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상사가 나를 좋아할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법 -3

상사의 약점 포용하면 내 편이 된다

구본형 | 17호 (2008년 9월 Issue 2)
17세기 네덜란드는 세계 최고의 해상무역 왕국이었다. 당시 전 세계 2만여 척의 무역선 가운데 4분의 3이 네덜란드 상선이었다. 네덜란드 선박은 세계 구석구석을 다니며 브라질에서 후추·향신료·설탕을 들여왔고, 인도에서는 면화와 다이아몬드 원석을 실어와 유럽에 풀었다. 또 원료를 가져와 호화로운 태피스트리, 비단, 리넨, 정교하게 가공한 보석을 팔았다. 네덜란드는 거의 100년 동안 유럽의 사치품 무역을 주도했다.
 
17세기 네덜란드 국력의 원천은 관용
어떻게 이 작고 보잘것 없는 저지대 나라가 17세기 세계 자본주의 경제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었을까. 당시 유럽은 종교적 분쟁과 박해, 광신에 휩싸여 있었다. 개신교를 믿는 군주는 가톨릭교도를 탄압했고, 가톨릭교도인 군주는 개신교를 억압했다. 유대인들은 유럽 어디에서나 박해를 받았다.
 
네덜란드는 공인된 국교를 가지고 있지 않은 대신 넓은 가슴을 지니고 있었다. 가지가지 사연을 지닌 채 유럽 각지에서 쫓겨 온 사람들은 네덜란드에서 피란처를 찾았다. 네덜란드는 전략적 관용을 통해 인구 유입과 경제적 성장을 추구했다. 15701670년에 암스테르담 인구는 3만 명에서 20만 명, 라이덴 인구는 1만5000명에서 7만2000명으로 늘었다. 유대교도는 대부업이나 보석 세공업에 종사했다. 숙련기술자와 무기화학 생산업자의 주류를 이루는 개신교도들은 그때까지 번영해 오던 리스본과 안트베르펜을 떠나 암스테르담으로 모여들었다. 뿐만 아니라 네덜란드는 철학자들의 은신처이기도 했다. 스피노자는 유대인 이주자였고, 존 로크는 쫓겨난 영국인이었다. 네덜란드는 박해받고 추방된 유럽의 인재와 기술자들을 유혹하는 자석이었다. 네덜란드는 중세의 베네치아처럼 영토 팽창을 꾀하는 대신 상업 팽창을 꿈꾸었다. 네덜란드인들에게는 돈과 금이 곧 신이었다. 네덜란드는 세계의 상인이자 유럽의 중개인이 되었다.
 
17세기 네덜란드의 힘은 ‘부(富)’에 있었다. 그리고 부를 창조하는 가장 큰 동력은 정복과 약탈이 아니라 교역과 혁신임을 증명했다. 한 사회가 세계적으로 우수한 인재를 끌어들이는 방법은 정복이 아니라 관용적 이민이었다. 억압은 사람을 떠나가게 하지만 관용은 사람을 제국의 가치에 스스로 귀화하게 만드는 접착제 구실을 한다.
 
상사의 약점을 관용으로 받아들여라
제법 길고 장황하게 관용의 역사 한 부분에 대하여 말했다. 나의 관심은 관용 개념을 어떻게 기업 경영에 적용하고 내 주위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마법의 자석처럼 쓸 수 있을지 연구하는 것이다. 리더는 반드시 사람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끄는 힘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관용은 힘이 있는 사람이 그 아래 사람을 품는 개념이 아니다. 오히려 사람은 관용을 통해 힘을 얻게 된다. 그것은 사람을 끌어당겨 내 힘을 끊임없이 확장해 가는 과정이다. ‘우리’라는 동질성을 느낄 수 있도록 상대방을 내 쪽으로 끌어당기는 것이다. 나의 세계에 상대방이 동화되고 매혹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것이 관용이 지니는 전략적 의미다.
 
