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EO를 위한 인문고전 강독

수렵인 vs 농경민, 삶의 질은?

김원철 | 85호 (2011년 7월 Issue 2)

편집자주 21세기 초경쟁 시대에 인문학적 상상력이 경영의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DBR은 ‘CEO를 위한 인문고전 강독’ 코너를 통해 동서고금의 고전에 담긴 핵심 아이디어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인류의 사상과 지혜의 뿌리가 된 인문학 분야의 고전을 통해 새로운 영감을 얻으시기 바랍니다.
 
수렵사회보다 농경사회의 삶이 고달팠다는 재미있는 연구결과가 최근 학계에 보고됐다. 상식의 눈으로 보면 수렵사회의 삶이 훨씬 고달팠을 것처럼 보인다. 추위는 둘째치고라도 맹수들에 대한 공포로 매일 밤을 떨었을 것이다. 먹을 것은 또 어떠했겠는가. 사냥터에서 빈손으로 돌아오는 날이 부지기수였을 것이고 요행히 사냥에 성공한 날이라도 무리 중 힘센 이가 아니라면 배불리 먹지도 못했을 것이다. 이러한 상식적 견해에 대해 전문가들은 이렇게 말한다.
 
“당신들은 수렵·채집사회의 인류를 마치 오늘날의 노숙자처럼 바라보고 있는 것은 아닌가? 그들은 비위생적이고 불규칙한 식사로 인해 만성적인 소화불량을 앓지도 않았으며, 낙오자라는 심리적 압박으로 인해 대인기피증에 시달리지도 않았다.”
 
맞는 말이다. 한 데서 잠을 청할지언정 수렵인들은 현대인처럼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지는 않았을 것이다. 수렵인이 농경민보다 잘 살았음을 보여주는 과학적인 근거들도 있다. 일례로 부시맨들은 초기 농경사회의 일인당 노동시간보다 훨씬 적은 주 12∼19시간의 노동을 했을 뿐이다. 그들은 하루 2140 정도를 섭취했는데 이는 20세 이상 한국인 남성 권장량인 1800∼2500에도 맞먹는 것이다.
 
하지만 상식의 반문은 계속된다. 몇 가지 수치만으로 어떻게 삶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는 말인가? 설령 영양섭취 측면에서는 수렵사회가 농경사회보다 나았다고 하더라도 삶의 안정감이라는 측면에서는 후자가 월등히 낫지 않았겠는가? 삶의 안정감을 과학적으로 측정하기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없다. 다들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이처럼 과학과 상식이 맞서는 경우 우리는 어느 쪽에 손을 들어줘야 할까? 조르주 캉길렘 (Georges Canguilhem, 1904∼1995)이라면 아마도 상식 쪽에 손을 들어줄 것이다.
 
그는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에서 “의학은 사람들이 아프다고 느끼기 때문에 존재한다. 의학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신이 어떻게 아픈지를 아는 것은 어디까지나 이차적인 일이다”고 설명했다. 캉길렘의 이러한 주장을 문외한의 호기 정도로 치부하지는 마라.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은 그가 스트라스부르대에 제출했던 의학박사 학위논문이었다.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일상적으로 두 용어는 선악이나 미추처럼 상호대립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그렇다면 병리적인 상태를 비정상적인 상태라고 말해도 좋을까? 성인의 정상적인 심박수는 60-100bpm이라고 한다. 심박수가 60bpm 이하나 100bpm 이상인 사람들은 분명 비정상적이다. 그렇다고 그들이 질병을 앓고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요가 수행자들의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비정상적인 심박수가 오히려 건강한 생명력을 보여주는 징표가 되기도 한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