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lose Up

로마는 패장을 차별하지 않았다

서진영 | 66호 (2010년 10월 Issue 1)

시오노 나나미는 묻는다. 팍스 로마나(Pax Romana)를 만든 힘은 무엇인가?
 
<위대한 기업, 로마에서 배운다>의 저자 김경준은 로마의 종교, 정치 체제, 사회 시스템에서 발견할 수 있는 로마인의 ‘개방성’을 그 답으로 제시한다. 시오노 나나미도 고대 로마인이 후세에 남긴 진정한 유산은 제국의 유적들이 아니라 제도와 개방성을 통한 사회질서 확립의 ‘경험’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로마의 개방성은 무엇일까?
 
첫째, 적과 외부 인재를 포용하는 개방성이다
로마 제국의 창시자, 로물루스의 뒤를 이어 2대왕으로 추대된 누마는 한 나라가 물과 기름처럼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있는 현실을 개탄하고 이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질서와 풍습을 세우는 것을 자신의 임무라고 생각했다.
 
이때 누마가 사용한 방법이 서로에게 적이었던 다양한 부족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백성들을 혈연이 아닌 직능을 중심으로 하여 소그룹으로 나누는 것이었다. 농부들에게는 ‘파기’라는 공동체를 설립토록 했고 도시 거주민들은 목수조합·철공조합·염색공조합·도공조합 등 직업에 따라 각 조직에 소속시켰다.
 
결과적으로 백성들이 직능조합에 대한 귀속감이 강해지고 조합 사이의 경쟁도 생겨나면서 자연스레 혈연에 기반한 부족 간 대립이 완화됐다. 또한 이로 인해 잡다하게 혼합돼 있던 각 민족의 다양성은 약해지고 로마사회의 통합성이 보다 높아졌다. 개인에게 선택의 여지가 없고 무조건적인 동질감을 가져야 하는 혈족사회는 필연적으로 폐쇄성을 띨 수밖에 없다. 반면 직능에 따라 조직된 사회는 같은 직업에 종사하면서 조건만 충족되면 누구라도 받아들이는 개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성은 로마 시민의 정의에도 이어진다. 21세기인 지금도 민족의식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듯이 2500년 전 서양문명의 발상지며 민주정치가 꽃을 피운 그리스인이 생각하는 시민도 ‘피를 나눈 자’였다. 그러나 로마인이 생각하는 시민은 ‘뜻을 같이 하는 자’라는 점에서 달랐다.
 
로마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피부색과 출신지역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공동체에 기여한 정도에 따라 시민권을 부여하는 정책을 펴나갔다. 건국 초기부터 정복한 부족을 죽이지 않고 유력자에게 원로회 의석을 제공해 로마의 지배계급으로 편입시키는 전통을 지켜왔다. 이는 경쟁자의 역량을 로마의 역량으로 M&A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문화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카이사르는 “로마인은 다른 민족에게 배우기를 거부하는 따위의 오만은 갖고 있지 않다. 좋다 싶으면 그것이 적의 것이라 해도 거부하기보다 모방하는 쪽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심지어 피지배민족인 그리스의 신들조차 받아들였던 개방성이 있었기에, 로마인은 넓은 제국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힘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둘째, 로마인들은 국제 경제를 이용하는 합리적인 개방성을 가지고 있었다
일찍이 고대 로마인은 자신들이 모든 일을 독점하려 들지 않았다는 점에서 뛰어난 유연성을 갖추고 있었다. 조직력과 군사력을 밑바탕으로 삼아 세계제국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다른 민족이 잘하는 분야가 있으면 그들에게 맡기는 방식을 지향했다. 지금으로부터 2000년 전에 이미 아웃소싱(outsourcing)의 개념을 확립한 셈이다.
 
로마 형성 초기에도 우호관계를 맺은 주변 부족에게 토목공사를 맡겼고, 강대국이 된 후에도 에트루리아인은 토목, 시칠리아인은 식량 생산, 그리스인은 바다를 통한 교역, 그리스와 소아시아 출신 지식인은 교육, 갈리아인과 게르만인은 기병 전력을 담당하게 했다. 패자인 그리스에는 교육과 문화의 주도권조차 인정했다. 승자의 권리라는 오만한 관점을 버리고 각자의 비교우위를 살리는 관점에서 핵심기능조차 아웃소싱한 것이다.
 
