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Column

우리는 구성원을 얼마나 아는가

박정열 | 390호 (2024년 4월 Issue 1)

최근 불황으로 한풀 꺾인 감이 있지만 여전히 많은 직장인의 꿈은 ‘퇴사’다. 특히 최근의 퇴사 열풍이 과거와 다른 점은 회사를 떠나게 되는 상황에 대해 판단하고 결정하는 주체가 조직에서 직원 개인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를 떠나는 이유가 과거보다 훨씬 더 정서적이며 개별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맥킨지 대퇴사 보고서에 따르면 구성원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조직, 그리고 리더와의 관계를 통해 얻어 지는 ‘존중받는 느낌’, 그리고 이로부터 파생되는 ‘소속감’과 ‘상호 연결감’이라는 것이 확인됐다.

존중은 라틴어로 Respectus인데 ‘반복’을 의미하는 접두어 Re와 ‘본다’는 의미의 Specere(스페케레)로 이뤄진 단어다. 반복해서 본다는 것은 대상을 피상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본질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즉, 존중은 ‘구성원을 일반화해 피상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그만의 독특함을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 A, B 두 사람이 있다고 가정하자. IQ 테스트를 실시했고 두 사람 모두 123이 나왔다. 그렇다면 A와 B는 지능이 같은 건가? 결괏값을 보면 같은 지능을 가진 것으로 간주하고 싶지만 측정 세부 항목들을 들여다보면 그렇게 판단하는 것이 무리임을 알 수 있다. 결괏값은 측정 항목들의 평균값이기 때문이다. 평균은 일반화를 통해 복잡한 대상을 대략 어림잡을 수 있도록 돕는다. 하지만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한다. 속도와 효율을 얻는 반면 정확도와 효과는 희생되는 것이다. 우리는 누구나 특정 관점으로 싸잡히거나 일반화되지 않고 고유한 나 자신 그 자체로 인식되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박정열

    박정열soulpark77@hyundai.com

    현대자동차그룹 경영연구원 전임교수

    박정열 전임교수는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를, 서울대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LG경영개발원을 거쳐 삼정KPMG에서 Learning & Development Center Director를 지냈다. 자기다움에 기반한 마인드 빌드업 프로그램, ‘미래인재마인드’ 과정을 개발해 반향을 일으켰다. 한국산업교육학회 이사로도 활동 중이며 대표 저서로는 『휴탈리티 미래인재의 조건(저녁달, 2023)』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