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terview: 크리스토퍼 맥케나 옥스퍼드대 사이드경영대학원 교수
Article at a Glance – 전략, 인문학
1차 세계대전이라는 글로벌한 전쟁은 오히려 ‘세계화의 쇠퇴’를 가져왔다. 애국주의 속에 각 국가별 경제발전과 경쟁이 이뤄졌고 중산층이 폭발했다. 군대에서 개발됐던 수많은 첨단기술들은 애초 개발되던 때와 전혀 다른 용도로 민간에서 활용됐고 상품화됐다. 기회를 잡은 기업은 성공했고,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 기업은 쇠락했다. 삼성, LG 같은 한국의 대기업들은 많은 돈을 들여서 기술을 개발한다. 1차 대전, 2차 대전 당시 각국 군대가 기술개발에 투자한 것과 비슷하다. 그러나 그 기술을 어떻게 유용한 용도로 쓸지 더 잘 궁리할 수 있는 건 대기업 외부의 주체들이다. 대기업이 훌륭한 기술을 개발하지만 그것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용도를 그 기업 혼자서 찾아내기는 힘들다. 따라서 대기업이 많은 자원을 들여 개발한 기술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이를 지렛대 삼아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것이 1차 대전이 한국 경영계에 주는 교훈이다. |
편집자주
이 기사의 제작에는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인턴연구원 이종희(단국대 경영학과 4학년) 씨와 장은빈(연세대 사회학과 4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인 1914년 6월28일, 오전 10시50분. 사라예보에서 울린 총성이 1차 세계대전이라는 비극의 서막을 알렸다. 진정한 의미의 20세기는 이렇게 ‘총성’과 ‘비극’으로 시작됐다. 비극은 또한 엄청난 아이러니를 낳았다. 귀족과 평민은 사라졌고 여성들은 사회로 쏟아져 나왔다. 산업이 발전했고 각 국가별로 국부가 커졌으며 평등은 확산됐다.
전쟁에 동원된 평민 노동계급 남성들은 ‘기관총 앞에서의 평등’을 맛보았고 자신들의 피의 대가로 보통평등선거권을 얻어냈다. 전장으로 떠난 남성들을 대신해 여성들이 공장으로 들어갔고 목소리를 높일 기회를 얻었다. 대규모로 기업이 동원된 최초의 전쟁은 기업들을 바꿔놓았다. 호치키스는 기관총을 공급했고, 쿨만, 생 고뱅, 알레에 카마르크(현 알루미늄 제조업체 페시네의 전신) 같은 민간 기업들이 국영병기창과 화약제조창에서 생산된 것만큼 많은 화약과 폭약, 군용가스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브레게·이스파노수이자·파르만·코드롱·부아쟁 같은 항공기업체들도, 르노·들라주·푸조·베를리에 같은 자동차 제조사들도 결정적인 도약을 했다.1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만들어진 각종 조직이론과 인사관리기법, 물류와 생산 효율화 방식은 ‘기업의 혁신’을 만들어냈다. 전쟁이 만든 애국주의는 ‘애국적 대중소비’와 ‘국가 간 경제 전쟁’을 통한 세계 전체 경제의 시너지를 형성했다.
인류 역사상 최초의 ‘가장 큰 전쟁(Great War)’은 엄청난 사상자를 낸 비극적 사건이면서 동시에 전 세계에 충격적인 변화를 유발한 동인이기도 하다.
100년이 지났다. 기술발전과 세계화, 초연결 시대의 도래, 파괴적 비즈니스 모델 등장 등으로 영원히 성장하고 번영할 것 같았던 많은 기업들이 위기를 맞고 있다. 1차 세계대전 100주년을 맞는 우리가 다시 그 ‘성찰과 지혜의 샘’ 앞에서 스스로를 돌아볼 때다.
DBR이 1차 세계대전 100주년을 맞아 영국 옥스퍼드대 사이드경영대학원에서 기업사(business history)를 가르치는 크리스토퍼 맥케나(Christopher Mckenna) 교수를 전화로 인터뷰했다. 미국 앰허스트대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존스홉킨스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맥케나 교수는 2000년부터 옥스퍼드대에서 주로 MBA와 EMBA 학생들을 가르쳐왔으며 2010년엔 경영 컨설팅 산업의 역사를 다룬 저서를 펴내기도 했다. 그는 옥스퍼드대 Novak Druce Centre for Professional Service Firms의 디렉터직도 맡고 있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