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Watch
Strategy
CEO의 지나친 해외경험, 오히려 조직에 불이익 될수도…
“Too much of a good thing: Does international experience variety accelerate or delay executives career advancement?”, by Dimitrios Georgakakis, Tobias Dauth and Winfried Ruigrok in Journal of World Business, 2016, 51, pp.425-437.
무엇을 왜 연구했나?
기업조직을 이끌 리더의 덕목과 역량으로 국제화 수준, 혹은 해외시장 근무경력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최고경영자의 해외 경력이 리더십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해외시장에서의 경험이 풍부할수록 지금과 같은 치열한 경쟁 환경에 더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적극적인 해외시장 진출과 현지 적응에 능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최고경영자의 국제화 정도가 리더로서 반드시 갖춰야 할 역량이라고만 여길 뿐 이것이 과연 리더의 업무수행에 실질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고 무엇보다 최고경영자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고 있는지 명확히 알지 못한다. 주변을 둘러봐도 해외시장의 경험과 실무가 크게 일천함에도 글로벌 기업을 잘 이끌어 나가고 있는 최고경영진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해외시장 경험이 반드시 최고경영진의 핵심 역량이어야 하는가에 의문이 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는 리더의 해외 경험을 지나치게 과대평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다양한 해외시장에서의 경험이 최고경영자의 실무수행에 주는 도움은 제한적일 수도 있다.
학계의 주장 역시 크게 엇갈리고 있다. 조직의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해외 경험과 경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인적자본론(human capital)적인 관점이 있는가 하면 해외시장으로의 잦은 이동보다는 핵심 조직 내의 다양하고 복잡한 네트워크 속에서 조직을 장악하고 이끌 수 있는 위치로 진입하는 데 주력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사회네트워크(social network)적 시각이 상존하고 있다.
과연 관리자들의 국제화 정도는 이들이 최고경영자로 자리매김하는 데 얼마만큼의 역할을 할까? 최근 이에 대한 연구가 스위스와 독일의 연구진에 의해 진행됐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연구진은 지나친 국제화 경험은 최고경영자가 되는 데 그리 큰 역할을 하지 못하며 해외시장 경험 역시 선택적이고 분별적으로 축적될 경우에만 그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어떻게 연구했나?
스위스와 독일의 연구진은 서유럽에 본사를 두고 있는 310여 개 글로벌 기업 CEO를 대상으로 이들의 국제화 정도(파견 및 체류 국가의 수 및 해외 체류기간)와 CEO가 되기까지의 소요기간과의 상관관계를 측정했다. 파견 국가들과 본사와의 지리적 근접성, 해당 기업의 국제화 정도, 해당 기업의 해외 인력 요구 정도, 사회적 네트워크를 조절변수로, CEO의 학력사항, 회사 규모 등을 통제변수로 사용했다.
무엇을 발견했나?
연구결과 기업의 최고경영자로 성장하기 위해서 국제화 정도, 해외시장에서의 경험뿐 아니라 조직 내부에서의 핵심적인 위치를 확립하는 것 모두 소홀히 할 수 없는 요소로 판명됐다.
그러나 분석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본사의 중앙부서나 본사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오래 근무한 경력이 있었던 사람들이 대체로 최고경영자로 더 빨리 진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해외 경력 역시 필요 없다고는 할 수 없으나 어느 수준을 넘어선 경우에는 최고경영자가 되는 데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었는가?
기업조직에 몸담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최고경영자가 되기 위한 역량이 무엇인가 고민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글로벌 경쟁이 심해진 요즘 다양한 해외시장에 도전해 경험을 쌓고 자신의 역량을 입증해 보이는 것이 최고경영자의 핵심 역량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양날의 칼과 같아서 지나친 해외 경험이 조직 내부에서 확고히 자리매김하는 데 오히려 불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역량 있는 관리자라면 해외 업무와 조직 내부에서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모두 추진해낼 수 있는 균형감을 가져야 한다.
아울러 기업 역시 차세대 우수 관리자 육성을 위해 해외 경험과 조직 내부에서의 네트워크 형성을 제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균형감 있는 인재양성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 이를 통해 역량 있는 직원들이 글로벌 시대에 직면하게 된 과중한 해외업무로부터 오히려 불이익을 당하거나 진급 시 역차별을 당하지 않을까 우려하지 않게끔 해야 한다.
류주한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jhryoo@hanyang.ac.kr
필자는 미국 뉴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에서 석사(국제경영학), 런던정경대에서 박사(경영전략)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United M&A, 삼성전자, 외교통상부에서 해외 M&A 및 투자유치, 해외직접투자실무 및 IR, 정책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한 바 있으며 국내외 학술저널 등에 기술벤처, 해외 진출 전략, 전략적 제휴, PMI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