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Finance

경제 충격의 불확실성… 빚에 기댄 투자 경계해야

박세영 | 321호 (2021년 05월 Issue 2)
014


Based on “Lifetime Consumption and Investment: Retirement and Constrained Borrowing”(2010) by Philip H. Dybvig and Hong Liu in Journal of Economic Theory, 145: pp. 885-907.

무엇을, 왜 연구했나?

2020년 3월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은 전 세계 주요국(프랑스, 벨기에, 독일 등)과 비교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상승폭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민간 신용, 명목 GDP 비율은 주택담보대출 수요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민간 신용 증가율 또한 최근 높게 유지되고 있다. 즉 코로나19 사태가 가계 신용 증가율의 증가세를 견인하고 있다.

현재 개인이 보유한 금융자산 대비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 향후 경기침체 때 주식가격 폭락 등으로 인해 막대한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외환위기 직후의 바이코리아펀드, 2007년과 2008년의 인사이트펀드 붐(boom) 이후로 국내 주식시장에 들어온 직접투자 자금 규모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2020년 6월 말 SK바이오팜에 이어 최근 카카오게임즈의 일반 공모 청약에만 무려 58조 원에 달하는 증거금이 몰렸다. 특히 2030 세대는 빚을 내서 투자를 한다거나 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를 한다는 ‘빚투’ ‘영끌’ 등의 신조어까지 만들어내며 부채에 기대 주식, 부동산, 그리고 최근에는 가상화폐(비트코인 등)에까지 과도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민스키 모멘트(Minsky Moment)’로 잘 알려진 미국의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는 과도한 부채 확대에 기댄 투자는 경기 호황이 지난 뒤 채무자의 부채 상환 능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고 결국 채무자는 건전한 자산까지 팔아 빚을 갚으면서 금융 시스템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우리는 이미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을 통해 과도한 부채로 인한 크고 부정적인 경제 충격을 경험한 바 있다.

이러한 부채의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은 부채를 얻어 소비를 하고 투자를 한다. 그렇다면 경제학에서는 부채에 기반한 사람들의 소비 및 투자 행태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을까? 미국 워싱턴대 연구진은 경제학의 기존 문헌의 가정과는 차별되게 시장에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마찰(대리인 갈등, 정보 비대칭, 제한된 집행 등)로 인해 소득담보대출이 완전히 제한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생애주기 동안 사람들의 소비 및 투자 패턴을 새롭게 분석했다.

가입하면 무료

  • 박세영seyoung.park@nottingham.ac.uk

    노팅엄경영대 재무 부교수

    필자는 연세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포항공대에서 투자, 위험관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여신금융협회 조사역으로 재직한 후 싱가포르국립대 박사후과정을 거쳐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영국 러프버러경영대에서 재무 조교수로 재직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포트폴리오 이론을 중심으로 한 투자/위험관리와 은퇴, 보험, 연금 등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자산관리 등이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