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재상을 통해 본 2인자 경영학

울릉도 지키고, 서북지역 챙기고… 강단 있는 재상 남구만, 국가의 힘 키우다

김준태 | 182호 (2015년 8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 인문학,HR

 

 

 재상 남구만은 영토경영에 대한 고민이 깊었다. 세종 때 개척된 이후 사실상 버려지다시피 했던 북쪽의 땅을 활용할 방법을 항상 강구했다. ‘이래서 안 된다, 저래서 안 된다고 반대하던 많은 이들에 맞서 활용방안을 주장했다. 그리고 그의 의견이 일부 수용될 때마다 그의 주장은 옳은 것으로 입증됐다. 그는 서북지방 출신 인재를 홀대하던 당시의 관습에도 반기를 들었다. 1인자는 큰 관심이 없고, 다른 이들은 반대를 할 때에도 언제나우리가 버려둔 것 중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은 무엇인가, 우리가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인력은 없는가를 고민한 그에게서 현대 기업의 2인자들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편집자주

기업이 거대해지고 복잡해질수록 CEO를 보좌해줄 최고경영진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커집니다. 리더의 올바른 판단과 경영을 도와주고 때로는 직언도 서슴지 않는 2인자의 존재는 기업의 흥망을 좌우하기도 합니다. 조선시대 명재상들 역시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위치에서 군주를 보좌하며 나라를 이끌었습니다. 조선시대 왕과 재상들의 삶과 리더십에 정통한 김준태 작가가조선 명재상을 통해 본 2인자 경영학을 연재합니다.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치는 아이는 상기 아니 일었느냐/ 재 너머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 하느니.”1 국어 교과서에도 나왔을 정도로 유명한 이 시조는 숙종 때 두 차례에 걸쳐 영의정을 지낸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 1629∼1711)이 지었다. 바로 이번 호의 주인공이다.

 

남구만은 소위 소론의 영수로 불린다. 그래서 노론이 편찬한 <숙종실록>과 소론이 편찬한 <숙종실록보궐정오(肅宗實錄補闕正誤)>는 각기 남구만에 대한 상반된 평가를 전하지만 두 기록 모두 공감하는 바가 있다. 그는고단하고 가난한 환경 속에서 성장하여 송준길의 문하에서 학업을 닦아 높은 명망을 얻었고” “문재(文才)가 있고 필법이 뛰어나 아름다웠으며” “성품이 강개(剛介)하다는 것이다.2

 

특히 그는 문장으로 명성을 날렸는데 훗날 정조는근래 문학을 하는 사람들은 식암(息庵) 김석주(金錫胄,1634∼1684)와 약천 남구만을 으뜸가는 거장으로 꼽는다. 호방하고 웅건한 식암의 책론(策論), 명백하고 적절한 약천의 소차(疏箚)는 응당 관각(館閣)3 의 나침반이자 지표일 것이다4 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리고 함께 거론된 김석주조차 대제학의 직임을 사양하며오늘 조정의 신하들 가운데에는 뜻을 돈독히 하고 학문을 좋아하며, 저작들을 공부하여 계속 문한(文翰)5 을 맡아 이 시대의 원로가 된 분이 있으니, 문사(文詞)가 풍부하고 막힘이 없으며 재주와 학문의 빛남이 신보다 절대적으로 나은 자가 있다고 남구만을 추천할 정도였다.6

 

남구만은 효종 7(1656) 별시문과 을과에 급제한 이래 도승지, 대사간, 대제학, 형조판서 등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함경도 관찰사로 나아가 북방에 대한 경험도 쌓는다. 군사업무에 밝아 병조판서로서 많은 업적을 남겼고, “관직을 맡으면 직분을 다하여 있는 곳마다 대단히 성과가 있었다라는 평가를 받았다.7 병조판서 시절 그는 부패한 서리8  (胥吏)들을 대거 축출하는 등 숙정작업을 벌인 적이 있었는데, 이를 두고 송시열은지금 병조판서 남구만이 도태한 서리가 100명에 달하는데, 이자들이 들고 일어나 무고하고 비방하고 있지만 그 이익이 실로 작지 않습니다. 삼가 바라건대 속히 모든 관청에 명하시어 (남구만의 조치를) 따르게 하소서라는 상소를 올리며 높이 평가한 바 있다.9 이후 남구만은 숙종10(1684) 우의정10 , 이듬해 좌의정11 을 거쳐 숙종13(1687) 영의정에 제수된다.12

 

남구만은 관료 초년 시절부터 임금의 분노를 두려워하지 않고 할 말을 다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러한 그의 성품은 영의정이 돼서도 변하지 않았는데, 장희빈의 후원자이자 숙종이 총애하던 동평군이 국정에 개입하자 이를 강경한 어조로 탄핵하다가 함길도 경흥 땅으로 위리 안치됐다. 이때 숙종이 얼마나 분노했던지 당장 신속히 압송해 유배지에 도착하는 날짜를 보고하도록 지시했다고 한다.13  이어 숙종 15(1689), 기사환국으로 남인들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그는 강릉에 부처됐고, 숙종 20(1694)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자 다시 영의정에 임명됐다.14

 

영의정으로서 남구만이 남긴 업적은 정책 분야에서는 그리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다음 두 가지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가입하면 무료

  • 김준태akademie@skku.edu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초빙교수

    김준태 교수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등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