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현대중공업

세계 1위•매출성장,사업집중.. ‘버릴 수 없는’ 목표서 해방돼야 산다

유재훈 | 167호 (2014년 12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 전략

 

조선업 세계 1위였던 현대중공업이 올해 유례없는 부진을 겪었다. 영업이익이 급감했고 신용등급도 하락했다. 현대중공업은 조선 업황의 부진과 중국의 거센 추격으로 실적이 악화됐다. 저가 수주와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실패한 것도 올해 사상 최악의 실적을 가져온 원인이 됐다.

 

울산 미포만 사진 한 장으로 시작해 어느덧 세계 1위라는 수식어가 익숙해져버린 현대중공업이 침몰 위기에 놓여 있다. 현대중공업은 1∼9월 누적영업적자 3조 원이라는 사상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부진과 선박 수요 둔화, 중국의 성장, 이에 따른 경쟁심화가 대규모 적자에 대한 주된 이유이자 변명일지 모른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설명은 충분치 않다. 경기둔화가 모든 기업을 대규모 적자로 몰아넣지는 않는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세상의 어떤 기업이든지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는 때가 있다. 산업이 쇠퇴하거나 기술격차와 진입장벽의 한계 때문에 영원한 2등으로 머무는 기업들도 있다. 현대중공업은 조선업 수요 둔화와 중국 조선산업의 약진으로 성장의 한계에 직면했다. 현대중공업은 성장의 한계를 직감하고 세계 1위 조선사로 군림하던 시절부터 사업다각화를 추진했다. 2008년 증권사인 CJ투자증권(현 하이투자증권) 2010년 정유사인 현대오일뱅크를 인수하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시도도 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대중공업은 두 가지 결정적 실수를 범했다. 첫 번째, 성장의 한계를 알고 있었지만 기존 사업에서 성장이라는 경영목표를 버리지 못했다. 이러한 실수는 결국 저가 수주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와 지금의 적자를 만들어낸 주요 원인이 됐다. 두 번째, 사업다각화와 신규 사업 모두가 산업재로 구성돼 제대로 된 포트폴리오 분산효과를 누리지 못했다. 해양플랜트, 발전플랜트, 전기전자, 신재생에너지, 정유화학, 증권금융 모두가 비슷한 경기순환 사이클을 가지는 산업재군에 속한다.

 

 

대규모 적자의 실체는 저가 수주

글로벌 최고의 경쟁력을 자부하던 현대중공업은 올 들어 3분기에만 연결영업적자 19346억 원을 나타냈다. 3분기까지 누적영업손실은 32273억 원에 이른다. 조선 부문에서만 2개 분기 연속 대규모 손실(2분기 5540억 원, 3분기 11459억 원)을 냈다. 조선 부문에서 대규모 적자의 원인은 2012∼2013년 일감을 확보하기 위해 지나치게 낮은 가격에 수주를 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저성장 기조가 수년간 지속되면서 수요 성장세가 정체된데다 중국의 성장으로 주력산업인 조선의 이익 체력이 급격히 저하된 것도 문제가 됐다. 글로벌 발주량은 2011 8100 DWT(Deadweight Tonnage·재화중량톤수)에서 2012 4900 DWT 40%나 급감했다. 20111 142p였던 신조선가(새로 발주되는 배의 가격)지수는 2012 12 126p까지 떨어졌다.

 

수주잔고는 빠른 속도로 하락했다. 결국 일감 확보를 위해 수익이 낮은 선박 수주를 지속할 수밖에 없었다. 건조 경험이 부족했던 고()사양 선박과 해양시추 설비들에서 공정차질이 발생했고 이는 생산성 둔화로 이어졌다.

 

 

 

조선 부문 연결실적에 반영되는 현대미포조선도 3분기에만 6064억 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현대미포조선도 현대중공업과 마찬가지로 2013년까지 수주한 선박들이 대부분 저가 수주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수주 부진이 지속되자 일감 확보를 위해 저가 수주를 감행했던 것이다. 아울러 일감 확보를 위해 주력 선종이 아닌 해양지원선박 등으로 선박의 종류를 다변화했던 것도 생산성 하락의 원인이 됐다. 단일 선종을 반복 건조해야 생산성이 높아진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