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대가 다양한 생산 라인을 동시에 가동해 영업이익률을 극대화하고, 그 수익을 R&D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방식으로 파운드리 시장에서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을 구축했다.
2. 디자인하우스로 불리는 가치사슬협력자(VCA)를 매개로 고객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맞춤형 공정을 설계하고 제공함으로써 공정 기술력과 노하우를 구축하고, 다른 회사들이 넘볼 수 없는 신뢰 자산을 쌓았다.
3. 공정 기술에만 매진하지 않고 소재부터 소자, 부품부터 장비까지 반도체 제조의 생태계를 아우르며 기술의 발전을 촉진했다. 이를 토대로 고객사에 대한 종합적인 반도체 제조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파운드리 업계에서의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
2022년 대만 반도체 기업 TSMC의 시장 지배력은 압도적이었다. 2022년 3분기 기준, TSMC는 매출액 207억 달러와 수익 88억 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수치다. TSMC의 영업이익률은 40%를 상회하는데 이는 반도체 업계에서도 제일 높은 수준에 해당한다. TSMC는 글로벌 파운드리11반도체 산업에서 외부 업체(주로 팹리스 업체)가 설계한 반도체 제품을 위탁받아 생산•공급하는, 첨단 제조 공장을 가진 전문 업체를 지칭한다.닫기 시장을 절반 이상 점유(2021년 기준 시장점유율 53.5%)하고 있는 1위 업체이다. 이는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부가 가진 점유율(2021년 기준 점유율 16.5%)의 3배 이상에 달한다. TSMC가 삼성전자나 미국의 인텔 같은 종합 반도체 회사(IDM)가 아니라 파운드리에만 집중하면서도 높은 매출액과 이익률을 기록할 수 있는 이유는 파운드리 시장에서 이처럼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TSMC는 앞으로도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기록하며 독점에 가까운 위치를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파운드리 강자의 자리를 공고히 한 TSMC의 시장 지배 전략을 공정 기술력, 고객과의 파트너십, 비즈니스 모델의 확장 등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최선두의 공정 기술력
첨단 반도체 칩 제조에서 가장 중요한 선단(첨단, advanced) 공정 기술인 10나노미터(nm) 이하급 초미세 패터닝(patterning) 기술에서 TSMC는 최선두권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22년부터 TSMC의 매출 및 수익 전략이 고부가가치 파운드리, 즉 5, 7나노 공정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2022년 3분기 기준, 5, 7나노 공정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40% 이하지만 이 두 공정에서 올린 수익은 60%에 육박했다. 이러한 경향은 2023년 이후 5나노급 이하 공정으로의 이동이 빨라지면서 더욱 두드러질 것이다. 특히 3나노 다음 영역인 2나노 공정222나노 공정은 3나노 공정에 비해 정보처리 속도가 15% 가까이 향상되며 전력 소모량은 25% 이상 감축될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른바 전성비는 50% 이상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차세대 전공정 기술이다.닫기은 현재 애플 실리콘(Apple Silicon)33애플이 ARM 아키텍처를 사용해 설계한 단일 칩 체제(SoC)와 시스템 인 패키지(SiP) 프로세서로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등 애플 제품과 플랫폼에 독점적으로 사용된다.닫기 생산 위주로 팹(fab)44fabrication facility의 줄임말로 반도체 부품을 생산하는 생산 시설을 의미한다.닫기이 구성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업체인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MD)의 차세대 HPC(고성능 컴퓨터)용 CPU 제조 물량이 2023년 상반기부터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TSMC의 시장에서의 지배력은 모바일과 HPC 양쪽에서도 2025년 이후 확장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