운이 나쁘게도 강압적이고 배타적이며 패쇄적인 상사를 만났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유효한 전략은 상사를 내 관용의 세계 안으로 받아들여 그의 힘 일부를 내 힘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품성이 거만하고 말을 함부로 하는 상사 때문에 매일 마음의 상처를 받는 부하 직원이 있다면 그 일로 관계 전체를 망가뜨릴 가능성이 높다. 이런 경우엔 ‘일 하나는 똑 부러지게 잘한다’, ‘대단히 꼼꼼하여 덜렁거리는 내 실수를 보완해 줄 수 있다’, ‘특정 업무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와 같은 상사의 긍정적인 힘을 내 안으로 받아들여 활용하는 훈련을 할 필요가 있다. 인격을 유용성과 분리시키고, 감정을 이해관계와 분리시키는 정신적 훈련을 하게 되면 고약한 상사도 내 힘의 자기장 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
   
 
종갓집 시아버지가 든든한 지지자로
지인으로부터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 멋도 모르고 결혼하고 보니 자신이 말로만 듣던 종갓집 맏며느리가 되어 있더라는 것이다. 그는 그때까지 학교를 다니고 공부만 해 왔는데 시집가서 가사 노역에 시달려 지쳤다. 그러나 남편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남편은 어릴 때부터 어머니와 누이들이 뼈 빠지게 일하는 것을 보고 자랐기 때문에 가사를 여자의 당연한 의무라고 여기더라는 것이다. 결혼한 지 채 한 달이 안 돼 결혼을 잘못했다는 후회가 밀려들어 왔지만 어떻게든 현명하게 처신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종갓집답게 그 집을 지배하는 어른은 시아버지였다. 시아버지는 며느리를 따뜻하게 대해 주었지만 그저 표면적인 관계였다. 그녀는 아직 마음속으로부터 시아버지의 신뢰를 얻고 있지는 못했다. 그녀는 시아버지의 지지를 얻고 싶었다. 그러다가 재미난 현상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술을 즐기는 시아버지에게는 주사가 있어 사람들이 시아버지와 술을 마시다가 어느 정도 취기가 돌기 시작하면 하나 둘 슬그머니 자리를 떠나는 것이었다. 그녀는 시아버지의 술시중을 들었다. 그리고 술자리가 파할 때까지 그 자리를 떠나지 않고 되풀이되는 지루한 이야기를 들어주었다. 시아버지는 자신의 이야기를 싫어하는 기색 없이 끝까지 들어주는 며느리가 매우 기특했다. 그때부터 시아버지는 며느리를 진심으로 신뢰하게 되었고, 그녀는 시아버지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게 되었다. 더욱 훌륭한 점은 시아버지가 며느리 앞에서는 술주정을 하지 않기 위해 매우 애를 썼다는 것이다. 시아버지의 지지는 그녀가 종갓집 맏며느리로 지내야 하던 힘든 시절을 잘 견디게 해 준 커다란 힘이었다.
 
관용은 상대방의 내면으로 통하는 길
상대의 약점을 품는 것은 상대의 강점과 힘을 끌어 쓰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다. 사람의 고약함은 대체로 그 사람의 모자라고 약한 부분이 왜곡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태반이다. 사람들은 콤플렉스가 뒤틀어져 표출되는 괴팍하고 고약한 언행을 두려워하고 피하고 조롱한다. 관용은 아픈 점을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것이다. 그 고약한 삐뚤어짐 뒤의 약한 부분을 잘 헤아려 품는 것이다. 그러면 상대의 강한 점을 빌려 쓸 수 있게 된다. 고약함이라는 딱딱한 껍질 안에는 늘 사람을 그리워하는 내부로 가는 비밀의 통로가 있게 마련이다. 관용은 사람의 내부로 통하는 이 감춰진 통로를 찾는 매우 유용한 처방이다.
 
상사와 잘 지내야겠다고 마음먹으면 사람들이 두려워하고 피하는 것이 무엇인지 먼저 이해하고 파악할 필요가 있다. 대체로 자신에게 물어 보면 금방 알게 된다. 상사와 같이 있을 때 나를 가장 힘들게 하는 점이 무엇인가. 상사의 고약한 말투나 우유부단함, 오자나 탈자 같은 사소한 것에 대한 지나친 집착, 출근시간에 대한 엄격함 등일 수 있다. 나와 기질적으로 잘 맞지 않아서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겠지만 모든 사람이 다 질려하는 상사의 특정 언행이 바로 상사의 약점이고 왜곡된 콤플렉스의 표출이다. 바로 그 지점이 상사의 마음으로 들어가는 통로다. 그것을 참아내고 받아들이고 다독이면 상사의 부드러운 내면에서 흘러나오는 신뢰를 얻을 수 있다. 관용을 가진 자가 바로 열려 있는 사람이며, 지위 고하와 관계없이 사람을 얻어 그 강점을 빌려 쓸 수 있는 사람이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