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솔로 이코노미’ 단어 첫 사용한 클라이넨버그 뉴욕대 교수 인터뷰

싱글턴, 이젠 고독 아닌 ‘만족’의 상징. 자신의 삶만큼이나 공동체에도 적극적

장재웅 | 229호 (2017년 7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최근 전 세계적으로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이들이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면서 ‘솔로 이코노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솔로 이코노미는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기업들이 이를 겨냥한 제품을 개발해 판매하는 현상을 말한다. 초기 ‘결혼을 하지 않고 혼자 사는 20∼30대 싱글 남성 혹은 여성’의 증가와 함께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떠올랐던 솔로 이코노미는 최근 평균 수명의 증가 등으로 ‘60대 이상 독거노인’들까지 가세하면서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매김했다. 이에 DBR은 ‘솔로 이코노미’라는 단어를 유행시킨 에릭 클라이넨버그 뉴욕대 사회학과 교수를 인터뷰해 최근 솔로 이코노미 트렌드의 변화와 기업들에 주는 시사점을 물었다.



편집자주

이 기사의 제작에는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인턴연구원 신지원(고려대 영어영문학과·경영학과 4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20230621_112427


2007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에는 ‘싱글 경제학(single Economy)’이라는 세션이 처음 열렸다. 이 세션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부유한 도시를 지배하고 형성하는 사람들은 교육 수준이 높고 전문성을 지닌 20∼30대 싱글들이며 이들이 소비 트렌드를 좌우할 것”이라는 내용과 함께 그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 세계적인 경제 발전으로 축적된 부와 독신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으로 ‘경제적으로 부유한 싱글’들이 늘어나면서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나타날 것이라 예측한 것이다.

그로부터 10년이 흐른 2017년, 실제 이들 ‘부유한 싱글’은 1인 가구를 형성하며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만들어내고 있다. 1인 가구를 겨냥한 맞춤형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생산·판매·마케팅 등에 주력하는 기업이 늘어나는 사회·경제적 현상인 ‘솔로 이코노미(solo economy)’의 확산이 바로 그것이다.

‘솔로 이코노미’라는 용어는 2012년 미국 뉴욕대의 에릭 클라이넨버그 교수가 <고잉 솔로, 싱글턴이 온다>라는 저서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20∼30대 싱글(Singles) 남성 혹은 여성’의 증가와 함께 솔로 이코노미는 단순히 경제적·인구학적 동인에서 트렌드가 됐다. 여기에 평균수명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이전에는 솔로 이코노미의 주체로 고려되지 않았던 ‘40대 이상 미혼 인구’ 혹은 ‘60대 이상 독거노인 인구’들이 대거 1인 가구를 형성하면서 20∼30대 젊은이들보다 강한 경제력을 지닌 소비의 주체들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장기적 경기 침체, 경제적 자립의 연기, 평균수명 상향으로 인한 노령 인구의 증가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이 반영돼 있다. 즉, 모든 연령대에 존재하는 ‘1인 가구’들의 경제적 행위나 습관, 그에 상응하는 마케팅 활동 등을 통틀어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 됐다고 할 수 있다.

솔로 이코노미의 성장은 수치로도 나타난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추계 : 2015∼2045년’을 보면 2015년 기준 1인 가구 비중은 27.2%다. 1990년 1인 가구의 비중이 9%대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비약적인 증가다. 1인 가구 비중은 2045년에는 36.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45년이 되면 전체 가구 유형 중 1인 가구가 가장 대중적인 가구 유형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최근 ‘혼밥(혼자 밥 먹기)’ ‘혼술(혼자 술 마시기)’ ‘혼영(혼자 영화 보기)’과 같은 신조어들이 자주 쓰이는 것도 궤를 같이한다.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혼자 즐기는 문화가 더 이상 낯설지 않게 됐다. 더 이상 남의 눈치를 보거나 남의 취향에 맞추지 않고 오로지 자신을 위해 투자하는 것이 트렌드로 자리 잡은 것. 1코노미, 싱글슈머 등 솔로 이코노미를 뜻하는 다양한 신조어들의 탄생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솔로 이코노미를 단순히 하나의 새로운 트렌드로 인식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경기 침체와 취업난으로 인해 비자발적으로 혼자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솔로 이코노미가 선택적 사항이라기보다는 타의에 의한, 혹은 반(半)강제적 성격을 띠기 때문에 트렌드로 인식하기보다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DBR은 ‘솔로 이코노미’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에릭 클라이넨버그 뉴욕대 사회학과 교수를 e메일로 인터뷰했다. 그에게 솔로 이코노미의 현재와 향후 전개 방향, 기업에 주는 시사점 등을 물었다. 클라이넨버그 교수는 “솔로 이코노미는 단순히 나 자신에게 충실하면서 다른 사람들과도 관계를 맺고 살자는 뜻”이라고 정의했다. 클라이넨버그 교수와의 e메일 인터뷰 내용을 정리했다.


20230621_112435



<고잉 솔로: 싱글턴이 온다>라는 책이 출간된 지도 3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다. 그 사이 당신의 생각이나 주장에 변화가 있었나?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일단 예상대로 싱글턴의 숫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나는 사회적, 인구통계의 장기적인 변화에 대해 글을 쓰고 있는데 매년 변동의 영향이 크지 않다. 한 가지 주목할 점은 불황으로 취업 및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젊은 층이 늘고 있음에도 혼자 사는 사람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최근까지는 취업이나 돈벌이가 어려워질수록 부모의 울타리 안에 머무는 젊은 층들이 늘어난다는 것이 상식처럼 여겨졌다. 그러나 이런 고정관념이 깨지고 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