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낙양에서 북경까지

아버지를 미워한 환관의 ‘보물’

안동섭 | 284호 (2019년 11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중국에서 환관의 역사는 최소한 기원전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에는 전쟁 포로를 거세해서 머슴처럼 쓰다가 이후 복건성과 광동성, 광서성 등지에서 외주 형태로 충당했다. 그러다 지원자가 늘어나니 아예 ‘공채’ 형식으로 바꿨다. 이렇게 ‘입사’한 환관들은 그래도 괜찮은 대우에 만족했는지 황실과 체제를 수호하는 데 상당히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들의 잘린 ‘보물’을 절대 버리지 않았다.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각자의 보물이 있다. 함부로 자르지 말라.


편집자주
인간사에는 늘 반복되는 패턴이 나타납니다. 우리가 ‘역사에서 교훈을 얻는다’함은 바로 그 패턴 속에서 현재의 우리를 제대로 돌아보고 조금은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의미일 겁니다. 철학과 역사학을 오가며 중국에 대해 깊게 연구하고 있는 안동섭 인문학자가 주(周)나라가 낙양을 건설한 후로 현대 중국이 베이징에 도읍하기까지 3000년 역사 속에서 읽고 생각할 만한 거리를 찾아서 서술합니다.



축구에서 가장 짜릿한 순간은 대지를 가르는 패스가 견고한 수비벽을 뚫고 공격수의 발끝에 택배처럼 배달될 때다. 누가 처음 쓰기 시작했는지는 모르겠으나 ‘송곳패스’는 참으로 훌륭한 표현이 아닌가. 송곳 한 번 찔러서 벽을 무너뜨릴 수 있다면 무엇 하러 공성추(파성추 혹은 공성퇴)를 쓰겠는가. 축구 캐스터들이 훌륭한 침투 패스를 볼 때마다 ‘아아! 파성추 같은 패스예요!’라고 외쳤다면 축구의 아름다움이 서 푼은 감소했을 것이다.

축구는 잘 못 하지만 우리 역시 침투하며 산다. 우리는 독보적인 패션 센스로 다수의 안구 속으로 침투하기도 하고, 황천의 요리 솜씨로 미각 테러를 자행하기도 한다. 축구장에서 울려 퍼진 우렁찬 함성은 인근에서 조용하게 산책하던 임마누엘 칸트의 고막을 두드리는 공성퇴다. 사실 고막을 무너뜨리는 데 파성추까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옆자리에서 딸깍거리는 샤프 소리와 칸막이 너머에서 똑닥거리는 기계식 키보드 소리는 날카롭게 침투해오는 송곳 패스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