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집단 전체의 윤리 마비가 부른 MLB 스테로이드 파문

“남들이 하니까 나도 한다”

DBR | 5호 (2008년 3월 Issue 2)
지난해 12월 조지 미첼 전 민주당 상원의원이 미국 메이저리그(MLB) 선수들의 약물 투여에 대한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큰 파문이 일었다. 폭로 다음날 과거 텍사스 레인저스의 구단주였던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스테로이드가 야구를 망쳤다”는 말로 팬들의 마음을 대변했다.
 
미첼 보고서에는 프로야구 선수 89명이 약물을 투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미 많은 선수들은 이전부터 혐의를 받아왔다. 2006년 기자들이 공개한 보고서 ‘게임의 그늘’, 2005년 발간된 호세 칸세코 선수의 회고록에는 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약물남용으로 얼룩진 미국 프로야구의 어두운 일면이 속속 등장했다. 1990년대 후반 처음 수면에 부상한 뒤 꾸준히 이어져온 미국 야구계의 약물 논란은 이제 ‘스테로이드 시대’라는 말까지 나오게 했다.
 
그렇다면 야구 선수들의 부정행위를 잘 알면서도 여전히 팬들이 메이저리그 야구 경기장을 가득 메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야구 ‘소비자’들은 윤리적 타락에 무감각한 것일까? 와튼 스쿨의 교수진은 이 질문에 대해 ‘노(no)’라고 말한다. 그렇지만, 이런 사태가 팬들의 편견, 선수들의 과도한 경쟁, 관리 태만 등과 겹치면 심각한 윤리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와튼 스쿨에서 신뢰 및 기만 문제를 연구하고 있는 모리스 슈바이처 정보처리학과 교수는 특히 팬들이 분개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팬들은 스테로이드 투여를 개인적 문제로 봐야 할 지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지 혼란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약물 투여 논란이 메이저리그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1998년 새미 소사와 마크 맥과이어 선수의 지나친 홈런 경쟁이 스테로이드 사용을 촉발시켰다는 주장도 등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이저리그 운영협회는 2002년까지 약물테스트를 하지 않았고 약물을 투여한 선수도 가볍게 처벌하는데 그쳤다. 2005년에서야 뒤늦게 규제가 강화됐지만 앨런 버드 셀리그 미국 메이저리그 사무국 총재는 미첼 상원의원에 대한 수사를 요구했다. 기타 메이저리그 운영진 역시 약물 근절을 위한 조치를 단행하지 않아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와튼 스쿨에서 법률 및 기업윤리를 강의하는 케네스 슈롭샤이어 교수도 이런 비판에 동조했다. “메이저리그가 약물 투여에 대한 대책 마련에 주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팬들의 방관적 태도는 큰 문제입니다. 미첼 보고서가 언론의 주목을 받으면서 야구 선수들과 운영진이 경각심을 가질 만도 하지만 아무도 윤리적 위기감을 갖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개별 야구팀과 메이저리그 모두 윤리 감독관을 두는 수준의 강력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이유는 스테로이드 사용을 윤리적 범죄라고 여기지 않고 단순한 경쟁 행위라고 보기 때문이죠.”
 
팬들의 편견과 기만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의 리처드 아이비 비즈니스 스쿨에서 마케팅을 강의하는 준 코테 교수와 박사과정 중인 레미 트루델은 곧 발표할 연구에서 소비자들이 그들의 구매 제품에 대한 윤리적 정보에 반응한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윤리적으로 생산된 커피를 더 많이 구매하며 지속가능하지 않은 농경법이나 부정한 수단으로 커피를 생산한 회사를 비난했다.
 
슈바이처 교수는 윤리적 타락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그릇된 행위가 그 회사의 본질적 존재 이유와 어떤 관계냐에 따라 좌우된다고 주장했다. 회사 정체성을 흔들 정도의 잘못은 소비자로부터 차가운 반응을 받는 반면, 정체성과 무관한 행위에 대해서는 소비자들이 너그러운 편이라는 의미다.
 
“회계법인인 아서 앤더슨이 부정행위를 한 것으로 밝혀졌을 때 회사의 가치는 무너졌습니다. 반면 ‘살림의 여왕’ 마사 스튜어트는 부적절한 주식 매각으로 감옥에 갇혔음에도 불구하고 재기할 수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녀의 역할은 우리의 은퇴 연금 계좌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냅킨 접는 법이나 생선 굽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뉴욕 소재 의류회사인 옐로 래트 배스타드 역시 비슷하다. 이 회사는 임금 체불, 최저생계비 이하의 저임금 지급, 부적절한 직원 해고 등으로 기소당해 140만 달러의 벌금을 물었다. 그러나 이 회사가 생산하는 의류는 여전히 멋있다. 이는 임금과 관련한 부정행위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옷을 사는 고객들이 크게 줄어들지 않을 것이란 점을 시사한다.
 
와튼 스쿨에서 법률 및 기업 윤리를 강의하는 토머스 던피 교수는 “비윤리적 행위가 드러나면 회사는 흔히 이를 일부 직원의 책임으로 돌리지만 부정행위가 만연하면 회사 전체가 부패의 온상이 됩니다”라고 강조했다.
 
슈롭샤이어 교수는 이것이 바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이었던 배리 본즈가 경험한 일종의 ‘편집증적 세계’라고 정의했다. “본즈는 주위를 둘러보고 마크 맥과이어 같은 홈런왕을 비롯한 많은 선수들이 약물을 투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잘못이라는 인식은 있었지만 ‘경쟁에 임하려면 어쩔 수 없다’는 생각으로 약물을 사용했습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