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Brief-Case: 미국 서남부의 무방류(ZLD) 시스템

환경보호 vs. 경제성 딜레마, 기술 혁신으로 돌파

김윤진 | 287호 (2019년 12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무방류(Zero Liquid Discharge, ZLD)는 발전소, 공장 등에서 나오는 오·폐수의 98∼100%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미국 텍사스 등 수자원이 귀한 지역에서 물 한 방울도 허투루 쓰지 않지 않겠다는 의지가 만들어낸 기술이다. 미국 서남부 일대의 주정부는 사업허가 단계에서부터 폐수 방류 여부를 까다롭게 심사함으로써 관련 기술 확산과 진보에 기여했고, 발전소 등 각 도입 주체들은 주어진 환경에 맞는 가장 경제적인 방식으로 정부의 요구에 화답했다. 결과적으로 텍사스 발전소의 성공적인 무방류 시스템 도입 사례는 환경보호와 경제성이 결코 상충하는 가치가 아니며, 기술 혁신을 통해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신기술 적용 과정에서 △이해관계자 간 긴밀한 신뢰 구축 △적응형 시스템을 통한 불확실성 대응 △지속적인 대중 교육을 통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지속가능한 성장을 고민하는 한국 기업에 제시한다.



“물이 기름보다 귀해질 날이 올 것이다(We will be fighting over water not oil).”

쨍한 햇빛, 섭씨 40도에 육박하는 타들어 갈 듯한 날씨의 미국 남부 텍사스주. 일주일에 7일, 24시간 에어컨을 가동해야 하는 텍사스 사람들에게 전기는 생존을 위한 필수재이다. 그런데 이 전기를 생산하고 도시의 불빛을 밝히려면 반드시 치러야 할 비용이 있다. 바로 ‘물’이다. 석탄, 가스 등 화력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증기 터빈을 돌려야 하는데, 이때 발전용 터빈을 차갑게 식히고 오작동을 막는 데 엄청난 양의 냉각수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문제는 미국 캘리포니아, 텍사스, 네바다 등 서남부의 4000만 인구가 2000㎞ 콜로라도 강줄기에 의존해 산업용수, 농업용수, 식수 등을 조달하는 상황에서 냉각수를 무한정 끌어올 정도로 수자원이 풍부하진 않다는 점이다. 사막 한복판에 있는 세계 최대 유흥도시 라스베이거스의 경우 콜로라도강에 후버댐을 세워 만든 16만 에이커의 인공 저수지 ‘미드(Mead)’가 없으면 유지될 수조차 없다. 라스베이거스의 화려한 밤을 가능케 한 것도 1930년대 대공황 시절 미국이 총 2만1000명을 동원한 대규모 토목 공사로 쌓아 올린 이 댐이다. 이처럼 수자원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물 저장과 활용의 기술을 빼놓고 미 서남부 도시의 부흥을 논할 수는 없다. 이 지역의 도시 발전(發電)을 위한 물 재활용의 역사가 196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