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왕이 묻고 신하가 답하다: 인조 - 정두경

뛰어난 무기보다 뛰어난 장수가 더 중요

김준태 | 314호 (2021년 02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정묘호란을 겪은 인조는 조선이 뛰어난 병기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패배한 이유를 묻는 과거 문제를 냈다. 여기서 장원급제한 문신 정두경은 병기가 승리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라고 강조한다. 병기를 어떻게 다루느냐는 병사의 능력에 달려 있기에, 그런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내는 지휘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더 나아가, 지휘관이 자신의 역량을 남김없이 발휘할 수 있도록, 오로지 전투 자체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임금의 중요한 책무이다.



조선은 문(文)의 나라다. 유학(儒學)이 문무겸전을 강조한다고 해도 몇몇 탁월한 인물만이 그 모범을 보였을 뿐 ‘무(武)’는 뒷전이었다. 문반(동반)과 무반(서반)을 합쳐 ‘양반’이라고 불렀지만 세상의 주도권은 전적으로 문신, 학자가 쥐고 있었다. 그래서였을까? 군주들이 국방력 강화에 힘썼던 초기를 제외한다면 조선의 무력은 튼튼하지 못했다. 왜군에게 전 국토를 유린당하고 나라가 멸망 직전까지 내몰렸던 임진왜란, 순식간에 방어망이 뚫려 임금이 강화도로 몽진했던 정묘호란, 굴욕적인 패배를 당했던 병자호란 등은 조선의 실태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1629년(인조 7년)에 치러진 별시문과의 책문(策問)에는 이와 같은 현실을 타개하려는 움직임이 엿보인다. 인조는 “군사에 관한 일을 몰라서는 참된 유학자가 될 수가 없다”며 국방에 관한 질문을 던졌다. 2년 전 정묘호란에서 후금의 군대에게 처참히 무너진 경험, 그리고 후금의 움직임이 여전히 심상치 않다는 우려가 위기의식을 키운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자.

“왕이 묻는다. 병가(兵家)에서 승리를 쟁취하는 데는 각각의 장기(長技)가 있다. 자신의 장기를 가지고 상대방의 단기(短技)와 맞서야 성과를 거둘 수 있다. … 중략 … 생각건대 우리나라는 남북으로 적과 마주하고 있어서 싸우고 지키는 방책을 평소부터 강구해 놓았다. 하여 성지(城池)가 깊고 단단하며 기계(器械)는 정밀하고 날카로운 편이다. 그런데도 임진년(1592)의 난리에는 모두 함락돼 나라가 뒤엎어졌으며 정묘년(1627)의 난리에는 오랑캐의 군마가 나라 깊숙이 쳐들어왔다. 이는 장기를 제대로 쓰지 못해 그러한 것인가? 강한 활과 건장한 말, 화포(火砲)와 병선(兵船), 갑옷과 방패, 칼과 창 등 오랑캐들이 장기로 삼는 것들을 우리나라도 가지고 있다. 한데 오랑캐를 제압할 수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기예(技藝) 외에 별도로 승리를 쟁취하는 요체가 있는 것인가?”

『손자병법』에 ‘피실격허(避實擊虛)’1 라는 말이 나오기도 하지만 적의 단점을 최대한 키우되 나의 단점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나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되 적의 장점을 무력화하는 것은 그야말로 전쟁의 기본이다. 그리하여 나의 장점(장기)으로 적의 단점(단기)과 대결함으로써 승리를 가져오는 것이다. 문제는 적 또한 그렇게 생각하고 대응하리라는 점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내게 유리한 국면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 또한, 장기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승리를 기약할 수는 없다. 조선은 장기를 가졌음에도 오랑캐를 제압하기는커녕 큰 위기를 겪은 바 있다. 따라서 장기 외에 승리하는 데 필요한 요소가 또 있느냐는 질문이다.

121


이 시험에서 장원급제한 정두경(鄭斗卿,1597∼1673)은 “싸워서 이기는 방법은 만 가지로 같지 않지만 결국은 우리의 장기로 상대의 단기를 공격하는 것에 불과할 따름입니다”라며 전쟁에서 장기가 매우 중요하다고 대답했다. 그런데 장기라는 것은 절대적이지 않다고 본다. 그때그때의 ‘형세’에 부합해 상황을 유리하게 이용하느냐, 아니냐가 장기가 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임진왜란 당시 조선은 정예 중장기병을 보유했다. 개전 초기 이 부대를 이끌고 왜군 저지에 나섰던 신립은 높은 지대에서 활과 화살로 왜적의 조총에 맞서야 한다는 의견을 묵살하고 평야에서 기병 돌격전을 벌였다. 평지에서는 기병이 유리하다는 고전적인 전략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신립이 전투를 벌인 탄금대에는 습지가 넓게 자리하고 있었다. 탁 트여 있는 만큼 적의 조총에 피격되기도 쉬웠다. 습지와 조총이라는 형세에서는 ‘평지-기병전’이 더 이상 장기일 수 없었던 것이다. 정두경이 ‘장기가 이기고 단기가 진다’라고 말하지 않고 “유리한 것이 이기고 불리한 것이 진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그래서다.

