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퓨처코드CEO포럼

“죽음은 마지막 성장의 기회”

정임수 | 13호 (2008년 7월 Issue 2)
정임수 기자 imsoo@donga.com
 
리더들이 새로운 생사관(生死觀) 정립에 앞장서야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어떻게 생을 마무리할 것인가에 대해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가. 거의 없다. 성교육은 초등학교 때부터 하면서 더 중요한 죽음에 대한 교육은 전혀 없다. 이게 한국의 실태다. 그래서 죽음학회를 만들었다. 서구는 미국을 중심으로 죽음학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지만 한국은 시작도 안 된 상황이다.
 
사람은 본인이 죽어야 함은 물론 부모와 배우자, 심지어 가장 안타까운 경우로 자식도 보내야 한다. 죽음은 먼 얘기가 아니다. 언제 나한테, 가족한테 올지 모른다. 그런데 우리는 아무런 준비도 하지 않고 죽음을 맞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사회 리더들의 책무가 크다. 리더들이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느냐가 국민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이 매장을 선호하다가 화장(火葬)을 하게 된 결정적 계기가 고 최종현 SK 회장이 화장을 하면서부터다. 사회 지도층이 화장함으로써 사회적 구조가 바뀐 것이다. 이처럼 죽음에 대한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하는 데 있어 리더들의 역할이 크다.”
 
한국인은 죽음 혐오하고 부정 하기만
“한국의 기현상 가운데 하나는 죽음이라는 것을 무거운 주제, 피하고 싶은 주제로만 여긴다는 점이다. 그러나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주제다. 술 앞에 장사 없다고, 죽음 앞에서 남녀도, 빈부도, 강자와 약자도 없다. 죽음에 대한 한국인의 자세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혐오하거나 부정한다. 죽음을 얘기하면 재수 없다고 하고, 이성적으로는 죽게 되는 사실을 아는데 끝까지 부정한다. 죽음에 대해서 철저하게 외면하고 배타적인 태도를 갖는 것이다.
 
친구 중에 음반 관련 일을 하는 이가 있다. 이 친구에게 죽음과 관련한 음악을 만들라고 권한 적이 있다. 죽기 전에 살아있는 감각은 청각과 촉각 두 가지다. 부모나 사랑하는 사람이 병상에서 혼수상태에 있더라도 계속 만지고 얘기해야 하는 이유다. 혼수상태에서 사랑한다, 죄송하다고 말해도 늦지 않다. 다 알아듣는다. 마지막까지 청각이 살아있으니 마지막 위안을 주는 음악을 만들라고 친구에게 권한 것이다. 본인도 위안을 받고, 가족도 위안을 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아닌가. 그리고 사람들은 모두 죽으니까 시장도 얼마나 크겠는가. 그런데 친구의 반응은 재수 없다, 죽는 것에 대해 얘기하지 말라고 하더라. 이게 죽음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다.”
 
佛經, 현실을 꿀맛 젖은 사형수에 비유
“돈을 아무리 많이 벌어본들, 대통령 같은 엄청난 권력을 가져본들 죽음 앞에서 무슨 의미가 있는가. 불경(佛經)에서는 인간의 이런 상황에 대한 좋은 비유를 했다. 인도에서는 코끼리가 사람을 죽이는 사형법이 있다. 사형을 앞둔 사형수가 도망가고, 코끼리가 뒤쫓아 가면서 죽음이 다가온다. 도망가던 사형수는 칡뿌리가 드리워진 우물로 숨어 들어간다. 그런데 우물벽 돌에는 독사들이 우글대고 있었다. 독사를 피해 더 밑으로 내려가려 했지만 우물 밑에는 악어들이 입을 벌리고 있다. 그런데 마침 쥐들이 사형수가 타고 내려가던 칡뿌리를 갉아먹는다. 인간이 사는 현실이 이런 절체절명의 순간이다.
 
그런데 나뭇가지 위 벌집의 꿀이 사형수 입으로 떨어진다. 사형수는 꿀의 달콤함에 젖어 그 순간이 절체절명의 위기인지 잊는다. 이게 인간이다. 언제 사고가 닥칠지, 언제 죽음이 닥칠지도 모른 채 인간은 꿀의 유혹에 빠져든다. 여기서 꿀은 돈과 명예와 권력을 상징한다.”
 
비가역적 삶에서 죽음 준비에 들어가야
“그렇다면 왜 죽음을 이야기하고 준비해야 하는가. 학교도 학업이 끝나면 졸업식을 한다. 유종의 미를 거두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힘들게 60년, 70년 또는 그 이상을 살았는데 죽을 때도 유종의 미를 거둬야 한다. 인간은 삶을 존엄하게 살 권리가 있듯이 존엄하게 죽을 권리도 있다. 그런데 한국인은 죽음을 전혀 준비하지 않는다. 불치병, 말기암 환자들도 대체로 끝까지 삶에 집착하다가 병원 중환자실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인간의 죽음은 [표1]과 같이 몇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다시 건강해지지 못하는 상태, 간암 말기 같은 경우를 비가역적 삶이라 할 수 있다. 비가역적인 삶도 의식이 있을 때와 없을 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