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이라는 지리적 이점 때문에 컬럼비아대 비즈니스스쿨(CBS)에는 씨티그룹이나 모건스탠리의 회장 등 월가를 쥐락펴락하는 거물들의 강연이 잦다. 2009년 11월 3일에는 한국인 학생들이 유난히 관심을 가질 만한 강연이 있었다. CBS의 학생 클럽 중 하나인 한국기업연합회와 아시아기업연합회가 공동으로 뱅크오브아메리카(BOA)-메릴린치 뉴욕 본사의 마이크 주(주희찬) 전무를 초청했기 때문이다.
주 전무는 한국계로는 드물게 월가 최고위(c- level) 임원급에 오른 인사다. 그런 그가 학생들과 직접 만나 세계 자본 시장의 전망, 유가 증권 세일즈 & 트레이딩 업무 등에 관해 설명한다는 점 때문에 한국 학생들의 기대는 어느 때보다 컸다. 주 전무의 공식 직함은 BOA-메릴린치의 글로벌 마켓 최고 운영책임자(COO of Global Market)다. 글로벌 마켓의 사업 전략 지원, 경영 총괄, 경영 관리를 포함해 채권, 상품, 외환 부문의 세일즈 & 트레이딩 등을 총괄한다.
주 전무는 미국 미네소타 출신으로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생물학을 전공했다. 학부를 졸업한 1995년 골드만삭스 뉴욕 본사에 입사, 2년간 애널리스트 생활을 했다. 당시 미국에서 선발된 골드만삭스 대졸 입사자 100명 중 한국계는 주 전무를 포함해 2명에 불과했다. 골드만삭스는 월가 최고의 투자은행(IB)이다. 최근에는 금융위기의 주범이 아니냐는 비판도 생겨났지만 특유의 막강한 인적 네트워크 덕에 언제나 아이비리그 졸업생들이 가장 가고 싶어 하는 직장이다. 실제 미국 정재계를 움직이는 인물 중에는 소위 ‘골드만 출신(Goldman colleague)’들이 많다. 헨리 폴슨 전 재무장관, 로버트 루빈 전 재무장관은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CEO) 출신이며 존 테인 전 뉴욕증권거래소(NYSE) CEO, 조슈아 볼튼 전 백악관 비서실장, 로버트 졸릭 전 세계은행 총재, 존 코자인 뉴저지 주지사 등도 모두 골드만 멤버들이다.
주 전무는 “제가 입사했을 때는 한국계가 단 2명에 불과했지만 이후 몇 년간은 매년 골드만삭스 본사에 한국 교포들이 10명 이상 들어오더군요. 당시 채용 담당자가 제게 ‘연세대를 우리의 신규 타깃 스쿨로 넣겠다’고 농담을 할 정도였어요. 당시 선발된 교포 학생 대부분이 연세 어학당 랭귀지스쿨을 수료했다고 이력서에 적어냈으니까요”라고 말했다.
한국계라는 사실 외에도 그는 월가의 다른 임원들과 다른 점이 많다. 일단 나이가 36세에 불과하다. 아무리 승진이 빠른 투자은행(IB) 업계라 해도 30대 중반에 최고위 임원으로 승진한 사례는 흔치 않다. 또한 주 전무는 미국 시장이 아니라 아시아 시장에서 이룬 성과를 바탕으로 미국 뉴욕 본사에서 인정받았다. 그는 13년 동안 투자은행 업계에서 근무하면서 절반이 넘는 9년 가까이를 서울과 홍콩에서 근무했다. 즉, 뉴욕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룬 후 한 단계 승진한 채로 홍콩이나 서울로 왔던 고전적 사례와 정반대의 성공 가도를 걸었다는 뜻이다.
오랫동안 한국에서 근무한데다, 주로 셀 사이드(Sell-Side, 주식 중개나 리서치 업무 등을 담당하는 회사로 주로 증권사를 지칭함)에서 근무한 덕인지 한국어 구사 능력도 토종 한국인과 차이가 없다. 간단한 한국어 회화 정도만 하거나 아예 한국말을 할 줄 몰랐던 기존 ‘월가 386 교포’들과는 매우 다른 점이다. 주 전무 역시 자신의 초고속 승진 배경에는 아시아 시장에서의 업무 성과와 유창한 한국어 실력 등이 자리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세계를 덮친 금융위기로 미국과 서유럽 주식 시장은 큰 타격을 입었지만 아시아 시장은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고, 향후 성장 전망도 밝아 이를 잘 아는 자신이 유리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