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Behavioral Economics

인식 오류 막으려면 불편한 진실과 마주해야

곽승욱 | 290호 (2020년 2월 Issue 1)
Behavioral Economics
인식 오류 막으려면 불편한 진실과 마주해야


Based on “Epistemic Spillovers: Learning Others’ Political Views Reduces the Ability to Assess and Use Their Expertise in Nonpolitical Domains” by J. Marks et al., in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2019


무엇을, 왜 연구했나?

끄물끄물한 하늘을 보며 우산을 챙길까, 말까 망설일 때는 날씨 예보에 귀를 기울인다. 기왕에 도움을 받을 바에는 예측력이 높은 정보를 선호한다. 두 번 중 한 번꼴로 틀리는 기상 예측보다는 다섯 번 중 네 번은 맞추는 기상 정보에 끌리는 건 당연지사다. 의사결정을 할 때 정보의 정확성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가 상호 유사성이다. 정보 제공자가 어떤 측면에서 정보 이용자와 유사한 성향을 지니면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급상승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민주당원은 진보 성향을 지닌 CNN을 애청하며 국내외 주요 토픽이나 여론의 추이를 파악하고 평가한다. 반면에 공화당원들은 보수 성향의 폭스뉴스에서 제공하는 시사 정보와 뉴스 분석에 더 많은 관심과 응원을 보낸다.

이러한 현상이 심각해지면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는 ‘반향실(Echo Chamber)효과’로 발전한다. 원래 반향실은 방송 연출상 필요한 잔향(殘響)을 만들어내기 위해 흡음성(吸音性)이 적은 재료로 벽을 만들어 소리가 메아리처럼 되울리도록 만든 방이다. 여기서 파생된 용어인 반향실 효과는 폐쇄된 온라인 공간에서 자신과 생각이 비슷한 사람들끼리만 소통하게 되면서 편향된 사고가 강화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자신과 생각이나 의견이 비슷한 사람이나 매체로부터 얻은 정보는 액면 그대로 신뢰하고 주변에 전파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별다른 이유도 없이 불신하고 거부한다. 그 결과 자신과 같은 목소리가 계속 메아리치며 증폭된다. 최근 사회적 갈등의 원인으로 주목받는 각종 가짜 뉴스의 창궐과 급속한 파급이 좋은 예다.

반향실 효과는 타인의 전문성을 평가할 때도 자주 발생한다. 자신과 비슷한 방법으로 주식 가치를 평가하고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사람은 그 밖의 재무 관련 분야에서도 탁월한 수완과 재능을 발휘하리라 예단한다. 실제로 다른 재무 관련 분야에서는 전문성이 없는 경우에도 말이다. 다시 말해서, 한 분야에서의 유사성이 다른 관련 분야에서의 실제 전문성보다 더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최근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대의 마르크스 교수팀은 반향실 효과가 상관관계가 전혀 없는 분야로 확산되는 현상인 인식적 파급효과(Epistemic Spillover)로 연구 주제를 확장했다.


무엇을 발견했나?

마르크스 교수팀은 아마존 메커니컬 터크(Amazon Mechanical Turk) 서비스에 자원한 18세 이상의 미국 시민 97명을 실험 참가자로 선정하고 상관관계가 전혀 없는 두 분야(정치와 도형분류)를 인식적 파급효과의 검증도구로 활용했다.

연구팀이 고안한 실험은 3단계 과정을 거친다. 1단계에서 참가자들은 204개의 도형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도형을 분류할 때마다 다른 참가자의 정치적 성향과 도형분류의 정오(맞았는지, 틀렸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은 맞고 다른 참가자는 틀릴 수도 있고, 자신이 틀리고 타인은 맞을 수도 있다.

2단계는 참가자의 정치적 성향을 묻는 84개의 질문에 “예” 또는 “아니요”로 답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자신과 정치적 성향이 동일한 참가자와 상이한 참가자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1단계와 2단계에서 정치적 성향은 4가지 동물로 묘사돼 자신과 정치적 성향이 같은 참가자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거권자 연령을 낮추면 젊은이들이 정치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다”라는 정치적 성향 질문에 “아니요”라고 답했는데 자신과 같이 “아니요”라고 답한 참가자를 코끼리로 표현한다. 이후 코끼리 그림과 함께 보이는 도형분류 결과는 자연스럽게 정치적 성향이 동일한 참가자의 의사결정으로 간주된다.

이렇게 두 단계의 실험을 거치면 참가자들은 1) 동일한 정치적 성향을 가지고 도형분류를 오류 없이 수행한 참가자(A) 2) 동일한 정치적 성향을 가지지만 도형분류에서 오류를 범한 참가자(B) 3) 정치적 성향은 다르지만 도형분류 과업은 오류 없이 수행한 참가자(C) 4) 정치적 성향도 다르고 도형분류 과업도 실패한 참가자(D) 등 크게 4개 유형으로 분류된다.

마지막 3단계 실험에서 모든 참가자는 도형분류의 정확성을 묻는 질문에 답해야 했다. 설문 조사 결과 대다수 참가자가 B그룹 참가자들의 도형분류 성공률이 C그룹 참가자보다 높을 것이라고 착각했다. 실제로는 도형분류에서 오류를 범했지만 정치적 성향이 자신과 같다는 이유만으로 더 정확할 것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도형분류를 할 때 누구로부터 조언을 듣고 싶은가”라는 질문에도 참가자 중 가장 많은 33%가 A그룹에 소속된 참가자들을 선택했고, 이어 B그룹(30%), C그룹(24%), D그룹(13%) 순서로 조언자를 택했다. 과업 수행의 정확성에 상관없이 정치적 성향의 동일성 여부에 더 큰 방점을 두고 있는 사람들이 과반수에 달했다. 심지어 정치적 성향과 도형분류는 연관이 없으므로 상관관계가 0이어야 정상이지만 참가자들이 느끼는 상관관계는 0.37이나 됐다. 객관적 도형분류 수행능력에 상관없이 정치적 성향이 같은 사람을 더 신뢰하고 비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여실히 드러내는 결과다.



연구 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나?

‘내로남불’은 각종 매스컴에 빈번히 등장하는 인기 용어다. 인식적 파급효과의 현실적 단면이다. 이 밖에도 국내외를 막론하고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보호주의, 정치적 양극화, 종교분쟁, 증오범죄, 젠더 및 계층 갈등 등은 현재진행형, 현재발전형 인식적 파급 효과다. 지금 우리에게 절실한 건 편안한 붕당놀음이 아니라 우리가 생산하고 퍼뜨리는 불편한 인식적 오류를 직시하고 인정하며 바로잡는 것이다. 팔이 안으로 굽는 것은 정상이지만 선택과 판단을 유사성에 맡기는 건 정상이 아니다.


필자소개 곽승욱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swkwag@sookmyung.ac.kr
필자는 연세대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와 텍사스공과대에서 정치학 석사와 경영통계학 석사, 테네시대(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에서 재무관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유타주립대 재무관리 교수로 11년간 재직했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행동재무학/경제학, 기업가치평가, 투자, 금융시장과 규제 등이다.
  • 곽승욱 곽승욱 |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필자는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와 텍사스공과대에서 정치학 석사와 경영통계학 석사, 테네시대에서 재무관리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유타주립대 재무관리 교수로 11년간 근무한 후 현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행동재무학/경제학, 기업가치평가, 투자, 금융시장과 규제 등이다.
    swkwag@sookmyung.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