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왕이 묻고 신하가 답하다: 연산군과 이자

“좋은 재상 얻으려면 임금부터 달라져야”

김준태 | 354호 (2022년 10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무릇 리더들은 리더 자신에게 충성하고 리더의 말을 어기지 않으며 일도 잘하는 부하를 뽑고 싶어 한다. 그러나 리더가 자신의 입맛에 맞는 부하만 찾는다면 업적은 남길 수 있을지 몰라도 결코 좋은 부하는 얻을 수 없다. 무엇보다도 좋은 부하를 얻으려면 리더부터 달라져야 한다. 상황을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감정에 치우쳐 행동한다면 좋은 부하가 있더라도 능력을 펼치지 못한다. 좋은 인재는 중심을 잡지 못하는 리더와 함께하지 않는다.



리더는 누구나 뛰어난 부하를 옆에 두기 바란다. 안목이 탁월하고 업무 능력이 출중한 인재를 말이다. 맡은 분야에서 큰 성과를 내 조직의 발전을 이끌고, 리더의 부담까지 덜어줄 수 있다면 더없이 좋을 것이다. 이는 옛날에도 마찬가지였다. 왕들은 어떻게 해야 자신을 훌륭히 보좌해 줄 신하를 얻을 수 있을지 고민했다. 특히 좋은 재상(宰相)을 발탁하는 일에 관심이 많았는데 재상은 임금을 보좌하고, 백관을 통솔하며, 국정을 총괄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재상을 통해 세습군주제를 보완하고 유학의 이상을 실현한다는 거창한 명분을 굳이 내세우지 않더라도 재상이 똑똑하고 일을 잘해야 임금이 편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125


이는 난정(亂政)을 휘두른 연산군(燕山君, 재위 1494∼1506)이라도 다르지 않았다. 1504년(연산 10) 식년시(式年試)1 의 책문(策問)을 보면 연산군은 ① 국가가 평안하냐 위태롭냐는 재상(宰相)에게 달려 있으니, 역대로 재상의 직임을 잘 수행한 자에 대해 들려줄 수 있겠는가? ② 주공(周公)2 이 성왕(成王)을 잘 보좌하여 800년 대업의 기틀을 닦을 수 있었던 방법은 무엇인가? ③ 곽광(霍光)3 이 주공보다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④ 재상을 맡은 자가 성(誠)으로 임금을 섬기면 옛날 주나라의 훌륭했던 정치를 다시 볼 수 있는가?4 이 네 가지를 물었다.

서로 다른 질문 같지만 결국엔 하나로 귀결된다. 좋은 재상을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굳이 주공과 곽광을 비교하고 있다. 주공은 사심 없이 온 정성을 다해 임금을 위해 헌신했고, 곽광은 뛰어난 인물이긴 하지만 황제를 두려움에 떨게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즉, 연산군은 임금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바치는 재상상을 요구하는 것이다. 또한 연산군이 재상의 덕목으로 거론한 ‘성(誠)’은 본래 중용에서 강조하는 개념으로 지금, 여기서 가장 올바른 길을 실천하기 위해 내가 가진 역량을 남김없이 쏟아내는 것을 말한다. 한데 연산군은 이를 임금을 섬기는 문제로 협소하게 만들어 놓았다. 요컨대, 임금에게 충성하고 임금의 말을 어기지 않으면서 동시에 일도 잘하는 그런 재상을 뽑고 싶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이자(李耔, 1480∼1533)5 의 대책(對策)을 보자. 이자는 “훌륭한 재상을 얻으면 위태로운 상황을 변화시켜 안정을 찾을 수 있지만 훌륭하지 못한 재상을 얻으면 안정된 상황을 도리어 위태롭게 만들 수 있다”라며 ①의 사례로 고요(皐陶)6 , 후직(后稷)7 , 이윤(伊尹)8 , 소공(召公)9 등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재상들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후세 사람 중에 비록 한 시기를 만나 공업(功業)을 세웠다고 하더라도 서로 감응하는 이치가 대공(大公)과 지성(至誠)의 도리가 아니니, 전하께 말씀드리기에 적절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한다. 이자가 말한 재상들은 유교에서 높이 평가하는 인물들이다. 능력과 인품을 겸비했을 뿐 아니라 한결같은 공정함과 정성으로 군주를 올바른 길로 이끌었다. 임금의 뜻을 거스르고 간언을 올리는 일도 주저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후대의 재상들은 재주가 뛰어나고 업적을 남겼을지는 모르나 훌륭한 재상이 되기에는 부족하다고 본다. 무엇보다 임금을 바로잡지 못했기 때문으로, 군주가 자신의 입맛에 맞는 재상만 찾다 보면 아무리 잘해야 이런 재상들밖에 곁에 두지 못한다는 것이 이자의 생각이다.

