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버리긴 아깝고 바꾸긴 어려워” KT의 유선전화 딜레마

장정주 | 6호 (2008년 4월 Issue 1)
위기에 처한 KT 유선전화
KT는 유선전화 사업을 바탕으로 한국의 독보적 통신업체로 성장해 왔다. 남중수 사장은 지난 세월 KT의 시장지배력과 그에 따른 독보적인 위치를 잘 알고 있다. 지금도 연간 4조 원에 이르는 현금 수익을 확보하고 있는 유선전화 사업은 분명 매력적이다. 하지만 남 사장은 책상을 내려다보며 입술을 굳게 다문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전화기 곁에 놓여 있던 자신의 컴퓨터는 이메일을 보내거나 문서작업을 수행하는 비교적 단순한 기계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제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화상통화도 가능하고, 문자메시지를 보내거나 파일을 첨부할 수도 있다. 반면 그 곁의 유선전화는 그야말로 단순한 ‘기계’로 전락했다.
 
펜을 만지작거리면서 남 사장은 유선전화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컴퓨터의 키보드로 글을 쓰는 것이 익숙한 그였지만 여전히 펜도 사용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수익성이다. 유선전화 사업의 수익규모는 해가 갈수록 줄어들고 그 기반이 된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은 인터넷 망에 비해 발전 가능성이나 사업 확장 여지가 크지 않다. KT를 추격하는 후발업자들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내놓으면서 인터넷과 컴퓨터 기기를 결합하는 등 디지털화에 힘쓰고 있다.
 
남 사장과 KT 직원들은 이런 후발업체의 도전에 순순히 자신의 위치를 내주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와이브로의 상용화에 성공한 것을 비롯해 메가패스를 필두로 한 초고속인터넷 시장의 최강자로 자리를 굳혔기 때문이다. KT는 이미 디지털 기반으로 사업 구도를 옮겨가고 있다. 하지만 국가 기간망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익 규모도 엄청난 유선전화 시장을 쉽게 포기할 수 없다는 게 문제다. 남 사장은 벌써 몇 년째 이에 대한 해법을 찾아왔지만 쉽게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다. 2005년 KT의 메가폰을 잡은 후 그는 이 난제를 풀기 위해 고민했다.
 
민영화 후 변화 추진
KT의 모회사는 1981년 전기통신사업의 효율적 경영을 위해 당시 체신부에서 통신부문을 분리하면서 설립된 한국통신이다. 통신사업에도 경쟁 원리를 도입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한국통신은 2002년 KT라는 이름의 민영기업으로 거듭났다. 이후 KT는 유선통신 분야는 물론이고 무선통신과 인터넷, 위성 등에 이르기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면서 연 매출 12조 원에 이르는 거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가치 네트워킹 기업(The Value Networking Company)’이란 비전에 걸맞게 KT는 높은 기술력과 고객 서비스 역량을 갖췄다. 2005년에는 민간 서비스 부문의 사업 경험과 역량을 갖춘 남중수 사장을 영입해 민영화 도약 2기를 맞았다. 이후 남 사장은 11개 계열사로 구성된 KT에 대해 사업전반에 걸쳐 다각도의 변화를 추진해왔다.
 
시장규모 위축 지속
새로운 도약의 시기를 맞이한 KT는 와이브로(Wi-Bro)나 메가패스 같이 새로운 통신 환경에 적합한 신사업을 적극 추진해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KT에게 막대한 현금 수익을 가져다준 유선전화 사업은 위축되고 있다. 2002년 KT가 유선전화로 벌어들인 돈은 대략 5조 원에 달했다. 그러나 2003년 4조7000억 원, 2004년에는 다시 4조4000억 원으로 줄어들었고 급기야 2005년에는 4조 원대 초반으로 곤두박질쳤다. 이런 상황에서도 2006년 말 KT는 유선전화 시장의 90%가 넘는 점유율을 확보하면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유선전화가 KT 전체 매출의 40%를 차지하고 있는데다 이익 규모도 엄청나기 때문에 위축되는 시장을 바라보고만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하지만 시장 상황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우선 휴대전화가 빠르게 유선전화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 비싼 통화료와 단말기 가격, 그리고 휴대하기 불편했던 휴대전화는 2000년을 넘어서면서 과거의 단점을 거의 대부분 극복했다. 특히 3세대 WCDMA 기술이 보급되면서 화상통화와 글로벌 로밍, 초고속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해졌고 각종 디지털 컨버전스 기능까지 지원하고 있다.
이에 비해 KT를 떠받치고 있는 유선전화는 음성통화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다. 불과 10년 전만해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던 공중전화는 이제 찾아보기도 쉽지 않다. 이는 전화 시장에서 유선과 무선의 세대교체가 급속히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상징적 사건이다. 또 2005년 전체 유선전화 시장 규모는 6조7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1% 가량 줄어들었지만 휴대전화 시장은 17조2000억 원으로 연 4% 이상 성장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