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Column

ESG 대신 ‘지속가능성’에 몰두할 시간

이한상 | 404호 (2024년 11월 Issue 1)

ESG라는 라벨은 수명을 다했다. 정치적 문화전쟁의 희생양이다. 우파는 좌파가 ‘워크(Woke·깨어 있음, 정치적 올바름을 추구하는 사람)’라는 명목으로 치장하기 위해 활용하는 아이템이라 비난하고, 좌파는 규제를 피하기 위해 최고경영진 맘대로 ‘쇼쇼쇼’를 하는 것이라고 치부한다. ESG 투자 세계도 결국은 이익이라는 가치(value) 파벌과 목적을 위해 이익을 희생할 수 있다는 가치관(values) 진영으로 나뉘어 혼란을 겪고 있다. 시끄러운 ESG 라벨을 버리고 장기적 이익을 기업 전략의 당연한 일부로 보는 지속가능성 경영에 집중할 시간이다. 기후 위기에 대해 좌파와 진보는 모두 스웨덴 출신의 유명 청소년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처럼 시위를 통해 목청을 높였다. 그러나 우파와 보수는 기술과 금융으로 극복하자며 사업 기회를 찾는다. 이명박 정부의 녹색정책은 선견지명의 한 수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는 ‘창조’를 강조하면서 바통을 이어받지 못했고, 문재인 정부는 환경운동가 프레임으로 무리한 약속과 비현실적 정책을 남발했다. 현 윤석열 정부는 이 주제에 주춤하고 있다.

기후 위기는 거의 모든 과학자가 동의하는 가장 시급한 당면 문제다. 올 8월 헌법재판소의 탄소중립법 위헌 판결의 핵심은 환경 문제는 인권 문제이고, 기성세대는 미래 세대에 책임을 떠넘기지 말라는 경고다. 기후 위기의 해결을 위해선 막대한 전환 투자가 필수다. 투자 의사결정을 위해 고품질의 기후 관련 정보가 필요하다. 이 정보는 비교 가능한 기업의 지속가능성 의무 공시에서 나온다. 기초는 지속가능성 기준과 인증 시스템이다.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는 올 4월 기후 공시 중심의 지속가능성공시기준 공개 초안을 내놓았다. 4개월 동안 무려 256개의 의견서가 도착했다. 이례적으로 세계적 국부펀드와 연기금을 포함한 17곳의 해외투자가가 의견을 표명했다. 요점은 요령 피우지 말고 국제기준과 동일하게 하루라도 빨리 의무공시를 시작하라는 것이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이한상

    이한상hanyi@kasb.or.kr

    고려대 경영대학 교수, 한국회계기준원장

    필자는 현재 한국회계기준원 원장, 회계기준위원회 및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행정고시 37회로 국세청에서 국제 조세 업무를 맡았다.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텍사스대 회계학 석사, 미시간주립대 경영학 박사 과정을 마쳤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부회장,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전문위원 및 대통령직속국민경제자문회의 거시경제분과 위원을 역임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