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호 (2011년 5월 Issue 2)
스마트워크 모델
① FT(Flexible Time) 모델: 근무시간 자율선택제처럼 시간의 유연성에 집중하는 모델. 조직을 구성하는 4요소(업무, 공식적 조직, 비공식적 조직, 인력) 측면에서의 경영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함.
② FTS(Flexible Time to Space) 모델: 모바일 오피스, 재택근무 등 시간뿐 아니라 공간 측면에서도 유연성을 부여하는 모델. FTS 모델의 성공적 구현을 위해서는 경영 인프라는 물론 ICT 인프라(모바일 기기, 접속 기술, 인트라넷 연동 기술, 보안 시스템 등) 역시 선행 구축돼야 함.
③ FTR(Flexible Time to Resource) 모델: 시간과 공간의 유연성뿐 아니라 지식경영 차원의 자원 활용에서도 유연성이 부여되는 모델. 경영 인프라, ICT 인프라에 더해 지식 네트워크 구축 필요.
업무 기능별 스마트워크 도입 전략
① R&D, 기획 업무: 업무 표준화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정성적 업무 성과 → FTR 모델(예: 집약근무제)
② HR, 재무, 회계 등 일반 지원 업무: 업무 표준화가 쉬우면서 정성적인 업무 성과 → FTS 모델(예: 근무시간 자율선택제)
③ 생산: 업무 표준화가 용이하며 정량적 업무 성과 → FT 모델(예: 근로시간 계정제)
④ 영업, AS: 업무 표준화가 어려우면서 정량적 업무 성과 → FTS 모델(예: 모바일 오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