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명품의 기술전략

"진실한 사랑은 저마다의 色이 있다" 까르띠에, 그 사랑을 디자인하다

허두영 | 174호 (2015년 4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 혁신, 전략

 

 

 

1850년대에는 화려한 금과 은이 큰 인기를 모았다. 경쟁사인 티파니가 세밀한 은 세공기술로 유럽시장을 공략하자 까르띠에는 새로운 소재인 백금으로 맞서기로 했다. 백금은 금이나 은보다 넓게 펴지고 가늘게 뽑히는 성질이 있어 가공이나 디자인에 대한 제약이 적었다. 백금 세공기술을 앞세운 까르띠에는 유럽 왕족과 귀족을 대상으로 큰 사랑을 받았다. 이 같은 기술력에 더해 상류사회 여성들의 목소리에도 기민하게 반응함으로써 까르띠에는 하이주얼리 패션을 주도할 수 있었다.

 

1866년 남아프리카 오렌지 강 주변의 킴벌리 지방에서 15세 소년 에라스무스 야콥스(Erasmus Jacobs)는 아버지의 농장에서 유난히 반짝이는 돌을 주워 누이에게 줬다. 소년의 부모는 이것을 여행객에게 무심코 줘버리는데 이 돌이 세계에서 처음 발견된 다이아몬드유레카(Eureka)’. 5년 뒤 드비어(De Beer) 형제의 농장에서 요리사 에사우 데이먼(Esau Damon) 83캐럿짜리 다이아몬드를 발견했다. 소문을 듣고 1914년까지 5만 명이 이곳을 찾아와 136만 캐럿(2722) 상당의 다이아몬드를 캐갔다. 그 결과 작은 언덕에 있던 드비어 형제의 농장에 깊이 215m, 둘레 1.6㎞의 거대한 구멍이 생겼다. 1899년 발발한 보어 전쟁도 이 지역의 다이아몬드에 관한 이권을 두고 벌어진 사건이었다.

 

다이아몬드 광풍(Diamond Rush)을 따라 남아프리카에 온 영국의 세실 로즈(Cecil Rhodes)는 광산에 고인 물을 뽑는 증기펌프로 큰돈을 벌어 드비어 형제에게서 농장을 사들이고 광산까지 잇달아 인수하며 1888년 드비어스(De Beers)를 설립했다. 드비어스가 새로운 채광 기술로 품질좋은 다이아몬드를 대량 공급하면서 다이아몬드는 평화와 번영을 누리던 프랑스 파리의아름다운 시절(Belle Epoque, 1890∼1914)’을 장식하는 대표적인 보석이 됐다.

 

다이아몬드와 백금 세공기술을 혁신하다

루이 프랑수아 까르띠에(Louis-Franois Cartier)는 같은 이름을 가진 할아버지처럼 귀금속 세공에 재주가 많았다. 어릴 때부터 귀금속에 관심을 갖던 그는 파리에서 작은 보석상을 운영하던 아돌프 피카르(Adolphe Picard)의 공방에서 오랫동안 일을 배웠다. 1847년 스승이 죽자 공방을 인수해 간판을까르띠에로 바꿨다. 까르띠에는 특히 다른 종류의 귀금속과 보석을 조합해서 맵시를 내는 데 탁월한 역량을 보였다. 기술력이 알려지면서 가게는 날로 번창했다. 1856년 나폴레옹 3세의 사촌인 마틸드(Mathilde) 공주가 카메오(Cameo)와 브로치(Broach)를 구입한 데 이어 4년 뒤 외제니(Eugünie) 황후가 거북 등껍데기로 만든 머리빗과 자수정과 금을 조합한 파뤼르(Parure, 보석 세트)를 주문하면서 까르띠에가 만든 스타일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까르띠에는 여러 가지 선도적인 기술을 선보였는데 그중 가장 위대한 것이 장신구에 백금을 도입한 것이다. 1880년대까지는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같은 보석을 앉히는 재료로 주로 은()이나 금()을 사용했다. 당시 은 세공기술이 뛰어났던 티파니는 이를 강조하며 본진인 미국 시장을 넘어 적극적으로 유럽 시장을 공략했다. 유럽 시장을 지키고 있는 경쟁사인 티파니를 이기려면 혁신적인 재료와 기술이 필요했다. 경쟁 기업들이 모두 화려한 금과 은에만 관심을 기울일 때 까르띠에는 새로운 소재인 백금을 생각해냈다.

 

과거 주로 쓰이던 은이나 금은 넓게 펴지고(전성·展性) 가늘게 뽑히는(연성·延性) 성질이 있어 가공하기 쉽지만 보석을 고정하기에는 약간 무르다. 반면 백금은 전성과 연성이 뛰어나 섬세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열팽창률이 낮고, 상대적으로 단단한 편이어서 보석을 안전하게 물고 있을 수 있다. 또 보석의 고유한 빛을 은은하게 반사해 아름다움을 배가시키는 장점도 있다. 새로운 것에 대해 열렬히 탐구하고 이를 제품에 적용했던 까르띠에는 남들보다 먼저 백금의 가치를 알아차렸다. 하마터면 보통 금속으로 남을 뻔했던 백금을 귀금속 반열에 올려 놓았다. 다이아몬드와 백금을 도입해 더 섬세하고 화려해진 까르띠에 스타일은 하이주얼리(High Jewelry)로 패션을 주도했다.

 

 

 

프랑스에서 벨 에포크(Belle Epoque, 1890∼1914) 시대는 몰락하는 왕족과 떠오르는 신흥 부자가 경쟁적으로 가문과 부()를 뽐내는 시기였다. 백금을 기본 소재로 꽃, , 가지 모양으로 보석을 화환처럼 엮은갈란드 스타일(Garland Style)’이 특히 인기였다. 당시는 여성의 목과 어깨와 가슴을 훤히 드러내는 데콜테(dëcolletëe) 양식의 칵테일 드레스나 이브닝 드레스가 유행했다. 상류사회 여성들은 정숙함을 표시하기 위해 갈란드 스타일의 화려한 목걸이로 드러난 맨살을 가렸다. 까르띠에는 주얼리를 주문한 여성의 피부 색깔은 물론 가슴의 넓이와 굴곡을 고려해서 목걸이를 설계하는 등 주요 고객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또 당시 여왕이나 왕족 여인의 머리를 장식하는 장신구로 인기를 모은 티아라(Tiara)에서도 기술력을 뽐냈다. 백금 세공기술을 앞세운 까르띠에는 경쟁사보다 훨씬 유연하고 자유롭게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었다. 백금의 전성과 연성 덕분에 다른 회사들보다 다양하고 섬세한 디자인을 만드는 데 기술적인 한계가 적었기 때문이다. 이 덕분에 까르띠에의 티아라는 선풍적인 인기를 모았다. 1902년 영국 알렉산드리아 왕비는 까르띠에에게 왕관과 티아라 27개를 주문하기도 했다. 영국 외의 유럽의 주요 왕실에도 두루 보석을 납품했다. 에드워드 7세는 까르띠에를왕의 보석상이요, 보석상의 왕(Jeweler to Kings, King of Jewelers)’이라고 칭찬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