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많은 직장인들이 ‘과연 내가 경력 관리를 잘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고 있습니다. 인재 채용 및 경력 계발 전문 업체인 HR코리아는 실제 현장에서 체험한 일대일 코칭 사례를 토대로 경력 관리 수준 측정 및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합니다. 직장인 및 전문가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국내 한 IT벤처기업의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인 P이사. 그는 요즘 미래에 대한 고민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 국내 명문대학을 거쳐 해외 대학원을 졸업한 뒤 국내 대기업 여러 곳에서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다. 원래 그는 이 기업들 중 한 곳에서 경력을 쌓을 계획이었다. 하지만 같은 대학원 출신인 선배에게 ‘러브 콜’을 받았다. 선배가 창업한 회사에서 개발을 담당해 달라는 요청을 받은 것. 당시 국내에선 벤처 붐이 일었다. P이사는 ‘시작은 미미해도 잘만 하면 한국의 빌 게이츠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에 빠져 있었다. 곧 그는 선배의 회사에 합류하게 됐다.
하지만 10여 년이 지난 지금 상황은 처음 입사할 당시 꿈꾸던 미래가 아니었다. 회사는 대박은커녕 매년 존폐의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런 회사 경영상황이 P이사 자신의 커리어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생각도 들었다. 선배의 회사에 처음 입사했을 당시 연봉 대신 받았던 스톡옵션도 휴지조각이 돼버렸다. 회사를 옮길 생각에 몇 군데 이력서를 넣어봤지만 반응은 신통치 않았다.
지금까지 자신이 유능한 인재라고 생각해왔던 그는 점점 자신감을 잃어갔다. 이대로 가다간 경력 단절상태에 빠질 것 같은 위기감을 느낀 P이사는 커리어 코칭 업체의 문을 두드렸다.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
대학진학과 마찬가지로 입사를 앞둔 많은 사회 초년생들에게 첫 직장은 자신의 이력서에서 지울 수 없는 문신처럼 절대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실제로 첫 직장의 이미지가 평생의 경력관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한다면 첫 직장을 경솔하게 선택할 수 없다. 물론 첫 직장을 구하기 힘든 입장에서는 첫 직장을 신중하게 고르라는 말이 배부른 소리로 들릴지도 모른다. 먹을 게 없어 굶주리고 있는 사람에게 체할지도 모르니 천천히 먹으라는 말과 같을 것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숟가락을 드는 순간, 그동안 공복에 참고 있던 욕구를 보상 받으려는 심리에 더 많이 먹어 체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하는 이유와 마찬가지로 첫 직장을 선택할 때에도 신중할 필요가 있다. 첫 직장을 금방 그만두게 되면 이·전직을 하더라도 비슷한 이유로 또 다시 이·전직을 하게 된다. 또 첫 직장의 규모와 비슷한 직장으로 옮길 가능성이 크다. 처음 맡게 된 업무를 바꾸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위 사례의 P이사처럼 신중한 선택의 시간을 가지지 않은 채 막연한 장밋빛 미래를 꿈꾸며 시작한 사회생활은 몇 년이 지난 후 돌아봤을 때 경력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첫 직장은 직장생활과 연봉의 기준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첫 직장에서의 연봉은 이직 시 연봉협상의 기준이 될 수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그 차이는 점점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본인의 관심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는 것도 중요하지만 업종 선택 역시 관심 분야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동일 업종이더라도 업체에 따라 연봉의 차이가 클 수 있고, 동일 기업에서도 경력이나 전문성에 따라 연봉이 천차만별이다.
실제로 최근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2명 중 1명이 첫 직장에 따라 평생 ‘직장 운’이 좌우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직장인들이 ‘직장 운’의 기준을 연봉으로 꼽고 있다. 첫 직장에서의 연봉 초임은 입사 후 연봉협상이나, 다른 기업으로 이직할 때도 자신의 몸값을 좌우하는 기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같은 조사에서 ‘업무가 본인에게 잘 맞는지의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첫 직장의 연봉만이 미래의 연봉을 좌우하는 것은 아니다. 본인의 전문성과 경력, 역량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면 보다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연봉을 회사 선택의 최우선 순위로 고려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인의 전문성을 쌓고, 본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업이라면 연봉은 차선이 될 수 있다.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고 다 끝난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처음 직장을 잘못 들어갔다고 해서 본인은 계속적으로 실패한 경력관리를 해야 하는 것일까? 절대 그렇지 않다. 본인의 노력 여부에 따라서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고 하더라도 성공적인 경력을 쌓아 갈 수 있다. 입사한 직장은 결국 백그라운드에 지나지 않고 중요한 것은 자신의 역량이나 실적이다. 직장의 브랜드가 곧 자신의 브랜드라는 생각은 위험하다. 직장의 이름값만 믿고 본인의 전문성을 쌓는 데 소홀하다 자신을 지켜주던 백그라운드가 없어지면 그때서야 본인의 낮은 전문성에 후회하지만 이미 때는 늦다. 반대로 어떤 직장에서든 장기적 관점에서 뚜렷한 경력 목표를 가지고 자신의 역량과 전문성을 쌓는다면 얼마든지 ‘반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얼마 전, HR코리아를 통해 한 외국계 회사의 지사장으로 이직을 한 K사장은 충실한 경력관리를 통해 첫 직장의 불리함을 성공적으로 뒤집었다.
지방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한 K사장은 중소기업 전산실에서 직장생활의 첫 단추를 뀄다. 1년간의 근무로 전산실 업무를 익힌 그는 한 대기업 전산계열사로 전직해 5년 동안 일했다. 5년 동안 그는 남들은 엄두도 못 내는 프로젝트를 맡아 성공시켰다. 강한 업무 추진력을 인정받은 그는 이 회사에서 조기 승진을 약속 받았다. 하지만 그는 외국계 컴퓨터 회사의 한국 계열사를 선택했다. 외국계 회사에서는 개발이 아니라 영업에 매달렸다. 한국 시장을 잘 아는 그는 회사의 시장점유율을 1위로 끌어올려 북아시아 시장 전체를 관할하기에 이르렀다.
K사장의 첫 직장 동료들은 아직도 중소기업에서 중간관리자로 근무하며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그는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학벌이나 첫 직장의 규모에 실망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만회하기 위해 전문성을 쌓으려 노력했고 철저히 인맥관리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