20세기 후반 냉전 종식으로 세계질서가 안정을 찾고 국가 간 비교우위에 따른 교역이 활발해지자 이는 자연히 기업들의 국제 분업구조로 연결됐다. 2000년 전의 지혜가 현대에도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아직도 자신의 회사에서 만든 것만을 인정하는 NIH(not invented here) 신드롬에 빠져있지는 않은지 돌아봐야 한다. 개방성은 폭넓은 경쟁우위를 만들어준다.
셋째, 실패에 대한 너그러운 개방성이다
어쩌면 실행이 가장 어려운 개방성인지도 모른다. 로마에는 패전의 책임을 물어 처벌하지 않는 전통이 있었다. 실패의 경험을 공유하고 패자부활의 기회를 주기 위해서였다.
 
고대에는 크고 작은 전쟁이 자주 일어났다. 승자는 모든 것을 차지하고 패자는 모든 것을 빼앗겨야 하는 시대에서 전쟁의 승패는 공동체의 생존과 직결될 수밖에 없었다. 전쟁에 승리한 장수에게는 큰상이 내려졌지만, 전쟁에 패한 장수는 참수형이나 십자가형으로 죽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결과로 판단했던 것이다. 그러나 로마는 전쟁에 패한 장수를 죽이거나 처벌하지 않았고, 오히려 명예 회복의 기회를 주기도 했다. 역량이 있으나 운이 따라주지 않아 실패한 사람은 다시 기회를 주는 것이 옳다고 봤다. 나쁜 운이 계속된다는 법이 없고, 다음에 좋은 운을 만나면 이길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명예를 중시하는 로마인들은 패전의 오명만으로도 패장에게 충분한 벌이 된다고 생각했다.
 
또한 로마인들은 군대를 통솔하는 장군에게 실패가 곧 죽음인 절박한 상황보다는 자유롭고 편안한 정신상태에서 외부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전쟁에 출정하는 지휘관은 잡다한 어려움에 시달리기 마련인데, 전투에 졌다는 이유로 사형을 당하는 위험까지 감수해야 한다면 과감하게 작전을 짜기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교통도 불편한 2000년 전, 멀리 떨어진 전쟁터에 나가 다른 민족과의 전투를 지휘한 경험은 승패와 상관없이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무능하다고 판명된 지휘관은 다시 출전시키지 않으면 그만이었고, 패장이 같은 지역으로 출전하는 다른 지휘관에게 전투 경험을 전수하는 것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었다고 본 것이다.
 
로마인은 실패를 인정함으로써 세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지휘관들은 잡다한 걱정에 시달리지 않고 임무에 전념할 수 있었고, 책임을 놓고 싸우면서 조직의 에너지를 소진시키지 않아도 됐으며, 실패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경험과 교훈을 조직의 무형자산으로 만들어 똑같은 실수를 줄일 수 있었다.
 
현대에도 합리적인 개방성을 지닌 조직은 실패를 통해 얻은 교훈을 공유할 줄 안다.그러한 조직은 실패의 책임을 물어 사람을 끝장내지 않는다. 최선을 다했음에도 일을 그르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실패를 통해 얻은 교훈을 조직이 공유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패자부활전의 기회까지도 준다. 내부의 크고 작은 실패경험을 자산화하면 실수를 줄이면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천년제국의 경영 지혜는 영원하다. 로마를 ‘위대한 기업(great company)’으로 이해하고 역사 속의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로 상정하면 21세기 조직의 훌륭한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개방적이지 않으면 진정한 혁신은 불가능하다. 로마제국이 가졌던 개방성, 그것이 현대 경영에 주는 지혜의 화두다.
  • 서진영 서진영 | - (현) 자의누리경영연구원(Centerworld Corp.) 대표
    - 최고경영자(CEO)를 위한 경영 서평 사이트(www.CWPC.org)운영 - OBS 경인TV ‘서진영 박사의 CEO와 책’ 진행자
    sirh@centerworld.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