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상사에게 불편한 진실을 말하는 법 -1

현명한 자들에게만 직언의 자유를

구본형 | 19호 (2008년 10월 Issue 2)
사람을 앞에 두고 마음속에 품은 바른 말을 하기는 어렵다. 특히 상대방이 자신보다 높은 직위에 있는 상사이거나 자신에게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면 더욱 그렇다. 바른 말, 즉 직언(直言)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자리를 걸고 말해야 할 때도 있다.
 
직언은 호랑이 꼬리를 밟는 것과 같다
주역(周易)에서는 직언을 ‘호랑이 꼬리를 밟는 일(履虎尾)’에 비유한다. 호랑이 꼬리는 두 가지 의미로 쓰인다. 하나는 꼬리를 내려 항문을 가리니 구리고 냄새나는 것의 덮개이며, 다른 하나는 치켜세워 맹수의 왕임을 보여 주는 용맹과 힘을 상징한다. 직언은 상사의 잘못이나 부족한 점, 심지어 비리를 지적하고 바로잡아야 하는 과정에서 권위에 도전하게 되는 것이니 호랑이 꼬리를 밞는 것처럼 대단히 위태로운 일이라는 뜻이다.
 
직언은 쉽게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그래서 늘 힘을 가진 사람의 주위에는 직언하는 사람보다 좋은 말로 아부하는 사람이 훨씬 더 많다. 역사는 쓴 소리와 충언을 아끼지 않은 사람들의 충절을 기리기도 하지만 직언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거나 목숨을 잃은 사람의 이야기도 무척 많다.
 
춘추전국시대 한비자는 ‘세난(說難)’에서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설득할 때의 어려움을 다음과 같이 설파했다.

상대가 명예를 중히 여기는데 이익에 대하여 말하면 비천한 자라 생각하여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반대로 이익을 중히 여기는데 명예에 대하여 말하면 세상 물정을 모르는 융통성 없는 자라고 배척당하게 된다. 속으로는 이익을 바라면서 입으로 명예를 중히 여기는 사람에게 명예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겉으로는 받아들이는 척하다가 결국 버리고 말 것이다. 이처럼 인간의 심리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설득에 성공하려면 호흡을 살펴 상대의 의중을 파악해야 한다.”
 
직언이 어려운 일이라 하여 잘못된 것을 그대로 두고 비리를 묵인하며 과거의 관행에 절어 살 수만은 없다.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어려운 것을 고치는 직언은 일상에서 꼭 필요하지만 매우 위험한 일이기 때문에 적절한 때와 방법을 가려 익혀두는 것이 좋다. 이를 터득하지 못하면 직언을 하기 어렵고, 직언을 해도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관계만 위태로워질 뿐이다.
 
불편한 진실을 말할 때 갖춰야 할 세 가지 조건
직언이 받아들여지는 조건은 크게 세 가지다. 이 세 가지가 갖춰지면 불편한 진실을 상사에게 말해도 괜찮을 것이다. 받아들여지면 좋고, 그렇지 않더라도 오해가 없다.
 
첫 번째, 서로가 불편한 진실을 말할 수 있는 관계인지 아닌지 분별해야 한다. 즉 자신과 상사의 사이가 직언이 가능한 거리인지 판단해야 한다는 뜻이다. 직언의 거리는 신뢰의 거리와 동일하다.
한비자’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어떤 마을에 부자가 살고 있었다. 비가 많이 와서 담이 무너졌다. 담이 무너진 것을 보고 어느 날 그 집 아들이 아버지에게 담을 고치지 않으면 밤에 도둑이 들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잠시 후 같은 동네의 다른 사람이 또 똑같은 말을 했다. 공교롭게도 그날 밤 도둑이 들어 많은 것을 훔쳐 달아났다. 이 사람은 아들의 말이 맞은 것을 대견해 하며 아들의 현명함을 칭찬했다. 그러나 똑같은 충고를 해 준 이웃 사람에 대해서는 의심했다. 두 사람이 같은 내용의 조언을 해 주었지만 한 사람은 현명하다는 소리를 듣고 또 한 사람은 의심을 받게 되었다. 이런 일은 비일비재하다. 한마디로 직언이 그 내용보다 관계에 더 민감한 함수임을 보여 준다.
 
