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이윤 창출의 새로운 원천, CSR

문휘창 | 53호 (2010년 3월 Issue 2)

근대 경제학의 시조인 애덤 스미스는 1776년 <국부론>에서 “개인이건 기업이건 각자 자기가 가장 잘하는 일만 하면 사회의 부가 극대화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20세기의 유명한 사회학자인 막스 베버는 1930년 <프로테스탄트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기업이 윤리적으로 이윤을 창출하고, 이를 사회 전체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때만 건강한 자본주의 사회가 발전한다”고 주장했다. 베버의 이 주장은 미국의 자본주의 사상에 큰 영향을 줬다. 산업 시대의 철강왕 앤드루 카네기를 비롯해 빌 게이츠와 워런 버핏에 이르기까지 미국 거부들이 자신이 번 돈을 사회에 되돌려준 배경에도 베버가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 최근에는 더욱 많은 학자와 사회적 지도자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강조하면서 CSR이 학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슈로 등장했다.
 
하지만 현재의 CSR 접근법에는 문제가 많다. 우선 기존 접근법은 기업과 사회의 관계를 대립 관계로 보고, 기업이 사회에 부정적인 해악을 끼치지 않아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CSR을 잘못 이해했기 때문에 나온 견해다. 이 논리대로라면 기업은 자신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데 큰 신경을 쓰지 않고, 일정 수준의 돈과 시간만 기부한 후 CSR에 매진했다고 생색낼 수 있다. CSR을 그저 귀찮기만 하고, 남들 눈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의무로 평가 절하하기 쉽다는 뜻이다.
 
CSR에 관한 기존 시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적인 의무감이다. 가장 보편적이고 전통적인 생각으로 기업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에 어느 정도 공헌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주장이다. 둘째, 지속적 성장이다.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사회적 환경을 해치면 안 된다는 주장이다. 기업의 단기적 이익을 위해 유해 물질을 마구 버리면 환경이 파괴되어, 결국 해당 기업에게도 해가 된다는 논리다. 셋째, 기업 이미지다. 현대 경영에서 기업 이미지는 매우 중요하다. 사회적 책임을 성실하게 수행하지 않는 기업은 소비자로부터 외면당한다는 논리다.
 
3가지 견해의 공통점은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어느 정도 기업의 이익을 희생해야 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사회의 이익과 기업의 이익은 원칙적으로 배타적인 ‘제로섬 게임’이므로, 어느 한쪽 이익을 위해서는 다른 한쪽이 양보해야 한다는 논리다. 그러나 이 견해는 매우 잘못됐다. 기업은 본질적으로 사회와 분리되어 있지 않다.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고, 사회를 발전시켜가면서 자신의 이윤을 높이는 조직이 바로 기업이다. 기업이 일반적인 경영 전략을 수립할 때와 마찬가지로 CSR 전략도 잘 수립하면 기존 ‘제로섬 게임’을 ‘윈윈 게임’으로 바꿀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부문과 기업의 경쟁 우위 분야의 접점을 찾아, 사회와 기업 모두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물론 이때 기업이 먼저 움직여야 한다. 우선 기업이 행동을 취하면(inside-out), 사회가 이에 대한 보상을 주는(outside-in) 식의 ‘윈윈’ 게임이 성립한다.(그림1)

기업이 속한 업종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CSR 방법도 달라진다. 의료 기기를 취급하는 기업은 헬스케어 CSR에 관심이 많고, 컴퓨터 전문 업체는 정보통신 분야에 대한 사회 공헌에 관심이 많을 것이다. 같은 산업에서도 기업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사회에 공헌하기도 한다. 스웨덴의 볼보는 튼튼하고 안전한 자동차로 유명하다. 반면 일본의 혼다는 연료를 적게 사용하고, 배기가스 배출도 적은 친환경적인 자동차를 잘 만든다. 볼보와 혼다 모두 자사의 우선순위를 둔 분야에 남다른 노력을 하면서, 필요할 때 관련 분야에 많은 연구 투자 및 기부를 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노력은 해당 기업의 이윤 창출에도 도움을 준다.
 
즉 자사에 가장 잘 맞는 분야를 선택하면 기업 이윤도 늘고, 사회적 부가 가치도 더 많이 창출할 수 있는 셈이다. 이를 CSR 분야에 적용해보자.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문휘창

    문휘창

    - (현)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 (현) 국제학술지 편집위원장
    - (전)미국 워싱턴대, 퍼시픽대,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헬싱키 경제경영대, 일본 게이오대 등 강의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