메가시티 보고서’에서는 약 2030만명으로 도쿄와 뉴욕 다음의 거대 도시로 꼽혔다.
 
메가시티는 상업, 문화, 지식, 산업의 중심지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현재 세계 GDP의 15분의 1이 10대 대도시권에서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쿄 광역권 전체 인구는 일본 총 인구의 28%지만 GDP는 일본 전체의 40%에 이른다. 인력, 돈, 정보는 유망한 곳으로 몰리는 경향이 있다. 국가 차원에서는 지속적으로 지역별 균형 발전을 유도하겠지만, 메가 시티는 인력, 돈, 정보를 자석처럼 끌어당기며 개별 국가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더욱 커질 것이다.
 
도시간 글로벌 경쟁 시대
나아가 미래에는 도시간의 글로벌 경쟁이 더 뚜렷해질 것이다. 특히 유럽이나 동북아처럼 메가시티들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국가를 넘어서 지역 전체의 패권을 놓고 메가 시티간 경쟁이 심화될 것이다.
 
동북아만 보더라도 베이징, 상하이, 서울, 도쿄 등 4개 도시가 금융, 상업, 문화, 정보, 산업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동아시아의 허브가 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