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사회책임경영

CSR은 ‘자선’이 아니라 ‘책임’이다

이승규 | 15호 (2008년 8월 Issue 2)
새 정부가 출범한지 5개월이 지났다. 길지 않은 이 기간에 새 정부는 우리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와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에게 ‘신뢰와 소통’에 대하여 깊게 생각할 기회를 줬다. 너무나 다양한 의견과 주장, 분석과 제안이 나왔기 때문에 여기에서 이런 내용을 다시 자세히 살펴볼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이 대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출신이라는 점에서 영리기업의 성공적인 CEO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주장을 조정해야 하는 국정의 최고책임자인 대통령으로 성공하기 어렵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물론 영리기업 CEO의 경영과제와 대통령의 국정과제를 생각하면 복잡성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으므로 이런 생각을 해볼 수는 있다. 그러나 이는 현대 기업 경영의 발전 수준과 CEO의 활동 내용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온 단견으로 판단된다. 이 글에서는 오히려 기업의 사회책임경영(Responsible Business) 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Cor- 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 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 정부가 출범 초기에 직면한 혼란에서 벗어날 수 있고, 성공적으로 임기를 마칠 수 있는 기회를 찾을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책임경영에 대한 오해와 이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라는 주제가 세계적으로 기업경영과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화두가 된지 오래다. 그런데 이 분야만큼 화려한 말의 수사(Rhetoric)와 실제(Reality) 간 격차가 큰 경우 많지 않다. 사람마다 입장과 이해관계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이 현상을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영리를 추구하면서 생산·고용·납세 등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견해도 있고, 기업의 자선활동을 사회공헌으로 여기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기업이윤의 사회 환원이라는 말로 번 돈을 사회에 돌려주는 것이 기업 또는 투자자의 책임인 것처럼 생각하는 흐름도 아직 남아 있는 듯하다.
 
이런 오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거창한 용어의 모호성에서 오는 것으로 보인다. CSR은 기업활동이 고객·공급자·종업원·주주 등 주요 이해관계자와 기업이 속한 공동체나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impacts)에 대해 책임 있게 행동할 것을 요구한다. 여기에는 기업의 영리추구목적에 대한 의심이나 이익을 사회에 돌려준다든가 하는 모호한 오해의 여지는 전혀 없다. CSR의 핵심은 기업이 자기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것이지 사회문제 해결에 책임을 진다는 뜻이 아니다.
 
그렇다면 CSR이 부상한 배경은 무엇일까. 세계적인 시장경제의 발전으로 사회의 여러 부문 중 기업의 역할이 급격하게 커졌다. 이에 따라 대부분 사회문제가 기업활동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절감했다. 즉 더 커진 영향력만큼 더 큰 책임을 기업에 요구한 것이다.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 입장에서 이런 변화는 매우 심각한 도전이다. CSR에 적극적인 기업은 이런 변화한 환경에서 더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자신이 책임져야 할 사회문제에 대해 주의 깊게 행동하며 대처하고 있다. 즉 CSR은 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더 윤리적이 되거나 기업의 근원적 목표가 바뀌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CSR은 ‘행동 결과에 대한 책임’과 ‘책임져야 할 결과에 대한 사전적 주의 및 배려’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미있는 사례로 우리나라에서 사회책임경영 또는 윤리경영에서 앞서 나가고 있는 금호아시아나 그룹의 ‘지탄 받지 않는 경영’이라는 구호를 들 수 있다. 필자가 이 문구를 처음 봤을 때 (누구나 같은 인상을 받겠지만) 거대 기업의 경영 구호로는 너무나 원색적이고 방어적인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가졌다. 그러나 생각하면 할수록 이는 행동과 책임이라는 사회책임경영의 본질을 간파한 실용적이고 강력한 문안이라 생각된다. 기업 활동은 수많은 이해관계자에게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적어도 그 누구에게도 ‘지탄’ 받을 행동은 하지 말자는 기준은 기업 내부의 경영자와 관리자·종업원들에게 명확한 행동 기준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이를 새 정부가 지난 5개월간 받은 많은 ‘지탄’에 적용해 보자. 오렌지 파동과 영어몰입교육, 고소영-강부자 내각, 0교시 수업과 얼리 버드, 광우병 파동, 촛불 배후설, 외환시장 개입, 측근 인사, 금강산 사건, 독도 문제 등은 ‘지탄 받기 위해 노력하는 듯한’ 현 정부의 문제점을 보여 준다. 물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입장이 각각 다르므로 한 집단의 칭송을 받을 행동이 다른 집단에서는 비난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지탄이란 말은 대다수 사람들로부터 손가락질을 받는, 행동의 주체가 사과와 변명을 늘어놓아야 하는 ‘책임지지 못할 언행’에 대해 사용된다는 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가입하면 무료

  • 이승규

    - (현)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
    - 풀브라이트 방문교수로 미국 로체스터대에서 연구
    - 아르곤 국립연구소 방문연구원
    - 정부, 공기업, 현대자동차, 삼성, LG, SK 등 다수 대기업 자문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