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Interview: 드라이브스루 진료소 고안한 김진용 인천의료원 교수

“감염 위험? 병원 밖에서 진료하면 되겠네!
현장에 맞게 생각 바꾸니 혁신적 솔루션”

이미영 | 298호 (2020년 6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해 드라이브스루(Drive Through) 형태의 선별 진료소 아이디어를 처음 고안한 김진용 인천의료원 감염내과 과장은 드라이브스루의 성공 요인을 크게 3가지로 분석했다. 첫째, 과거 감염병 사례에 집착하지 않고 코로나19 고유의 특성을 찾아내 초기 방역에 집중했다. 둘째,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공식, 비공식 채널에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교환하며 새로운 솔루션을 도출해냈다. 셋째, 의료 현장에서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솔루션부터 신속하게 적용하면서 아이디어의 효과를 극대화했다.


편집자주
드라이브스루 형태의 선별 진료소는 코로나19 사태에서 대한민국이 방역 선진국으로 인정받는 데 일등공신 역할을 했습니다. 드라이브스루 진료소는 의학계의 영역이지만 이 진료소를 고안하고 세계 의학계에 널리 알리기까지의 의사결정 과정을 살펴보면 큰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의 제작에는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인턴연구원인 고경주(경희대 관광학과 4학년) 씨와 장동욱(연세대 정치외교학과 4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의료계만큼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집단도 없다. 의료 현장은 생명을 다루는 곳인데다 돌발 상황과 위험 요소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의료진은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매뉴얼 따르기’를 금과옥조처럼 여긴다. 그래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오거나 개방적 협업이 이뤄지기 가장 어려운 분야로 꼽힌다.

이번 코로나19 위기는 이런 의료계의 불문율을 깨뜨렸다. K-Pop을 본뜬 ‘K-방역’이라는 신조어가 나온 배경에는 그동안 기존 감염병 관리 체계에서 볼 수 없었던 혁신적 시도들이 있었다. 드라이브스루(Drive Through) 선별 진료소가 대표적인 예다. ‘검사 대상자가 자동차를 타고 진료소로 들어와 자동차 안에서 검사를 받게 한다’는 이 간단한 아이디어는 코로나19 확산을 막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기존의 검사 시스템에 비해 감염 여부 판별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미국, 유럽 등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가들이 가장 주목하는 ‘혁신 방역 아이템’이 됐다.

드라이브스루를 처음 고안한 김진용 인천의료원 감염내과 과장은 조직 내 경직성이 더 강화될 수밖에 없는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새로운 방식을 시도할 수 있었을까. 그는 드라이브스루의 성공 요인을 크게 3가지로 분석했다. 첫째, 과거의 감염병 대응 경험에 집착하지 않았다. 코로나19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부터 파악해 감염 초기에 모든 방역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둘째, 개방적 의사소통 시스템을 만들었다. 전문가들이 비공식 채널에서 나눈 아이디어를 공식 채널로 옮겨와 논의를 확장시켜나갔다. 아이디어와 지식이 축적되면서 새로운 솔루션이 탄생할 수 있었다. 셋째, 새로운 아이디어의 현실 실현성을 두고 설왕설래하지 않았다. 현장의 전문가들이 빠르게 현장에 도입해 그 효과를 테스트했다. 효과성이 입증되면 전문가들은 이 매뉴얼을 전국으로 확산시켰다.

코로나19는 기업 입장에서도 뜻밖의 위기였다. 많은 기업이 코로나 이후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기업들이 가장 목말라 하는 것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것’일 것이다. 이번 드라이브스루 사례를 눈여겨봐야 하는 이유다. DBR는 김진용 과장을 만나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개발하고 실행하게 된 과정을 물었다.

093

‘드라이브스루’ 형태의 선별 진료소를 빠르게 고안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제대로 알기 위한 기초 조사가 잘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난 1월19일, 중국 우한에서 온 중국인이 인천국제공항에서 코로나19 환자로 의심돼 인천의료원으로 이송됐다. 다음날 그는 국내
1호 환자로 확진 판정돼 음압병동에서 치료를 받기 시작했다.

이때 환자를 치료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제대로 아는 것이라 생각했다. 입원 시부터 격리해제 될 때까지 약 열흘 동안 매일같이 검체를 채취해 질병관리본부로 보냈다. 코로나19를 식별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가 쌓인 것이다. 질병관리본부에서 이 검체를 분석했고, 분석 결과를 모두 인천의료원에 다시 보내줬다.

검사 결과를 보니 그동안 알 수 없었던 코로나19 바이러스만의 특성이 보였다. 이 바이러스는 과거 한국을 거쳐 간 다른 신종 감염병과 성격이 매우 달랐다. 사스나 메르스의 경우 인체 내 바이러스양이 감염 중반, 증세가 심화될 때 가장 많이 나온다. 반면 코로나19는 감염자가 별다른 증상이 없는데도 발병 초기부터 바이러스 수치가 매우 높았다. 결국 발병 후 환자를 관리해 확산을 막는 것보다 의심 환자들을 빠르게 걸러내는 작업이 방역의 최우선이 돼야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것이 2월3일이었다. 이 내용을 개인 페이스북, 전문가 소통창구 등 여러 경로를 통해 빠르게 알리기 시작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