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호 (2008년 3월 Issue 2)
[그림 1]을 보면 협업 및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분산화된 방향으로 구축해야 한다. 다른 지역에서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는 두 조직을 분석한 결과 성과가 높은 그룹은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마인드를 지닌 리더십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네트워크가 더욱 분산돼 연결 관계가 다양한 것으로 드러났다. 위계질서가 분명했지만 정보 및 지식 네트워크가 분산되면서 구성원의 참여도는 더 높았다.
반면 성과가 낮은 조직은 개방성 및 협업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지닌 한 명의 리더가 대부분의 교류를 통제하고 있으며, 구성원 간의 교류가 훨씬 적고 네트워크 구조도 중앙 집중화된 형태를 띠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