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d on “Faster, Higher, Stronger... and Happier Relative Achievement and Marginal Rank Effects”(2021) by P. Dolan et al. in Journal of Behavioral and Experimental Economics.
무엇을, 왜 연구했나?
‘행복 체감의 법칙’에 따르면 소득이 증가할수록 행복에 대한 주관적 판단도 긍정적으로 변하지만 행복의 증가 속도는 점차 감소한다. 반면 ‘행복 감소의 법칙’은 비교 그룹의 소득이 증가할수록 자신의 행복은 반비례로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웃이나 동료의 소득이 불어나는 것을 보면 속이 편하지 않다든지, 평균 또는 중위 소득은 상승하는데 내 소득은 제자리걸음일 때 씁쓸함을 느끼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상향적 비교에서 오는 상대적 박탈감이나 고통이 이러한 부정적 효과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소득만큼 중요한 행복의 결정 요인이 순위, 계급, 또는 계층이다. 이 세 가지가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보다 보통 더 행복하다고 생각하며 이를 ‘순위 효과(Rank Effect)’라 한다. 이때 순위 사이의 격차에 따라서 느끼는 행복의 정도가 달라지는 현상을 ‘한계 순위 효과(Marginal Rank Effect)’라 한다. 영국 런던정경대 연구팀은 순위 효과와 한계 순위 효과를 시상대에 선 올림픽 참가 선수들로부터 느껴지는 행복도를 평가해 검증했다. 올림픽 선수들을 연구 대상으로 함으로써 얻는 효익은 생각보다 크다. 선수들의 성취는 메달에 따라 상대적, 객관적으로 명확히 정의되기 때문에 평가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적다. 또한 선수들 간 성적 격차, 예를 들어 은메달리스트의 성적이 금메달리스트에 가까운지, 동메달리스트에 가까운지 여부는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는 데 최적의 실험 환경을 제공한다.
무엇을 발견했나?
연구팀은 대학 학부생과 대학원생, 지역사회 주민으로 구성된 756명의 참가자를 모집했다. 피험자들은 영국 런던에 있는 한 대학의 행동연구소에서 2012 런던올림픽과 패럴림픽에서 영국팀 메달리스트들의 시상식 영상을 보고 수상자들이 느끼는 행복도를 평가했다. 영국팀은 런던올림픽에서 65개, 패럴림픽에서 120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이 중 런던올림픽 39명(60%)과 패럴림픽 메달리스트 74명(61.7%)의 시상식 영상이 연구 자료로 사용됐다. 영상은 피험자의 편향적 평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화면의 문자 정보와 음향을 제거하고 5초 동안 선수의 머리와 어깨만 드러나도록 편집됐다. 영상을 본 후 피험자들은 해당 선수의 행복도에 대한 평가를 0(전혀 행복하지 않은 상태)부터 10(최고의 행복도)의 척도로 기록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곽승욱swkwag@sookmyung.ac.kr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필자는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와 텍사스공과대에서 정치학 석사와 경영통계학 석사, 테네시대에서 재무관리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유타주립대 재무관리 교수로 11년간 근무한 후 현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행동경제학, 기업 가치평가, 투자, 금융시장 및 규제, AI 재무 분석 등이고 역·저서에는 『재무관리의 이해』와 『생각과 행동, 그리고 투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