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Editor`s letter

펭귄을 날게 한 크리에이티비티

김현진 | 289호 (2020년 1월 Issue 2)
이렇게 작심하고 온 국민이 똘똘 뭉쳐 ‘실체’를 애써 밝히지 않는 존재가 등장한 것은 산타 이후 처음이 아닐까 싶습니다. 남극에서 온 10살짜리 EBS 연습생 ‘펭수’ 이야기입니다. ‘국민 펭귄’ 펭수는 급기야 월드스타 BTS를 제치고 지난해 취업 포털 인크루트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 1위에 올랐습니다. 성공 요인이야 다양합니다만 펭수가 짧은 시간에 전 국민적 지지를 받게 된 가장 큰 요인은 엄격한 규칙들을 통쾌하게 벗어던진 탈규칙성에 있지 않을까 합니다. 유튜브와 공중파 TV, 어린이용과 성인용 콘텐츠, 심지어 방송사를 넘나드는 무(無) 경계성에 성별도 없습니다. 큰 키와 걸걸한 목소리 때문에 당연히 남자 어린이(?)로 설정돼 있다고 믿었던 펭수가 지난 연말 시상식과 타종 행사에서 각각 순백의 드레스와 조바위를 갖추고 등장했을 때 생경하지만 신선했습니다. 대중은 펭수라는 브랜드가 확장되는 과정을 지켜보고, 또 함께 상상에 동참하면서 ‘탈 속’ 진실 따위는 거부합니다. 이런 펭수의 성공은 이 시대가 원하는 크리에이티비티(creativity)가 무엇인지 고민하게 합니다.

『창조하는 뇌』를 공동 저술한 뇌과학자 데이비드 이글먼과 작곡가 앤서니 브란트는 창의성의 정의를 ‘익숙한 경험을 이전에 보지 못한 형태로 전환하는 작업’이라고 말합니다. 과거에 보지 못한 것을 예측하는 것이 상상력이라면 그 예측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창의성입니다. 따라서 종종 창의성은 노력의 산물을 대중에 내놓고 그에 따른 평가를 받으면서 영향력을 검증받습니다. 이번 스페셜 리포트를 위해 DBR과의 인터뷰에 응한 저자들은 “따라서 혁신가, 그리고 예술가들의 산출물은 모두 ‘익숙함과 낯섦’ 사이 긴장감 속에서 생명력을 얻은 것들”이라고 말합니다.

애플워치를 만들 때 디자이너 조너선 아이브는 아날로그 시계에서 용두(태엽을 감는 꼭지)처럼 보이는 입력 장치인 디지털 크라운을 굳이 시계 중앙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에 두었습니다. 이는 최대한 시계처럼 보이되(익숙한 것을 모방), 용두와 다른 새로운 기능을 한다는 기대감(신선함)을 모두 충족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와 함께 애플 신화를 만든 스티브 잡스는 “창의력은 새로운 무언가에 자신의 경험 등 이것저것을 ‘연결’하는 일이라 창의적인 사람에게 어떻게 그걸 해냈냐고 물으면 약간의 죄의식을 느낀다”고도 말했습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