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KGSB Knowledge: 휴대폰 공정무역을 시도하는 페어폰

“‘착한 광물 쓰자’ 캠페인으로 시작한 페어폰, 스토리 아는 고객이 우리의 마케터”

리 후이(Li Hui) | 198호 (2016년 4월 lssue 1)

 

Article at a Glance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사를 둔 페어폰(Fairphone)은 인권과 환경파괴 등을 고려한 ‘미분쟁광물’만을 사용해 제조한 휴대폰을 판매하고 있다. 생산 파트너를 고를 때도 이런 회사의 철학에 공감하는 업체만 고른다. 페어폰1은 유럽에서만 6만 대 판매됐고 수익은 모두 페어폰2에 재투자됐다. 광고는 전혀 하지 않고 홈페이지와 소셜미디어를 통해서만 홍보한다. 가장 뛰어난 휴대폰을 파는 것이 아니라 휴대폰을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사명을 갖고 있는 회사다.

 

 

 

편집자주

이 글은 <CKGSB Knowledge>에 실린 ‘Fairphone Takes a Crack at Fair Trade in Mobile Phones(2015 10)’를 번역한 것입니다.

 

 

음식, , 공기, 집은 인간생활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들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요즘 시대에는 휴대폰 역시 이 목록에 추가해야 할 것이다. 친구, 가족들과 연락하고 지내는 것부터 일상생활에 도움을 주는 앱들까지, 사람들의 휴대폰 의존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세일즈포스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2014 모바일 행동 보고서(2014 Mobile Behavior Report)에 따르면, 사용자들의 하루 평균 휴대폰 사용 시간은 3.3시간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최신 휴대폰을 갈망하고, 때론 휴대폰을 사기 위해 이른 아침부터 길게 줄을 서기도 한다. 이제 스마트폰은 스타일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 됐다.

 

그런데 혹시 휴대폰이 어디서 만들어지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본 적이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조금은 뻔하고 당연한 대답 중 하나가 바로중국이다. 중국은 세계의 공장으로서 휴대폰을 포함해 우리가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것들을 제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면 다양한 국가들로 거슬러 올라가 볼 수 있다. 그 예로 휴대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마더보드를 살펴보자. 마더보드의 복잡한 회로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광물들은 콩고민주공화국과 같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광산에서 채굴된 것이다.

콩고와 관련된 골치 아픈 문제 중 하나가분쟁광물(conflict minerals)’이다. 분쟁광물이란 무장세력의 협박하에 기본적인 인권을 빼앗긴 노동자들이 채굴한 광물을 일컫는 용어다(주로 콩고 동부 지역에서 발생). 이러한분쟁광물에 의해 얻어진 수익이 무기제조 등에 재투자되면서 분쟁상황을 더욱 심화시키는 악순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악순환을 끝내기 위해 미국은 규제를 시행했다. 미 금융 시스템의 금융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알려진 도드-프랭크법안(Dodd-Frank Act)에 콩고민주공화국 또는 그 인근 국가에서 채굴된분쟁광물을 자사 제품에 사용하는 기업들은 이를 명시하도록 요구하는 조항이 포함된 것이다. 그 결과, 일부 제조업체들은 비난받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지역에서 채굴되는 광물의 구매를 모두 중지했다. 그 지역에서 채굴된 모든 광물이분쟁광물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결국 이는 지역 경제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을 뿐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하지 못했다.

 

한편 페어폰의 창립자이자 CEO인 바스 판 아벨(Bas van Abel)은 사회에 깨달음을 줄 수 있는 제품을 설계하기로 결심했다. 그것이 바로 환경과 인간에게 미치는 해를 최소화하도록 제작된 휴대폰, 페어폰(Fairphone)이다.

 

페어폰의 첫 번째 모델인 페어폰1은 그 어떤 주요 투자자들도 없이 크라우드펀딩만으로 출시됐다. 각 기기의 가격은 325유로였는데, 이는 749유로에 판매된 16기가바이트 아이폰6S 제품가격의 거의 절반 수준이었다. 놀랍게도 페어폰1은 출시된 지 한 달 만에 1만 대의 선주문을 달성했다. 초기 목표로 했던 5000대의 두 배에 달하는 성과였다. 페어폰의 공식 홈페이지 내 데이터에 따르면, 페어폰은 현재까지 6만 대가 판매됐다. 하지만 아쉽게도 관세, 불충분한 자원, 지역 정책 등의 문제로 인해 유럽 내에서만 판매되고 있다.

 

물론 페어폰을 업계 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페어폰은 페어폰1의 판매를 통해 얻은 수익 전부를 곧 시장에 출시될 예정인 페어폰2에 재투자했고, 재정적 측면에서 보면 아직은 파산하지 않은 상태다.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함과 동시에 사업적으로도 성공하는 것이 가능할까. 이 질문에 대해 농담처럼 대답하듯 페어폰은 자사의 제품 패키지에 ‘Failphone(실패한 폰)’이라고 적힌 작은 카드를 함께 넣어주고 있다. 이는 페어폰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다. 많은 소비자들이 매일 마시는 커피에 공정무역을 위한 별도의 작은 비용을 쓸 의지가 있다고 하더라도 화려한 아이폰 대신공정한 휴대폰을 위해 큰 비용을 지출하려는 소비자들은 과연 몇 명이나 될까. 결론을 내리기에는 아직 이르다.

 

페어폰 프로젝트 매니저인 뮬란 무(Mulan Mu)는 인터뷰를 통해 페어폰의 사업 의도와 기업 비전을 실현하고 앞으로의 도전과제들에 대응하기 위한 계획을 설명했다.

 

 

 

페어폰 설립 배경에는 어떤 아이디어가 있었나요?

초기에 페어폰은 기업이 아닌 하나의 캠페인이었습니다. 그러다가 2013, ‘분쟁광물에 초점을 두고 기업으로 설립됐죠. 많은 광물들이 아프리카에서 생산됩니다. 콩고민주공화국의 사례처럼 정치경제적 불안정성을 안고 있는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 내에서 광물 채굴로 인한 수익은 대부분 무장 세력에 약탈당하고 지역 분쟁에 이용되죠. 분쟁광물이라는 용어가 생겨난 이유입니다.

 

분쟁광물에는 금광석, 주석, 탄탈륨, 텅스텐, 이렇게 네 종류의 광물들이 포함됩니다. 이 광물들은 가정용 백색가전제품에 흔히 사용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전자제품에 이 광물들 중 최소 한 가지 종류의 광물이 포함돼 있죠.

 

페어폰뿐만 아니라 많은 국제사회가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도드-프랭크 법안을 작성했죠. 이 법안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전자제품에분쟁광물지역에서 생산된 광물이 포함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많은 제조업체들이 법안을 위반하지 않기 위해 이러한 지역에서 생산된 광물의 구매를 중단했습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모든 광물들이분쟁광물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이는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왔습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