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trategy

향후 해외 시장의 승패 ‘네트워크 확장’에 달려

류주한 | 306호 (2020년 10월 Issue 1)
014


“The Uppsala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moel revisited: From liability of foreigness to liability of outsidership” by Jan Johanson and Jan-Erik Vahlne(2009) in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40. pp.1411-1431.


무엇을, 왜 연구했나?

국제경영학 분야 세계 최고 학술지 중 하나인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는 지난 10년간 국제경영학 분야에 가장 기여도가 높았던 논문을 선정해 매년 발표하고 있다. 올해에는 스웨덴의 요한손(Johanson) 교수와 반(Vahlne) 교수가 지난 2009년에 발표한 세계화 과정에 관한 이론을 최고의 논문으로 선정했다. 이 논문은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기업들이 겪는 다양한 모습으로부터 공통된 특징과 성공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두 교수가 지난 1977년에 제시했던 세계화 모델을 30년이 지난 2009년에 비추어 재해석하는 내용을 주로 담고 있다. 두 스웨덴 교수가 1977년 제시했던 모델은 우리에게도 익히 알려진, 이른바 ‘Uppsala international process model’이다.

1977년 발표됐던 세계화 모델은 기업의 세계화를 거시경제 환경 변화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의 하나로 설명했던 당시 주류경제학적 시각에서 벗어나 기업과 의사결정자의 관점에서 설명을 시도한 당시로서는 신선한 접근이었다. 이 모델에 따르면 기업의 세계화 과정은 해외에서 발생하는 기회와 리스크 요소를 기업의 보유 자원, 경험, 기술 등에 비춰 끊임없이 비교해가며 매출 확대와 연결하는 선택의 연속이다. 리스크는 줄이고 기회는 확대해야 하므로 해외 시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비용을 줄여나가는 것이 핵심이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조금씩 경험을 쌓아가며 점진적으로 해외 영토를 넓혀나가는 방안이 최선임을 주장했다. 국제경영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외국인 비용(Liabilities of foreignness)’과 ‘심리적 거리(Psychic distance)’라는 개념도 이때 처음 구체화됐다. 이 모델은 해외 시장 전략이 뚜렷이 정립되지 않았던 당시 많은 기업에 매우 합리적이며 실무에 적합한 지침과도 같은 역할을 했다.

과연 30년이 지난 2009년 시점에서 이 모델의 두 창시자는 자신의 이론을 어떻게 재평가하고 있을까? 요한손 교수와 반 교수는 오래된 자신의 세계화 모델이 지금도 여전히 설득력 있고 유효함을 피력했다. 그러나 글로벌 시장이 발전하고 변해감에 따라 미처 담아내지 못한 3가지 측면을 언급하고 자신의 이론이 한층 업그레이드되기를 희망했다.

가입하면 무료

  • 류주한

    류주한jhryoo@hanyang.ac.kr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필자는 미국 뉴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에서 석사(국제경영학), 런던정경대에서 박사(경영전략) 학위를 취득했다. United M&A, 삼성전자, 외교통상부에서 해외 M&A 및 투자 유치, 해외 직접투자 실무 및 IR, 정책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국내외 학술 저널 등에 기술 벤처, 해외 진출 전략, 전략적 제휴, 비시장 전략, PMI, 그린 공급망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