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대운하 시대 중국 상인 이야기

‘초연결’의 시대, 영감의 원천 될 상업의 神

조영헌 | 363호 (2023년 02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중국 대운하 시대에는 다양한 실존 인물들이 상업의 신으로 추앙받았다. 최고 상방으로 손꼽힌 휘주 상인들은 실존 인물인 주희를 신앙화했고, 휘주 상인들의 라이벌이던 산서 상인들은 관우를 신으로 모셨다. 바다를 주 무대로 삼았던 복건 상인에게는 마조라는 여신이 있었다. 중국 상인들이 각자의 상인의 신을 숭배한 데는 다소 현실적인 이유가 있었다. 예컨대, 당시 엘리트였던 신사층은 주자학을 사회 이념으로 삼았으며, 휘주 상인들은 주자를 신으로 섬기며 신사 층과 연결됐다. 이처럼 중국 상인들은 상업의 신을 통해 결속과 안전을 비는 동시에 계층적 한계를 뛰어넘고자 하는 욕망을 전달하기도 했다.1



상업의 신, 헤르메스

‘상업의 신’ 하면 떠오르는 신은? 그리스신화에 익숙한 독자들은 제우스의 아들이자 제우스의 심부름을 도맡는 전령(傳令)의 신인 헤르메스를 떠올릴 것이다. 제우스는 헤르메스를 전령 신으로 삼으면서 지팡이 하나와 날개가 달린 가죽 신발을 주었다. 신이든 인간이든 건드리기만 하면 바로 잠이 들게 하는 마법의 지팡이와 하루에 만 리 길을 너끈하게 달릴 수 있게 한다는 마법의 신발이었다. 올림포스의 12신 가운데 이승과 저승을 자유자재로 오르내리는 신은 헤르메스밖에 없다. 또 헤르메스는 말솜씨도 좋고 거짓말을 해도 표시가 잘 안 나서 상업이나 도박을 주관하게 됐다. 즉 경계를 넘나드는 신이자 경계를 넘나드는 상인을 지켜주는 신이었다.

신화에서 헤르메스는 갈등 상황에서 상대방과 직접 대결하기보다는 타협하거나 협상하는 것을 선호한다. 싸우지 않고 서로 타협하고 협상하면 훨씬 나은 이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모든 거래의 목표다. 상업과 협상의 신 헤르메스는 이처럼 평화적인 거래를 통해 이득을 얻기를 좋아했다. 헤르메스의 이런 성향과 역할로 인해 두 마리의 뱀이 붙어 있는 그의 지팡이인 케리케이온은 오늘날 무역과 상업, 협상을 상징하는 디자인 요소로 각종 로고나 마크, 엠블럼 등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스페인 화가인 페레 파우 문타냐(Pere Pau Muntanya, 1749~1803)는 ‘바르셀로나항의 보호자 무역청’을 그리면서 헤르메스를 무역의 보호자로 부각시켰다. 심지어 무력을 앞세운 유럽의 무역 공세에 복속됐던 중국 해관총서(海關總署, 수출입 통관 업무를 총괄하는 관청)도 케리케이온에 열쇠가 교차하는 이미지를 엠블럼으로 사용한다.2

image00001


중국에서 상업의 신이 된 주희

가입하면 무료

  • 조영헌 chokra@korea.ac.kr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필자는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의 방문 학자와 하버드-옌칭 연구소 방문 연구원을 거쳐 서울대 동양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중국 근세 시대에 대운하에서 활동했던 상인의 흥망성쇠 및 북경 수도론이 주된 연구 주제이고, 동아시아의 해양사와 대륙사를 겸비하는 한반도의 역사 관점을 세우는 데 관심이 있다. 저서로 『대운하 시대, 1415-1784: 중국은 왜 해양 진출을 ‘주저’했는가?』 『대운하와 중국 상인: 회양 지역 휘주 상인 성장사, 1415-1784』 『엘로우 퍼시픽: 다중적 근대성과 동아시아(공저)』 등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