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ase Study 朝鮮: 영조와 정조의 탕평정치

조직 내 갈등 해결, 기계적 균형이 답은 아니다

김준태 | 235호 (2017년 10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조직 내 갈등이 극단으로 치달을 때 리더는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야 한다. 숙종의 환국 정치로 붕당 간 적대 구도가 심화됐던 18세기 조선이 바로 그런 때였다. 영조와 정조는 서로 다른 색깔의 탕평 정치로 붕당 정치를 되살리려 했다. 하지만 영조의 탕평은 어느 편도 들지 않는 기계적인 균형에 그쳤으며, 정조의 탕평은 본인의 카리스마에 의존한 미봉책에 불과했다. 두 군주가 펼친 탕평 정치의 한계는 오늘날 타협과 합의의 조직 문화를 만들어 가야 하는 리더들이 교훈으로 삼을 만하다.


편집자주

조선에서 왕이 한 말과 행동은 거의 모든 것이 기록으로 남아 있습니다. 여러 가지 기록 중 비즈니스 리더들이 특히 주목해봐야 할 것은 바로 어떤 정책이 발의되고 토론돼 결정되는 과정일 것입니다. 조선시대의 왕과 마찬가지로 기업을 이끄는 리더들 역시 고민하고 판단하며 결정을 내리고 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미 해당 정책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알 수 있는 상황이기에 더욱 면밀히 성공과 실패의 요인들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에 정통한 연구자인 김준태 작가가 연재하는 ‘Case Study 朝鮮’에서 현대 비즈니스에 주는 교훈을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어떤 조직이든 구성원의 생각이 하나같을 수 없다. 조직의 방향과 운영에 대한 견해차가 있고, 이해관계도 다르다. 사람들은 자신의 입장을 관철하기 위해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끼리 힘을 모은다. 파벌 간의 갈등, 세력 간의 대립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이 같은 갈등과 대립은 ‘공감적 이해(empathic understanding)’, 즉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자세가 전제되고 차이를 존중하는 조직문화 속에서 얼마든지 타협과 합의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조직 문화가 불가능하다면, 당사자들 간 자발적인 협상이 어려울 정도로 이미 대결구도가 심화됐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리더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중재와 조정에 나서야 한다.

18세기의 조선이 바로 그런 상황이었다. 16세기 후반, 학문과 세계관, 정치적 입장 등의 차이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동서(東西) 붕당이 탄생한 이래 붕당은 남인과 북인, 대북과 소북, 공서와 청서, 탁남과 청남, 노론과 소론으로 분기를 거듭했다.1

조정의 분열이 갈수록 심해지고 갈등과 대립은 더욱 악화했다. 인조반정 후, 서인과 남인이 공존하며 비판적 협력관계를 이어갔던 연정(聯政) 체제도 예송논쟁(禮訟論爭) 등으로 붕당의 승패가 뚜렷하게 갈리면서 상대방을 적대하는 인식이 강해졌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것이 바로 숙종의 ‘환국정치(換局政治)’다. (DBR 233호 ‘숙종, 극단적 대립 구도로 붕당정치 망쳐’ 참고)

환국정치는 한 당파에게 정국 운영을 독점하게 함으로써 국정의 효율성을 도모한 것이다. 국왕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정국을 일거에 뒤집을 수 있다는 것을 과시함으로써 왕권을 강화하고 신하들의 충성을 유도할 목적도 있다. 하지만 각 붕당으로 하여금 자신들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패배시키고 역적으로 내모는 ‘전부 아니면 전무(all or nothing)’의 행태를 갖게 만들었다. 이들은 정책 경쟁을 하지 않고 오로지 상대 당의 전멸을 추구했다.

조선의 제21대 임금 영조(英祖, 재위 1724∼1776년)가 맞닥뜨린 환경은 더욱 심각했다. 조정의 양대 축이었던 노론과 소론은 서인이라는 같은 뿌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의 주요 인사를 죽음으로 내몰고 상대 당파를 ‘역당(逆黨, 반역자들의 당)’이라고 규정하는 등 이미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넌 뒤였다. 게다가 영조가 노론에게 옹립되다시피 하면서2  임금 역시 이들의 당쟁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당론(黨論)의 극단적인 대립 속에서 영조는 자신의 정통성을 확보해야 했으며 노론과 함께 경종의 독살에 관여했다는 의심도 해소해야 했다.3  영조가 노론의 대의명분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공인하고4  자신의 정당성을 천명한 ‘천의소감(闡義昭鑑)’을 편찬해 공표한 이유다.5

03c1ed136209445d15a6c746a8d95886


하지만 영조는 ‘노론의 임금’에 머물고 싶지 않았다. 다른 붕당이 가진 현실적인 힘을 고려한 까닭도 있지만 명실상부 모든 붕당을 초월한 군왕이 되고자 했다. 붕당들이 공존하는 가운데 건강하게 경쟁하는 것이 나라에 이롭다는 생각도 갖고 있었다. 그뿐만이 아니다. 붕당 간의 갈등이 격화하면서 인사가 당파를 기준으로 이뤄지는 점도 걱정스러웠다. 영조는 즉위 초기, ‘붕당의 폐단을 염려하는 하교’를 내렸는데 같은 당파 안에도 어진 사람과 불초한 사람이 있는 법이라며 자당의 사람만 등용하고 상대 당의 사람은 배척하니, 이는 나라의 절반을 침체시키는 셈이라고 질타한 바 있다.6

이에 영조는 정치적으로 노론의 손을 들어주면서도 양쪽 모두 옳은 주장이 있고 양쪽 모두 틀린 주장이 있다는, ‘양시쌍비(兩是雙非)’를 기본 논리로 삼는다.7  그러면서 ① 완론(緩論) 중용 ② 쌍거호대(雙擧互對)와 양치양해(兩治兩解) 원칙 ③ 탕평파(蕩平派) 육성을 통해 자신이 구상한 탕평정치를 실현하고자 했다.8  먼저 ‘완론’이란 상대 당파에 대해 너그러운 생각을 가진 사람, 즉 온건파를 뜻한다. 완론 성향의 신하들을 중용한 것은 붕당의 대립구도를 완화하기 위해서였다. ‘쌍거호대’는 양쪽에서 천거하여 서로 대응하게 한다는 의미다. 가령 이조판서를 노론으로 임명했다면 이조의 다음가는 자리이자 이조판서를 견제할 수 있는 이조참판에는 소론을 임명하는 인사 형식을 말한다. 다음으로 ‘양치양해’란 죄를 물어도 함께 묻고, 풀어줘도 함께 풀어준다는 말로, 어느 한 당파만 억제하거나 탄압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마지막으로 ‘탕평파’는 영조의 탕평 정치를 지지하는 신하들을 세력화한 것으로, 영조는 김재로, 송인명, 조현명 등의 탕평파를 키워 이들에게 힘을 실어줬다. 이들이 죽은 뒤에도 탕평파 2세대라고 할 수 있는 원경하, 이천보, 이종성, 조재호 등을 육성해 조정의 중임을 맡긴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