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R5. 시간 아껴주고 경험 넓혀주는 구독경제의 매력

“어…!” 하는 사이에 활짝 열린 신세계
내 몸이 이미 구독경제를 즐기고 있다

윤덕환 | 301호 (2020년 7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최근 실시한 구독경제와 관련한 소비자 인식 조사의 결과가 제공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여파로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집에서 뭔가를 보는’ 시간을 늘릴 가능성은 매우 높아졌다. 둘째, 구독경제 서비스가 주는 주요한 장점 중 하나가 ‘시간을 절약’해주는 것이다. 장 보는 시간, 물건 고르는 시간을 줄여주는 것이 중요한 장점 중 하나다. 셋째, 더 많은 소비자가 ‘다양한 경험’이라는 욕구를 채우기 위해 구독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다.



넷플릭스가 열어버린 내 생활 속 ‘구독경제’라는 신세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옴짝달싹 못하던 2020년 3월. 어. 어. 어 하는 사이에 학교, 회사, 일상이 정지됐다. 그 좋아하던 극장으로도 발길을 뚝 끊었다. 때마침 ‘킹덤(Kingdom) 시즌2’가 넷플릭스(Netflix)에 공개됐다는 뉴스가 떴다. 이내 스포일러가 돌기 시작했다. 마음이 급해졌다. 어라? 첫 달은 공짜. 출금은 다음 달부터. 한 달 이내 해지 가능. 오호. ‘멍청한 넘들. 킹덤만 휘리릭 접수하고 해지해야지’라고 체리피커(cherry picker)의 흑심으로 접근했던 내 영악함은 ‘이쪽 세계’를 전혀 모르는 천진난만함이었다. 왜냐하면 넷플릭스를 가입한 첫날, ‘다음 회 이어보기’라는 알고리즘에 제대로 낚였기 때문이다. 다음날 새벽까지 킹덤 시즌1, 2를 끊을 수 없어 정주행하고, 그다음부터는 내 계정에 맞춤형 드라마, 영화, 다큐멘터리 추천이 집중적으로 쏟아졌다. 취향을 제대로 저격한 넷플릭스에 내 일상은 포위당했다. 나는 매월 넷플릭스에 1만4500원을 군말 없이 결제하는 열혈 ‘구독자’가 됐다. 혹, 나 같은 사람이 많으려나?

이미 많았다. 넷플릭스는 2019년 4분기 동안 전 세계 가입자가 876만 명1 늘었는데 올해 1분기에는 이 숫자의 거의 2배가 증가했다고 전해진다.2

069

구독경제(Subscription Economy)는 코로나19 이전에도 이미 주목받는 시장이었다.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에 따르면 제품이나 서비스를 일정 금액을 내고 일정한 기간만 소유•사용하는 방식의 구독경제 시장 규모는 2016년까지 세계적으로 약 470조 원이었는데 2020년에는 600조 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3 무슨 구체적인 상품이나 서비스도 아니고 용어도 알쏭달쏭한 이 ‘구독경제’의 어떤 부분이 소비자에게 먹히고 있다는 것일까? 그리고 엄혹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구독경제는 여전히 성장할 수 있을까? 일단 소비자의 머릿속이 궁금했다. 과연 소비자들은 이 ‘구독경제’라는 용어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을까?

가입하면 무료

  • 윤덕환dhyoon@trendmonitor.co.kr

    - (전)인천대 소비자·아동학과 겸임교수
    - (현)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콘텐츠사업부장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