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적성에 맞는 일은 무엇일까?
국내 굴지의 대기업에서 재무기획 업무를 맡고 있는 P과장의 이력서는 꽤나 화려했다. 해외 유학파라거나 그럴 듯한 학위를 가진 것은 아니지만, 그룹사 중에서도 소위 잘 나가는 계열사 두 곳에서 12년간 재무회계 업무를 섭렵해 실무관리자로서의 경력은 잘 구축돼 있었다. 연봉 수준도 상당히 높고 사내 평가에서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어 조만간 승진도 예상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누가 봐도 모자람이 없어 보이는 P과장이 미래에 대한 극심한 불안을 호소하며 커리어 코치를 찾아왔다.
P과장의 고민은 뜻밖에도 “내 적성에 맞는 일은 무엇일까?”하는 것이었다. 10년을 넘게 한 방향으로 쌓아온 경력, 게다가 이제 곧 40대를 목전에 둔 P과장에게 이런 고민은 경력관리 측면에서 상당히 큰 모험이 아닐 수 없었다. P과장도 이러한 위험부담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P과장은 “지금이라도 고민하지 않으면 5년, 10년 후 또 다시 똑 같은 고민에 빠질 것 같다. 만약 그 때 가서 다시 고민한다면 지금 고민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때는 지금보다 더 큰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외로 많은 직장인들이 P과장과 비슷한 고민을 가지고 있다. ‘이 일이 나의 천직일까?’ ‘정말 내가 원하던 일을 하고 있나?’ ‘이 일을 계속 해 나가면 내가 원하는 삶을 살 수 있을까?’ ‘내가 정말 원하는 일은 무엇인가?’ 이런 고민은 학창시절의 전유물이 아니다. 어쩌면 직업 생활을 영위하는 동안, 혹은 그 후에도 이어질 수 있는 고민이다. 직장인의 상당수가 궁극적으로 이와 같은 고민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당신의 커리어에 결여된 것은 무엇입니까?”라는 코치의 질문에 P과장은 ‘자부심, 열정, 꿈’이라고 대답했다.
‘Doing’보다는 ‘Being’에 초점을 맞춰라
P과장의 경력 코칭을 위해서는 ‘더 좋은 조건으로 이직을 희망’ 또는 ‘조직 내에서 더 높은 직위로 승진’ ‘전문성을 더 쌓아 경력을 확장’과 같은 경력직 직장인들의 일반적인 고민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했다. 단순한 직무전환과도 좀 달랐다.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Doing(구체적인 계획수립이나 행동변화 설계)’ 보다는 ‘Being(존재 자체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지 않으면 P과장의 고민은 계속 제자리에 맴돌 수밖에 없어 보였다.
다시 P과장의 이야기로 돌아가보자. P과장은 전형적인 ‘무난한 직장인’이다. 상위권 대학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그룹공채로 입사해 배치받은 첫 번째 직장의 첫 번째 부서가 하필(?) 재무 파트였다. 하지만 이는 누가 봐도 무난한 선택이었다(사실 회사나 부서, 직무에 대한 선택의 여지는 없었다). 조금 더 과거로 가보면 대학과 전공 선택 역시 무난했다. 딱히 무엇을 배워보고 싶어서가 아니라, 성적에 맞추고 주변 사람들의 조언을 따른 선택이었다.
이처럼 무난한 대학생활과 직장생활을 한 P과장의 커리어에 이상 신호가 감지된 것은 직장생활을 시작한 첫해부터였다. 특별한 사건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무언가 ‘답답함’이 그를 누르고 있었다. 하지만 P과장은 눈코 뜰 새 없이 바빴고 곧 적응했다. 그러다 또 얼마 지나면 ‘답답함’이 밀려왔고, 또 다시 적응하곤 했다. 10년 넘게 그런 생활이 이어졌다.
P과장이 잃어버린 ‘자부심, 열정, 꿈’을 되찾고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일’을 찾기 위한 커리어 코칭을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현재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P과장의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실태를 ‘Professional Balance Wheel’을 통해 확인하는 작업을 했다.
진단 결과, P과장은 개인의 목표·비전과 현재 업무의 일치도가 상당히 낮게 나왔고, 이로 인해 성취감·보람·만족감이 떨어질 뿐 아니라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확인했다. 다만, 한 조직과 한 분야에서 꾸준한 경력을 쌓아왔기 때문에 실무적인 문제해결능력이나 조직의 성과·목표달성 등의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한 가지 주목할 부분은 P과장의 ‘Professional Balance Wheel’에서 ‘책임과 권한의 명확’이라는 요소에 대한 만족도가 상당히 낮게 평가됐다는 점이다. 이 항목은 조직 내에서 자신이 맡은 업무와 관련해 책임과 권한 관계가 얼마나 분명한가 하는 것인데, 이에 대한 평가가 개인의 목표·비전의 일치도와 성취감·보람·만족감 다음으로 낮게 나온 것이다. 이것은 P과장이 갖고 있는 고민이 온전히 P과장 개인으로부터 초래된 것이 아닐 수 있음을 암시한다. 즉, 근본적인 원인이 P과장에게 있다 하더라도 조직이 제공하는 환경 역시 개인의 직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