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mini box : 성공 요인 및 시사점

농사 배우고 현장서 함께 땀 흘려…
농가 신뢰 쌓아 계약 확대

전정환 | 417호 (2025년 5월 Issue 2)

참고 기사 : 감자 계약재배로 농가-기업 불만 동시 해소 AI-데이터 활용, 가격 예측 정확도 높여


CS_mini


과거의 성공 방정식이 현재의 문제로

현재 한국 농업이 안고 있는 당면 과제는 1960년대부터 본격화된 정부 주도 농업 정책의 관성에서 기인한다. 정부는 식량 자급(특히 쌀)과 농촌 개발을 통한 도농 격차 해소, 농민 소득 증대를 목표로 자본과 기술 공급, 농산물 유통 및 가격 결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 정부 주도의 비료 및 농약 지원, 품종 개량은 농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하지만 60여 년이 지난 지금, 이 같은 성공의 경험은 새로운 문제를 낳고 있다. 정부 주도의 오랜 관성으로 인해 민간에서 농업이 자생력을 기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30년 전부터 시장 개방이 확대되면서 가격경쟁력 확보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구조적 전환이 시급해졌지만 한국의 농업은 소농 중심 구조가 고착화된 상태에서 고령화와 인구 절벽을 맞이했다. 더욱이 가속화되는 전 세계의 기후변화에도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위급한 상황이다. 이렇게 민간 주도의 혁신 역량이 미흡한 상황에서 우리 농업이 과연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과거에는 정부 주도 혁신이 문제를 해결했지만 이제는 민간이 문제 해결을 주도하는 시대다. 시장의 문제를 혁신적인 비즈니스로 해결하며 빠른 성장을 추구하는 스타트업들의 역할도 커지고 있다. 지금 스타트업들에 농업은 기회의 땅이다. 스타트업은 정부나 대기업에 비해 자금과 인적 자원, 네트워크가 현저히 부족하다. 이런 제약에도 불구하고 스타트업들은 시장의 문제를 예리하게 포착하고 그동안 없었던 해결책을 만들어내는 데 집중해 전례 없는 비즈니스를 창출해낸다. 초기에 만든 성공 사례는 미약할지 몰라도 이후 투자 유치와 스케일업을 통해 단기간에 거대한 성장을 일구기도 한다.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농업이야말로 스타트업이 기여할 수 있는 일이 많은 영역이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전정환drawnote@gmail.com

    커뮤니티엑스 대표·크립톤 부대표

    필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프론트엔드개발본부장, 로컬서비스유닛장 출신으로 2015년부터 7년간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을 지내며 지역창업생태계를 조성했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크립톤의 부대표를 맡고 있다. 저서로 『밀레니얼의 반격』 『커뮤니티 자본론』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