따라서 상사와 적절한 신뢰의 관계 속에 있을 때만 직언하는 것이 현명하다. 적절한 신뢰의 범위 안에 있지 않다면 직언은 통하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오해를 불러 두 사람은 함께 하기 어려운 관계로 치닫게 될지도 모른다. 가깝지 않으면 아무 말도 하지 마라. 신뢰 관계를 확보하지 못하고 행하는 직언은 불리할 뿐이며, 현명치 못한 행동이다.
   
 
두 번째, 직언할 만큼 적합한 자격을 갖춰야 한다. 직언의 자격 요건에 대해 ‘주역’에서는 이렇게 풀이한다. “애꾸눈도 볼 수 있고, 절름발이도 밟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사람이 자기 분수를 모르고 함부로 호랑이 꼬리를 밟으면 호랑이가 그를 물어 흉하게 된다.” 입 달린 자들이 모두 중구난방 떠들게 되면 불길하다는 뜻이다. 스스로 돌아봐 자신이 직언할 자격이 있는지를 먼저 따져야 한다는 뜻이다. 마키아벨리는 그래서 “현명한 자를 골라 그들에게만 직언할 수 있는 자유를 주라”고 조언했다.
 
서양에서 활 잘 쏘는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 로빈 후드다. 우리나라에는 주몽이 있고, 중국에는 예라는 명궁이 있다. 천하의 명궁이 활을 잡으면 누구라도 과녁을 손에 들고 서있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러나 어린 아이가 활을 쏜다면 그 어머니라도 과녁을 들고 있기가 두려워 방 안으로 숨는다. 활 솜씨가 미더우면 누구나 과녁 아래 세울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어머니라도 자식을 피하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직언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일에 누구보다 높은 전문성과 비즈니스 윤리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자신이 깨끗하지 않은데 비리를 지적하기 어렵고, 일을 잘 모르는데 일의 잘잘못을 따질 수 없으며, 사건을 잘 파악하지 못한 채 나서서 쓴 소리를 하기 어렵다. 스스로 자격을 갖춘 뒤에야 상사를 위해 직언을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직언을 하려면 스스로 깨끗해지고 전문가로 성장해야 하는 숙제가 먼저 요구되는 것이다. 이것이 직언의 생산성이다.
 
세 번째, 사심이 없어야 한다. 가장 중요하면서 가장 어려운 대목이기도 하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장치이기도 하다. 직언은 순수해야 한다. 직언 속에 자신의 이익을 위해 감춰둔 딴 보따리가 들어 있다면 위험하다. 직언이 정의롭고 순수하다면 비록 받아들여지지 않더라도 후환이 없다. 사심이 없다는 것, 이것이 직언의 어려움 속에서도 몸을 다치지 않는 가장 안전한 안전망이다. 그러나 직언의 얼굴을 한 정치적 설득은 가장 중요한 신뢰의 바닥을 파내는 것과 같다. 거래는 가능할지 모르지만 가장 중요한 관계의 자산인 신뢰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상사에게 사심 없는 직언을 하기는 어렵지만, 그것이 현명하게 받아들여진다면 인재들이 모여들고 조직이 크게 성장할 수 있다. 자신을 알아주고 받아들여 주는 조직과 상사를 위해 모든 힘을 쏟아내는 것은 신나는 일이다. 직언이 받아들여져 통하면 아랫사람은 혼신의 힘을 바치게 마련이다. 자신을 알아주었기 때문이다. 이보다 더 큰 동기부여는 없다.
 
불편한 진실이 상사에게 긍정적으로 도달해 받아들여지게 만드는 세 가지 조건은 매우 오랜 세월동안 인류 역사의 곳곳에서 증명되고 입증된 것들이다.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는 매우 단순한 진실이다. 조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면 기다리는 게 현명하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