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국민들은 질 높은 여가 생활을 갈구하고, 정부는 일자리 창출을 주도할 만한 산업을 찾고 있다. 이 조건을 만족시켜 주는 것이 바로 문화 콘텐츠 산업이다.
영화, 음악, 뮤지컬, 게임, 방송, 테마파크, 애니메이션, 출판, 미술, 디자인, 인터넷 오리지널 콘텐츠 등으로 구성되는 문화콘텐츠 산업은 현재 폭발적인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세계 문화콘텐츠 시장은 최근 10년 동안 연 평균 8% 이상 성장했다. 전체 시장 규모는 세계 반도체 산업의 5배, 조선 산업의 18배에 이른다.
국내 문화콘텐츠 산업의 성장률은 이보다 훨씬 빠른 연 평균 21%다. 노무현 정부에 이어 이명박 정부 또한 문화콘텐츠 산업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 고속 성장과 함께 문화콘텐츠 산업이 가진 고용 및 생산 유발 효과, 후방산업에 대한 영향력 등에 매료됐기 때문이다.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의 고용유발 계수는 15.96, 생산유발 계수는 2.11, 영향력 계수는 1.13으로 세 가지 지표 모두 서비스·제조업·농수산업보다 우월하다. 고용유발 계수의 경우 농수산업 7.55, 제조업 9.39, 서비스업 14.89이며 생산유발 계수는 농수산업 1.64, 제조업 1.96, 서비스업 1.68이다. 후방효과 영향력 계수도 농수산업 0.89, 제조업 1.06, 서비스업 0.90으로 모두 문화콘텐츠 산업보다 낮다.
한류 열풍에서 체험한 바 있듯이 문화콘텐츠 산업의 성장은 국가 이미지 제고는 물론 일반 상품의 이미지 제고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컨대 지난 2003∼2004년 ‘겨울연가’가 일본·중국·대만 등지에서 유행할 때 드라마 촬영지인 강원도에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이 140만 명에 달한다. 드라마 주인공 역할을 한 배용준이 2004년 한 해 동안 일본과 한국에 유발한 경제적 효과도 3조원에 이른다. 미국과 영국은 오래 전부터 문화콘텐츠 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으며, 특히 2000년 초부터 범국가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산업은 대표적 레드오션
국내외 문화콘텐츠 산업의 성장 속도와 경제적 효과만 놓고 보면 많은 사람이 문화콘텐츠 산업이 블루오션에 속해 있으며, 문화콘텐츠 관련 기업 대부분이 떼돈을 벌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의 문화콘텐츠 기업은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일반 제조업체와 비견할 만한 대기업이 드물뿐더러 부도율은 일반 제조업보다 훨씬 높다.
전 세계적으로 보기 드물게 할리우드 영화를 제치고 70% 이상의 점유율을 자랑하던 한국 영화는 2006년 이후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국산 영화 제작자 대부분이 대규모 적자를 보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2007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 112편 중 손익분기점을 넘긴 영화는 불과 11.6%인 13편에 불과하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규모 적자 양상은 한국 영화가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던 2000년대 초반에도 마찬가지였다.
이런 양상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18%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공연 시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00억 원에 불과한 시장에 자그마치 200여 개에 이르는 제작사가 난립해 있다. 이들이 올리는 공연 수는 자그마치 연간 1000여 개에 이른다. 이 가운데 손익분기점을 넘기는 작품은 5%도 채 되지 않는다. 때문에 대부분의 공연 제작사들은 정부가 주는 보조금으로 연명하고 있다.
공연 업체의 어려움은 외국 공연물 라이선스 업체라고 예외일 수 없다. 그 동안 국내에서 세계 4대 뮤지컬로 불리는 ‘오페라의 유령’ ‘레미제라블’ ‘캣츠’ ‘미스사이공’과 또다른 히트작 ‘맘마미아’ 등은 흥행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외국 라이선스 공연물 수입에 뛰어드는 업체가 크게 늘었다. 국내 업체들 간의 치열한 유치 경쟁으로 유명 공연물 판권료의 경우 매출액의 15%까지 치솟은 상태다. 비인기물 판권료도 웬만하면 10%를 넘는다. 이러한 판권료는 영업이익의 5% 안팎을 붙이는 제조업의 일반적 판권료와 비교할 때 상상을 초월하는 비율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렇다 보니 최근 외국 유명 공연물 수입업체 열 곳 중 아홉 곳은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류 열풍을 주도하기도 한 드라마나 음악 제작 기업들은 괜찮을까. 드라마 및 음악 분야 기업의 사정도 영화 및 공연 기업과 별 차이가 없다. 우선 최근 인기 배우와 작가의 개런티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이제 웬만한 드라마의 회당 제작비는 1억3000만 원이 넘는다. 사정이 이렇지만 방송사들이 드라마 제작사에 지불하는 금액은 기껏해야 9000만 원에 그친다. 제작사들이 이런 적자 구조에도 불구하고 드라마를 제작하고 있는 것은 ‘겨울연가’ ‘대장금’과 같이 한류 열풍을 일으킨 드라마 성공에 현혹당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