이어서 정두경은 “비록 그렇지만 형세가 유리한데도 불리한 자에게 지는 경우가 있으며, 불리한데도 유리한 자에게 이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어째서이겠습니까?”라고 되물었다. 전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것은 병기(兵技)가 다가 아니라는 것이다. 정두경은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는 요체는 장수에게 달려 있다”며 “장수가 근본이고 병기는 말단”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말한다. “저들이 능한 것은 우리도 능하고, 저들이 가지고 있는 것은 우리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도리어 저들에게 모욕당했습니다. 어째서겠습니까? … 중략 … 화살을 쏘고, 적을 베고, 적진으로 돌격하고, 상대를 찌르고 몸을 보호하는 것은 사람이 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좋은 병기가 있더라도 사람이 이를 버리고 달아난다면 모두 헛된 것일 뿐입니다. 세상에 헛된 병기만 가진 채 적에게 승리할 수 있는 경우가 있겠습니까? 싸움에서 이기려면 병사들이 사력을 다해야 하고, 장수가 그런 마음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뛰어난 장수 가운데 병사들의 마음을 얻지 못하고서도 승리를 거둔 자는 없었습니다.”

우수한 병사가 있고 훌륭한 무기가 있더라도 그 능력을 제대로 활용할 줄 아는 지휘관이 없다면 있으나 마나이다. 사자가 지휘하는 양 떼가 양이 지휘하는 사자 무리를 이긴다는 말처럼 장수의 역량은 때때로 불리함을 극복하고 단점을 상쇄할 수 있게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지금 우리나라를 보면 남과 북으로 강성한 적들을 마주하고 있으면서 장수가 없는 것을 걱정할 줄 모른다”는 것이 정두경의 진단이다. 그러면서 우리나라가 어떤 병기에 뛰어난지, 어떤 장기를 키워야 적과 싸워 이길 수 있는지와 같이 지엽적인 사안에만 관심을 두고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뒤이어 정두경은 임금이 책임지고 좋은 장수를 등용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금은 장수들의 장수다. 장수가 병사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듯이 임금은 장수의 잠재력을 이끌어낸다. 장수가 마음껏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판을 깔아주는 것, 이 역시 임금의 중요한 책무라는 것이다.

자, 이것으로 끝인가? 정두경의 대책에 나오는 내용은 아니지만 한 가지 덧붙일 것이 있다. 같은 책문에 대한 윤선도(尹善道, 1587∼1671)의 답변을 보자. 윤선도 역시 정두경과 비슷한 요지의 주장을 펼쳤는데 글의 말미에서 이렇게 말한다. “촉한 후주(後主) 때 충성스럽고 믿음직한 비의와 동윤이 안에서 임금을 보좌한 덕분에 제갈공명은 걱정 없이 밖에서 작전을 펼칠 수 있었습니다. 송나라 때 진화와 장준이 안에서 권력을 전횡하였기 때문에 악비와 한세충이 밖에서 적을 제압할 수 없었습니다.”

승리를 위해서는 임금이 좋은 장수를 발탁해 임무를 맡기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장수가 오로지 전투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후방에서 조정을 지키는 신하들이 든든하게 서포트해주지 못하고 오히려 장수를 이래저래 흔든다면 아무리 뛰어난 명장이라도 능력을 발휘하기 힘들다.

요컨대, 무기나 장비는 승리하는 데 필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그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아군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것이 성패의 핵심이기는 하지만 절대적이지는 않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지휘관의 역할이고, 지휘관이 자신의 역량을 남김없이 발휘할 수 있도록, 오로지 전투 자체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두경의 대책을 인조가 받아들였을까? 장원으로 삼은 답안이니 읽고 느낀 바가 있지 않았을까? 안타깝게도 아니다. 병자호란 때 인조는 간신 김자점을 총사령관인 도원수에 임명했고, 김자점은 청군을 저지하기는커녕 방관하다시피 했다. 다른 장수들이 보여준 무능함도 수두룩하다. “장수가 근본이고 병기는 말단”이라는 정두경의 말을 다시금 새겨볼 필요가 있다.


김준태 성균관대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akademie@skku.edu
필자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 『왕의 경영』 『왕의 공부』『탁월한 조정자들』 『다시는 신을 부르지 마옵소서』 등이 있다.
  • 김준태 |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초빙교수

    필자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 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등이 있다.
    akademie@skku.edu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