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에스케어는 장애인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수동 휠체어에 부착할 수 있는 전동 보조 키트 ‘무브온’을 개발했다. 하지만 전동 보조 키트는 기존 제도에 없는 카테고리여서 판매를 확대하기 어려웠다. 규제샌드박스의 실증 특례를 통해 전동 보조 키트가 의료기기로는 분류됐지만 정작 의료기기로 심사받을 기준조차 없었다. 알에스케어는 의료기기 허가를 받기 위해 직접 심사 기준을 마련하는 과정에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경쟁사를 포함한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휠체어 시장에 다양한 전동 보조 키트 상품이 개발될 수 있도록 촉매제 역할을 했다. 알에스케어 사례는 혁신의 아이디어 자체보다 그것을 상품화해 시장에 출시하기까지의 과정이 더 중요하다는 교훈을 준다.
이제 어디든 갈 수 있게 됐다. 다른 사람 손에 맡기지 않고도 스스로 이동을 결정할 수 있다. 내 삶도 어디든 주도적으로 끌고 갈 자신이 생겼다. 휠체어를 밀어주는 손길이 아무리 세심하다 한들 결국 남의 손이었다. 전동 휠체어는 무겁고, 비싸다. 게다가 전동 휠체어에 대한 국가 지원도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호흡기장애, 심장장애를 갖고 있으면서 평지에서 100m 이상 보행하기 어렵고 손을 쓰기가 어려운 사람”에게만 해당된다.11전동 휠체어는 최저 약 230만 원에서 시작해 보통 300만∼500만 원의 가격이 책정돼 있어 현실적으로 정부의 지원 없이는 구입하기가 어렵다.
닫기 이마저도 기초생활수급 대상자와 건강보험 가입자만 대상자인 탓에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은 장애인들이 많다. 이런 현실에서 수동 휠체어에 전동 기능을 추가한 ‘수동 휠체어용 전동 보조 키트’는 더할 나위 없는 대안이 됐다.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수동 휠체어의 장점에 전동 기능을 추가해 생활 반경과 이동 거리를 넓혔다. 알에스케어서비스(이하 알에스케어)가 선보인 ‘무브온(move-on)’이 많은 장애인에게 환영받은 이유이다. 휠체어가 장애인의 발이라면 전동 보조 키트는 장애인을 위한 전동 킥보드인 셈이다.
장애인의 독립적 이동을 고민
첫 휠체어는 싼값에 얻은 중고 제품이었다. 누구보다도 활발했던 고등학교 시절, 자동차 사고로 척수가 손상되면서 휠체어에 의지하게 된 김동민 알에스케어 대표는 넉넉하지 않은 형편 탓에 다른 사람이 오래 타서 교체 시기가 온 휠체어를 얻어 탈 수밖에 없었다. 사고로 몸무게는 43㎏까지 줄었지만 첫 휠체어는 엉덩이 하나가 더 들어가고도 남을 정도로 컸다. 결국 허리까지 망가져 척추측만마저 발생했다.
척수장애인에게 휠체어가 얼마나 중요한지 몸소 깨달은 그는 휠체어 제작에 관심을 갖고 무작정 영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좋은 휠체어가 있는 곳이면 세계 어디든 달려가서 보고 배웠다. 맞춤형 휠체어를 제작하는 것은 누구보다도 자신 있었다. 자신과 같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휠체어 하나만 바꿔도 삶의 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 이런 그의 고민은 2008년, 결국 회사 설립으로까지 이어졌다. 보다 편리한 동시에 현재 쓸 수 있는 근육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돕는 맞춤형 휠체어를 설계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던 중 독일 최대 장애인 보장구 박람회인 레하케어(Reha Care)에서 전동 보조 키트를 접했다.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이동이 가능하다는 생각을 처음 하게 된 계기였다. 해외 제품을 국내에 직접 들여올까 생각도 했지만 우리나라 환경에 맞지 않았다. 지나치게 크고 무거웠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이에 직접 개발을 결심했다. 2년간의 시행착오를 거쳐 한국인 체형에 잘 맞는데다 탑승자의 자세를 변형시키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전동 보조 키트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무엇보다 가볍고, 간편했고, 탈부착만도 5분씩 걸리는 해외 제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사용하기 편리했다. 무엇보다 전동 보조 키트를 장착하는 데 힘이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 수동 휠체어에 의지하는 대부분 장애인이 허리를 쓰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연결 부위를 편리하게 만드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2초 만에 수동 휠체어에 부착할 수 있는 전동 보조 키트 ‘무브온’을 완성했다.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수동 휠체어에 500와트의 힘을 가진 전동 기능이 더해지면서 언덕이나 카펫, 잔디가 깔린 공간도 도움 없이 이동할 수 있다. 편의 기능도 세심하게 추가했다. 클랙슨, 야간 주행을 위한 라이트, 대용량 리튬이온배터리와 함께 해외 출장 시 비행기 운반까지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당연히 소비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기 시작했고 장애인총연합회 보급 사업, 경기도 재활공학연구소에 보조 기기로 납품할 수 있게 됐다. 2017년에는 마침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근로 장애인용 보조 공학기기 지원 대상22장애인 보조 공학기기 지원사업은 장애인의 고용 촉진과 직업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직업 생활에 필요한 각종 보조 공학기기를 고용 유지 조건이나 무상으로 지원하는 제도로, 고용 유지 조건을 전제로 취득가액 및 잔존가액 100만 원 이상인 보조 공학기기를 지원(100만 원 미만의 경우 조건 없이 무상으로 지원)하는 제도다.
닫기에 선정됐다. 공단의 보조를 받으면 더 많은 장애인에게 어디든 스스로 이동할 기회를 줄 수 있을 거라고 기대했다.
김동영kimdy@kdi.re.kr
KDI 전문연구원
필자는 디지털·플랫폼 경제를 연구하고 있다. 중앙대 겸임교수이며 사단법인 모빌리티&플랫폼 협회장을 지냈다. KBS 성기영의 경제쇼 디지털경제 코너에 출연 중이다. 한국경제신문 주간 칼럼 ‘4차산업혁명이야기’와 ‘디지털이코노미’ 필자이며 EBS ‘위대한 수업(Great Minds)’의 자문위원(경제 분야)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