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2년 태평양 전선의 분위기는 절박함과 혼돈으로 가득했다. 일본군은 필리핀을 점령하고 남태평양까지 남하했다. 호주는 유사 이래 최초의 침공 위험(영국인이 원주민의 땅에 상륙한 것은 빼고)에 노출됐다. 호주군은 이미 영연방군의 일원으로 중동과 유럽에 전투 사단을 파병하고 있었기 때문에 본토에 군대가 하나도 없었다. 급하게 유럽 전선에서 병력을 귀환시키고 민병대를 징발했지만, 훈련이 턱없이 부족했다. 태평양 전선에 필수적인 함대와 전투기는 모두 미국의 지원을 받아야 했다. 필사적으로 항공기가 운송되고, 공장에서 밤을 새워 조립하고 있었지만, 하늘에 띄울 수 있는 전투기는 몇 십대도 되지 않았다.
미국은 유럽전선에 이어 태평양에까지 군대와 물자를 지원해야 한다는 사실에 넋을 잃었다. 게다가 일본의 목표가 남태평양인지, 혹은 알류샨 열도를 거쳐 북아메리카로 상륙하려는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어느 한 곳에 병력을 집중해도 일본군을 막을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상황이었다.
정보부는 모든 노력을 다했지만, 해답을 찾기는 불가능했다. 정작 일본군도 모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군은 자신들의 예상보다 너무나 쉽고 빠르게 진주만을 초토화하고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을 점령했다. 원래 일본이 태평양을 필요로 했던 이유는 석유와 주석, 고무 같은 전략 물자와 식량인 쌀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의 유전을 비롯해서 모든 것을 너무나 쉽게 얻어버렸다. 그래서 그 다음에는 무엇을 할지 정하지 못했다. 태평양에서 미국과 전면전을 벌일지, 혹은 정전협정을 맺고 인도네시아 유전을 유지하면서 중국과 인도 전선에 집중할지 확실치 않았다.
‘필사(必死)’의 항전 태도 망각한 호주 침공 작전
논란 끝에 일본은 확전을 결정하고 호주 침공을 시도한다. 그런데 여기서 일본군은 태평양 함대를 알류샨 열도, 미드웨이, 남태평양 셋으로 분할해서 동시에 작전을 진행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만약 일본군이 함대를 모아 집중했더라면 미드웨이의 승자는 일본군이었을 것이다. 또, 나중에야 어떻게 됐든 일본 육군이 호주해안에 발을 디디면, 미군은 태평양에서 일본군을 몰아낼 반격 거점이 없어서 태평양을 일본에 양도하고 본토 방위에나 집중해야 했을 것이다.
호주 침공의 거점으로 일본군이 점찍은 곳이 뉴기니였다. 1942년 다카기 해군 중장이 지휘하는 해군 함대가 뉴기니의 포트 모르즈비를 향해 출발했다. 모르즈비를 우선 점령, 이곳을 기지로 호주 북부에 육상군을 침투시키고, 주변의 피지, 사모아, 뉴칼레도니아 제도를 점령해 호주를 봉쇄하자는 게 목표였다. 그렇게 되면 미국의 보급선은 끊길 테고, 호주는 전투능력을 상실할 게 뻔했다.
다카기 함대는 코랄 해에서 미군과 조우했다. 일본군 항모 2척이 손상을 입었고, 미군 전함과 구축함 1척이 침몰했다. 일본군이 승리했지만, 다카기는 모르즈비 상륙을 포기하고 회군하고 말았다. 일본군은 다시 차근차근 최후의 승리를 향해 전진했다. 약간의 병력과 공병대를 솔로몬 제도의 여러 섬에 파견해 비행장을 건설했다. 항공모함대신 바다에서 미국 함정과 수송선을 파괴할 전투기의 발진 기지를 만들겠다는 심산이었다. 모든 것이 완벽해 보였다. 그러나 일본군은 결정적인 한 가지를 놓치고 있었다. 그건 바로 ‘시간’이었다.
코랄 해전에서의 철수로 일본군은 몇 개월 이상의 시간을 허비했다. 그 사이에 호주의 전투사단이 유럽에서 귀환했다. 일본군은 모르즈비의 반대편에 위치한 부나와 고나에 상륙하는 데는 성공했다. 그곳의 수비대는 호주의 민병대 1000명이 전부였다. 하지만 모르즈비에는 중동에서 귀환한 호주군 7사단 병사와 미군 등 1만5000명이 배치되어 있었다. 이곳을 공격한 일본 해병대는 겨우 1200명이었다.
죽음의 정글 앞에서도 무모한 횡단 감행
모르즈비 상륙작전이 실패하자 일본군은 부나에 상륙한 호리이 소장에게 휘하의 1만4000명을 이끌고 뉴기니를 횡단해 모르즈비를 공략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호주 민병대원들은 정글로 들어오는 일본군 행렬이 단순한 정찰대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들의 목적이 뉴기니 횡단이라는 사실을 알고는 경악하고 말았다. 뉴기니의 정글은 전 세계의 어떤 정글과도 달랐다. 칼날 같은 나뭇잎은 군복도 베어버렸다. 땅은 뱀처럼 얽힌 나무줄기, 칡넝쿨, 뿌리와 잡초로 엉켜있고 놀랍게도 그 밑은 허리까지 빠지는 진창이었다. 환기가 되지 않는 정글은 습기와 썩은 내, 독충과 거머리, 박테리아로 가득했다. 심한 경우 가스는 중독과 온갖 열대성 전염병 및 궤양을 일으켰다. 정글이 다 그렇지 않느냐고 말할지도 모르나 뉴기니의 정글은 그 어느 곳보다 독했다. 원주민마저도 정글에는 얼씬하지 않았고, 보수를 주고 짐을 날라달라고 하면 몸서리를 치고 도망쳤다.
정글보다 무서운 적이 또 하나 있었다. 뉴기니의 남북을 둘로 나누는 오웬 스탠리 산맥이었다. 유명한 여류 비행사 아멜리아 에어하트는 뉴기니의 인상을 이렇게 말했다. “고도를 낮추자 구름이 걷히면서 뉴기니의 산들이 그리스의 신들처럼 눈앞에 나타났다.” 이 그리스 신들의 정체는 고도 4000m에 깎아지른 경사를 지닌 진흙 덩어리 산이다. 엄청난 낭떠러지에 수시로 미끄러지고 붕괴되는 길. 지금도 뉴기니의 고원지대에 사는 주민들은 육로대신 경비행기를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