이어서 ②, ③에 대해서는 원론적으로 간단하게 넘어갔고, ④의 ‘성(誠)’은 재상으로서 직분을 다하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자는 “사구(司寇)10 를 맡은 자는 마땅히 형벌을 분명하게 시행할 것을 생각하고, 전악(典樂)을 맡은 자는 마땅히 곧으면서도 온화하게 할 것을 생각하며, (중략) 백성의 교화를 맡은 자는 마땅히 가르침을 너그럽게 할 것을 생각해야 한다”라고 강조한다. 재상에게 요구되는 ‘성’이란 어떻게 하면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을 완수할 것인지 고민하는 마음가짐이고, 이를 정당하고 올바르게 실천하려는 노력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자신이나 타인을 속이지 않고 진실해야 한다. 이를 잘하는 것이 곧 임금을 정성스럽게 섬기는 길로, 그저 임금을 깍듯하게 모시거나 임금의 명령을 잘 따르는 것이 ‘성’이 아님을 이자는 말하고 있다.

그런데 이자가 정말 하고 싶었던 말은 이제부터다. 그는 “전하께서는 재상이 임금을 보좌하는 도리에 대해 하문하셨는데, 신은 재상을 임용하는 도리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한다”라며 삼대(三代)11 를 능가하는 인재를 얻고 싶다면 삼대 이상 가는 도(道)를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재상의 자리에 적임자를 얻는 것을 중시하고, 그 책임을 군주에게 돌리는 이유가 무엇이겠냐고 묻는다. 그러면서 말한다. “군주의 몸에 하나라도 성실하지 못한 점이 있으면 시비가 전도되어 반드시 간악한 자를 충신이라 하고, 아첨하는 신하를 성(誠)을 다하는 신하라 하여, 눈에 겨를 뿌린 것과 같은 상황이 벌어지지 않으리라 장담할 수 없으니, 천지가 그로 인해 자리가 바뀐다면 비록 현명한 자가 있다고 한들 무슨 수로 그 직분을 다할 수 있겠습니까?”

정말로 좋은 재상을 얻고 싶거든 임금부터 달라져야 한다며 연산군을 직격하고 있다. 군주가 사사로운 마음을 가지고 있고, 상황을 올바르게 인식•판단하지 못하며, 감정에 치우쳐 행동한다면 설령 주공 같은 재상이 있더라도 제 능력을 펼치지 못할 것이다. 심지어 소인배들의 모함에 눈이 멀어 주공을 배척하고 간신을 충신이라며 중용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그러니 우선 임금으로서의 직분과 책임부터 다하라는 것이다.

126


이상 이자의 대책에는 오늘날에도 귀 기울여야 할 지점들이 있다. 탁월한 인재를 발탁하고, 그를 스타로 만들고 싶다면 그의 전문성이나 능력 외에도 그가 과연 자신의 직분을 완수하기 위해 온 정성을 다할 사람인지, 자기 자신이나 타인을 속이지 않는 사람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리더에게 아첨하지 않고 리더가 올바른 길을 갈 수 있도록 서슴없이 직언할 수 있는 사람인지를 살펴야 할 것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리더 자신도 치열하게 노력하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 리더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리더의 마음에 사심이 끼어 있는데 좋은 인재가 함께하는 경우는 드물다. 훌륭한 부하를 바란다면 자신이 먼저 훌륭해져야 하는 것이다.


김준태 성균관대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akademie@skku.edu
필자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 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다시는 신을 부르지 마옵소서』 등이 있다.
  • 김준태 |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초빙교수

    필자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 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등이 있다.
    akademie@skku.edu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