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표1] 사회정책 결정과정에서 기업의 전략

139호 (2013년 10월 Issue 1)

임일 임일
임일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

필자는 서울대에서 경영학 학사와 석사를 받은 후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정보시스템 분야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교수를 거쳐 2005년부터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개인화, 추천 시스템 등이다
il.lim@younsei.ac.kr
이왕휘 이왕휘
이왕휘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lee.w@ajou.ac.kr
안도현
제주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dohyun@SocialBrain.kr
강형구 강형구
강형구
한양대 파이낸스경영학과 부교수

필자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버지니아주립대에서 경제학 박사 과정 수료 후 듀크대 푸쿠아 경영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리먼브러더스 아시아본부 퀀트전략팀과 액센츄어에서 재무·금융 교육 프로젝트를 담당했다. 하버드대 Edmond J. Safra Center for Ethics 리서치 펠로를 지냈으며 머신러닝 기반 핀테크 기업인 한다파트너스를 창업한 바 있다.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위원회 자문위원,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자문위원, 국정기획위원회 자문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 연구 분야는 혁신기술 금융과 기계학습(계량경제학) 빅데이터 기반 행동 재무 등이다.
hyoungkang@hanyang.ac.kr
[표1] 사회정책 결정과정에서 기업의 전략

복지정책 결정과정에서 정치경제 엘리트가 취할 수 있는 전략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화해이며 다른 하나는 억압이다. 권위주의 체제하에서는 화해와 억압 두 가지 전략을 모두 구사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체제하에서 억압 전략을 사용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민주주의 체제하에서는 정책의 범위와 혜택을 봉쇄하는 수준에 머무른다. 민주주의 체제하에서 기업의 대응은 정치적 상황에 영향을 받는다. 정치적 상황은 혁명적인 것과 개혁적인 것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는 반자본주의적 성향이 내재돼 있기 때문에 기업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정치적 불안정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반면 후자는 노동비용의 증가 또는 기업활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사회적 개혁의 결과이기 때문에 정치적 불안정성의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