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표 3] 이직 시 판단기준에 대한 중요도 분석 예시

158호 (2014년 8월 Issue 1)

한철환
- HSG 휴먼솔루션그룹 성과관리연구소장 /
김한솔
HSG 조직갈등 연구소 소장

사람과 사람 사이의 문제를 풀어가는 데 언어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소통을 통해 조직의 효과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찾는 커뮤니케이터다. 비즈니스 교육 전문 기관 HSG 휴먼솔루션그룹에서 강의와 컨설팅 등을 통해 조직의 성과 향상을 돕고 있다. 저서로 『이기적 리더』 『1% 디테일: 성공적인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비결』 『설득하지 말고 납득하게 하라(공저)』 등이 있다.
hskim@tsg.or.kr
[표 3] 이직 시 판단기준에 대한 중요도 분석 예시

몰입을 위한 선결 조건 - 올바른 우선순위 설정

시간 압박을 받을 때 집중력이 생기고 일도 더 잘되는 것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몰입’이 아니라 ‘긴급성 중독’에 빠져 있는 것. 시간 압박이 있는 상황에선 창의적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 어려움. 새로운 방식의 업무를 통해 성과를 내고 싶다면 급하지 않지만 중요한 일에 초점을 둬야 함. 우선순위를 제대로 정하기 위해 계층화 분석기법인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를 적극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 복잡다단한 속성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우선순위를 명확히 결정해 놓아야만 스스로 내린 의사결정에 대해 납득할 수 있는 논리를 세울 수 있어 업무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